2010년 이후에는 생애평균소득 기준으로 연금 산정하도록 공무원연금법이 바뀐걸로 아는데
향후 수령하는 연금이 9급 출신과 7급 출신 차이가 많이 날까요?
ex)둘다 2010년 신규발령, 2045년 4급 정년이라고 봤을때(각 계급별 승진일은 5년씩 차이있고 최고호봉이후 퇴직)
그리고 9급출신이 먼저 발령받고 7급 승진일이 7급출신 신규 발령일과 같을 경우도 7급출신 연금수령액이 더 큰가요?
ex) 9급 출신 : 2007년 신규발령, 2012년 7급 승진, 2040년 4급 퇴진(각 계급별 승진일 동일)
7급 출신 : 2012년 신규별령, 2040년 4급 퇴직(각 계급별 승진일 동일)
* 2010년 이후는 평균소득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9급출신은 2010 ~ 2011년간 8급 기준으로 계산됨.
9급출신은 7급출신보다 이전경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평균소득으로 산정하는 방식으로 인해 7급출신 신규발령일과
동일 날로 7급 승진을 하더라도 퇴직후 연금 수령액에서 더 적은 금액이 될 수 밖에 없는 거 같습니다.
이건 좀 불합리 하다고 생각하는데 제가 뭔가 놓치고 계산을 한건지 생각을 잘못하고 있는건지 모르겠네요.
잘 알고 계신 회원님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첫댓글 9급이든, 7급이든 중요한게 아니고, 퇴직시 전체 평균 월 보수가 얼마인지 중요하겠죠??,,그리고, 퇴직시 근무기간이 얼마인지도 중요하구요??,,지급율은 20년동안 1년/0.1% 감소하니깐,,20년 뒤에는 지급율이 동일하겠죠??,,,또,,참고로,,9급이든, 7급이든 진급을 빨리하면 유리하겠죠??,,
진급을 빨리하는것도 유리하겠지만 애초에 9급하고 7급 초봉차이 있기때문에 전 재직기간 평균을 하면 똑같은 연수에 똑같은 직급퇴직이라도 초봉이 낮은 9급 출신이 연금수령액은 낮을 수 밖에 없다는 말씀입니다.
일단 헤일리님 질문 2가지네요 그쵸?
어리버리 하지만 ㅈㅔ댓글 끝까지 ㅋ
1. 같은날에 발령받은 7급과 9급
9급과 7급 봉급표보면 같은 호봉 약 30차이
수당까지하면 40으로 본다고 가정!
전재직기간동안 항상
40만원씩 * 35년 *1.7=24만원
물론 9급이 7급까지
가는데 평균시간은 8년(서울기준)
7급이 6급까지 가는데 평균 10년이라 7급으로 겹칠때도 몇년
존재하고, 7급으로 여전히 잇는동안 9급은 8급이 되기도하죠
암튼 그런걸 제외하고 평균적으로
늘 총기준소득월액을 40차이로
보면 연금액이 24만원정
차이날것으로 보여요
어차피 전재직기간 평균이라 막판에 5급승진
혹은 4급 승진 퇴직해도 연금액이 큰차이는 노노
두번째 경우는 좀 달라요
연금계산식이
평균기준월소득*재직연수*1.7이라 9급으로 5년 더 먼저 들어오면
당연히 위의 식에서 재직연수가
5나 많아져서 9급이 더 많이
받아요~~~ 이부분 질문자님이
놓치고 계시는거 같아요
대략 계산해볼깨요!
9급이 33년 근무하잖아요(2007-2040년)
평균기준월소득액을 계산상 쉽게 딱 중간근무 17년정도 했을때
월급으로 볼게요 신랑이 10년근무인데 기준월소득이 310인데
7년더 근무하면 적어도 420은
될거같아요(매해 호봉과 보수인상률 2프로 가정시 수당등 포함하면 15만원은 오르니까요 매달)
그럼 420*33년*1.7=235만원
7급은 매달 재직년수내내
40만원더받는다거하면
대신 재직연수 5년 줄죠!
460*28년*1.7=218만원
으로 9급보다 적어요
당연히 9급이 직급은 낮게 들어왓어도
5년이나 빨리 들어왔으니까 많지요
물론 5급정도 들어오면 좀 달라지지만 ㅋ
참고로 아까도 말씀 드렸지만
몇급으로 퇴직하느냐는 큰 의미는 없을수잇어요 어차피 지금 상황상
4.5급 톼직하는게 힘든편이고
막판에 4,5급 승진하고 퇴직해도
전재직기간 평균이라 아주 큰 영향은 아니겟죠? 물론 몇년이라도
4.5급 하면 올라가긴하지만
예전에 2009이전엔 3년 평균이라
막판에 승진이 중요햇죠^*
참고로 서울 일반행정직 기준
9급-8급 진급 평균 3년
8급-7급 진급 평균 5년
6급까지 10년
5급까지 11년 정도여
어디까지나 평균이구 더 늦어지기도 도청이나 시청가서 일하면
5-7년만에 6급 달아주기도 하지만 ㅋㅋ동사무소 이런데 잇으면
10년 더 지나도 5,6급 달기
힘들죠 ㅎㅎ
참고고 뉴스기사에
30년 재직기준으로 내년에 임용되는 9급 공무원은
137만원에서 3만원 깍인 134만원을 받는다.
또 2006년 임용된 9급 공무원은 169만원에서 153만원으로,
1996년 임용된 9급 공무원은 200만원에서 193만원으로 줄어든다.
9급공무원의 연금은 2 - 9% 정도 깎인다.
30년 재직 기준으로 내년에 임용디는 7급 공무원의 경우
173만원에서 157만원으로,
2006년 7급으로 임용된 공무원은 203만원에서 177만원으로,
1996년 임용된 공무원은 243만원에서 232만원으로 줄어든다.
7급 공무원의 연금 깎이는 비율은 5 - 13%이다.
저거 딱 봐도 잘못됐어요~
제 신랑이 2006년에 9급으로
임용되엇는데 지금 기준소득액이
310에요 앞으로 10년 더 하면
평균기준월소득액이 310으로
맞춰진다고ㅜ보면 얼추 맞는데
10년이ㅡ아니라 20년은 더해야
하는데 그럼 기준월소득액은
아까 예시로 계산한대로 400은
훨씬훨씬 넘어요 참고하세용
뉴스기사에 예시는 잡다하게
뭐 다 빼고 최소임~~
저건 호봉상승률 보수인상률을 동시에 반영하지 않은
단순계산이이요 월급은 복리로 오르거든요!
동결돠는 해도 있겠지만 촤소 호봉은 오르고
호봉에 따른 기타 수당도 오르니까여
결론은 헤일리님 질문
첫번째는 당연 7급임용자가
20전후 더 받는다!!
두번째 예시는
직급은 낮게 임용됐어도 당연히
더 근무한 9급임용자가
계산식에 의해 더 받는다
그나까 오래근무할수있는만큼 근무하면
더 받겟죠? 촤대 33년에서 36년까지
한다 어쩐다 하니 채우면 더 내지만 더 받겟져
ㅋㅋ근데 엄청 지겨울듯 ㅜㅜ36년 ㅜㅜ
물론 2010년 가준으로 계산법이 크게 바뀌어서
2007년에 임용된 9급은 2007,2008,2009
3년은 바뀌기전 계산법이지만 미미할것으로
보여서 그냥 바뀐후로 계산햇어요
답변 감사합니다. 복받으실 거에요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