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오 (음력 5월 5일) 유래 단오의 '단'은 첫 번째, '오'는 다섯째란 뜻이에요. 초닷새란 뜻인 거죠. 우리 조상들은 홀수가 두 번 겹치는 날은 생기가 넘치므로 좋은 날이라고 생각했어요. 단오도 5가 두 번이나 겹치는 날이라 명절로 삼은 거라죠. 사실 이 시기는 파종이 끝나는 때라 새로 시작한 농사가 잘 되기를 기원하는 날이었던 거죠. 단오를 다른 말로 '술의날', '수릿날'이라고도 해요. '술의'나 '수리'는 우리말로 수레를 가리키는 말이에요. 농사가 주업인 우리나라 사람들에겐 수레가 중요한 기구였기 때문이죠. 단오는 그만큼 농사와 관련이 깊은 명절이랍니다. 풍습 단오는 더운 여름을 맞기 직전 모내기를 끝내고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였습니다. 이때부터 장마철로 들어서면서 병이 생기기 쉬웠죠. 단오에 하는 풍습들은 주로 그런 재앙을 막기 위해서 생긴 거래요. 창포물에 머리를 감는 건 머리에 영양을 주고 비듬이나 피부병을 없애는 효과가 있지요. 더위가 시작되기 전에 앞으로 많이 쓰게 될 부채를 선물하기도 했어요. 햇볕가리개, 벌레 쫓을 때, 얼굴을 가릴 때 등 쓸모있는 곳이 많거든요. 대추나무 시집보내기, 들어봤나요? 단오날 정오에 대추나무 가지를 치거나 가지 사이에 돌을 끼워 더 많은 열매가 열리기를 바라는 풍습도 있답니다. 이밖에도 쑥과 익모초 뜯기, 부적 만들어 붙이기, 단오 비녀 꽂기 등은 복을 빌고 귀신을 쫒는다고 해서 많이들 했답니다. 또 단오날 오시에 목욕을 하면 병이 없다고 해서 '단오물맞이'를 하고 모래찜을 했다지요. 그래서 단오 하면 물에서 머리 감고 목욕하는 풍속도가 나왔나 봐요. 놀이 '춘향전' 다 아시죠? 이몽룡과 성춘향이 첫 만남을 어떻게 가졌다구요? 단오에 춘향이 그네뛰는 모습에 이도령이 홀딱 반했다지요. 그네뛰기는 단오에 하는 대표적인 놀이랍니다. 평소 밖에 나가 놀 기회가 적었던 여성들에겐 이 날이 맵시를 자랑할 좋은 기회였죠. 남성들의 놀이로는 씨름이 있어요. 씨름에서 우승한 사람은 상으로 소를 타게 됐지요. 우승자는 '장사'라고 해서 온 마을 사람들이 축하해 줬구요. 이외에 탈춤, 사자춤, 가면극 등도 즐겼대요. 음식 단오날에는 수리취떡, 쑥떡, 망개떡, 밀가루 지짐 등을 먹었어요. 수리취떡은 멥쌀가루에 설탕물을 넣어 수레바퀴 모양으로 만든 떡이지요. 궁중에서는 제호탕 등 여름보신음식을 신하들에게 내리기도 했답니다. 굴원을 기리며 단오의 기원은 중국에서 왔다고도 해요. 초나라의 굴원이 자신의 지조와 절개를 증명하기 위해 강에 뛰어들어 자살했는데 그 날이 5월 5일이었대요. 그의 영혼을 달래는 제사가 전해져 단오가 됐답니다. 이 날 밥을 강여울인 수뢰에 던져 제사 지내는 풍습이 있어서 '수릿날'이라 부르게 됐다고 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