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남북]
유럽 에너지 위기에도
원전 덕에 느긋한 프랑스
프, 전력 생산의 71%가 원전…
에너지 자급률 높아 안정적
러 가스 믿고 탈원전했던 독일…
뒤늦게 원전 폐쇄 연기 고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지난
2월 10일(현지시간) 동부 벨포르에서 원자력 발전용 증기
터빈을 생산하는 제너럴일렉트릭(GE)사 공장을 방문해
원전 미래 전략에 관해 연설하고 있다.
마크롱 대통령은 프랑스 전력 생산의 70%를 의존하는
원전 산업의 재부흥이 필요하다며 원자로 6기를 새로
짓겠다고 밝혔다----
< 로이터 뉴스 >
여름인데 유럽은 벌써 겨울 걱정이다.
유럽의 천연가스 창고가 비어가며 올겨울 심각한
에너지 위기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천연가스 주요 수입국인 한·중·일 동북아 지역의
겨울 기온이 유럽의 에너지난을 좌우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온다.
같은 유럽 국가이지만 프랑스와 독일이 위기를
느끼는 온도 차는 다르다.
프랑스는 올겨울 독일이 난방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면 가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했다.
다양한 분야에서 경쟁 관계인 프랑스로부터
이런 제안을 받은 독일로서는 자존심이 상할
만한 일이다.
두 나라의 이런 차이는 탈원전 정책이 갈랐다.
프랑스는 전 세계에서 원전 의존도가 높은
나라 중 하나다.
부족한 화석연료 자원을 극복하기 위해 국가
주도로 원전 기술 자립을 최우선으로 삼았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따르면 프랑스의 전력
생산에서 원자력 비율은 70.6%로
우리나라(29.6%), 러시아(20.6%), 미국(19.7%)
에 비해 훨씬 높다.
덕분에 에너지 자급률이 안정적인 50%대를
유지해 왔다.
이런 프랑스도 올랑드 전 대통령 재임 때 원전
비율을 낮추는 탈원전과 재생에너지 확대를
추진했다.
하지만 마크롱 정부가 들어선 뒤엔 앞선 정부의
친환경 에너지 전환이라는 정책 기조는
유지하면서 원전에 대해서는 실용주의 접근을
했다.
원전과 재생에너지 사이 양자택일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실용적 노선을
택한 것이다.
원자력 에너지를 친환경 에너지 전환의
교두보로 삼겠다는 비전을 제시한
마크롱 정부는 지난 2월 6기 신규 원전 건설을
발표했다.
8기 추가 건설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했다.
또 기존 원자로 폐쇄 계획을 중단하고, 수명을
늘려 계속 쓰겠다고도 했다.
반면 메르켈 정부 시절이던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탈원전을 추진한 독일은 오는 12월까지
마지막 남은 원전 3기를 폐쇄할 계획이다.
2010년 독일 전력 생산량의 22%를 차지했던
원전은 작년 11.8%, 올 1분기 6%로 떨어졌고
계획대로라면 내년이면 영(0)이 된다.
지난해 프랑스 전체 에너지 소비 중
화석연료(오일·가스·석탄)와 원전 비율은
49.9%와 36.5%인데 반해 독일은 76%와
4.9%이다.
독일은 절대적으로 화석연료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푸틴의 값싼 가스만 믿고 탈원전·탈석탄을
추진한 독일은 러시아·독일의 수십년 경제 밀월이
한순간 깨지면서 심각한 에너지 위기에
봉착했다.
러시아 가스 공급 감축에 대응하기 위해 폐지가
결정된 석탄발전소를 일시 재가동하고, 수명을
연장하는 비상대책을 마련했다.
하지만 폭염과 가뭄으로 독일 내륙 수운의
대동맥인 라인강 수위가 뚝 떨어지면서
석탄발전소 전력 생산은 차질을 빚고 있다.
기차에 승객보다 석탄을 먼저 싣는 방안까지
추진 중이다.
독일 시민은 가스 대신 난로를 사용하기 위해
나무·석탄 땔감을 사서 쌓아 놓는 지경이다.
그제야 독일 정부는
“러시아 에너지에 의존했던 정책은 실수였다”
며 원전 폐쇄 연기를 시사했다. 하지만 탈원전
10년이 넘은 독일은 기존 설비 재가동을 위한
개·보수에 막대한 비용이 필요해 탈원전
정책 폐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노르웨이·호주 등 주요 에너지 생산국이
자원 수출을 제한할 태세여서 우리나라도 에너지
안보 전략 강화가 더욱 절실한 상황이다.
에너지 공급망 다변화와 안정적인 공급처 확보를
위한 장기 대책이 시급하다.
무엇보다 원전을 늘리든 재생에너지를
확대하든 단기간 성과를 낼 수 없는 에너지
정책은 경제·과학적 근거는 물론 안보 측면까지
고려해 추진돼야 한다.
정치·이념적 판단이 끼어들어선 안 된다.
전수용 기자
[출처 : 조선일보]
[100자평]
전황
원자력 발전소도 사용 후 고준위 핵폐기물
처리에 관한 약점을 안고 있다.
그러나 프랑스처럼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실용주의적 노선을 택해야 옳았다.
그런데 닥치고 '탈원전'은 지난 5년간 원전
생태계를 쑥밭으로 만들어 버렸다.
게다가 한 술 더 떠서 러시아의 가스를
(북한 지역을 관통하는 가스관을 통해)
들여오겠답시고 떠벌이던 한국 좌파의 쇼가
그 얼마나 웃기는 단견이였던가?
이제라도 반성을 하고나 있는지 궁금하다~
전승기
문재인은 비뚫어진 판단으로 나라를 일부러
어려운 상황에 몰아넣으려 한 것이다..
이택형
탈원전을 주도한 문재인은 죽여야한다
이상국
1980년대 원전에 납품하기 위해 웨스팅하우스,
플루어다니엘 등 미국업체의 자료를 열심히
연구하던 시절이 생각난다.
40년이 지난 지금은 오히려 우리가 미국에라도
수출할 역량이 생겨서, 젊은 날의 노력에
자부심을 느낀다.
아뿔싸! 문재인 무리가 나라를 말아먹으려고
집단 광기를 부려 엉망이 되었다.
문재인을 벌하고, 무너진 원전생태계가 하루빨리
복원되기 바란다.
최금석
탈원전 정책에 부역한 놈들 단체도 ...
기후변화에 살아 남을려면 안정적이고 엄청난
전력이 필요하다...
류일은
독일의 탈원전정책이 나비효과를불렀다..
러시아에게 코를꿰어 우크라이나침공을
물밑에서 도와주는 꼴이됐다..
얼마전까지 한국에선 메르켈이 우상이었다..
그러나 좌파정책이 탈원전을 부르고 나라를
에너지후진국으로 몰아넣었다...
그걸표방한 문제인과 그 졸개들은 할말없나?
강훈
국제 대기질을 알려주는 사이트를 살펴보면,
프랑스는 유럽에서 가장 깨끗한 공기를 갖고
있고, 독일은 최악이다.
메르켈의 바보짓, 이를 따라간 문산군!
국가정책은 영화를 보고 정하는 것이 아니다.
배상현
결과적으로 매르켈이 러시아에 코 꿰도록
이적질 했네.
신경섭
Merkel destroyed Europe.
이영
그래도 독일은 뭔가 철학을 가지고 탈원전을
강행했다.
근데 무능하고 사악한 문재인은 단지 지지표
댓가로 운동권에 약속한 태양광 사업권을
보장하기 위해 원자력 궤멸을 자행했다.
같은 잣대로 봐서는 안된다.
증거는 운동권이 작성한 태양광등 소위
신재생에너지 로드맵의 일정에 따라 탈원전이
무리하게 진행되었다는 명백한 증거가 있다.
hwangcholho
댓글 보면 기자의 잘못이 크다. 현상황을
제대로 보도해야지.
유럽이 가뭄에 시달리고 프랑스는 바닷가가 아닌
강가에 설립한 원전만 문제다.
강바닥이 들어나고 강 수온이 올라 원전
가동률이 떨어진 것이다.
우리 나라는 원전이 다 바닷가에 있다.
유재운
베네수엘라의 포플리즘 정책을 국영방송인
kbs가 "차베스의 위대한 실험"이라는
특집방송을 하고 국내에서 이름께나 있던
경제학자들도 앞을 다투어 차베스를 칭송하던
나라가 대한민국이다.
독일의 탈원전을 칭송하고 롤모델로 따라하던
나라가 대한민국이다.
남들이 덩더꿍 한다고 덩달아 덩더꿍 한거다.
결국 베네수엘라는 나라가 거덜나고 독일은
프랑스 원전에서 전기를 수입해서 쓴다.
그 비싼 전기료 덕분에 이번 겨울에 얼어
죽겠다고 아우성이다.
운동권들이 권력을 잡고 사회 주도세력이 되면서
허황된 이상에 빠져 알흠다운 소리만 지껄이는
세상이 되었다.
원자력도 눈부신 발전을 해서 이제는 훨씬
안전하고 폐기물도 거의 안 나오는 스마트
원전이 대세가 되었다.
한국은 러시아로 부터 이 기술을 전수받아
세계 최초로 표준원전으로 등록되었었다.
그러나 문정권의 탈원전 정책으로 미적거리다가
이제는 중국과 일본에게 뒤져서?아가느라
바쁘게 생겼다.
이제서 부랴부랴 실험용 스마트 원전을 짓는다고
한다.
hwangcholho
최근 뉴스보면 프랑스 핵발전소도 가뭄으로
생산량을 대폭 줄이고 있다는데 구글 검색해
보시고 기사 쓰세요.
바닷가가 아닌 강가에 핵발전소를 지어 가뭄과
강온도 상승으로 원전을 못돌린다고.
기자들 월급 너무 쉽게 받는다.
그리고 이런 기사 통과시키는 편집실은 뭐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