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층과 화석
(1) 지층
1) 지층:퇴적물이 쌓여서 여러 겹의 층을 이루고 있는 것을 말한다.
● 층리와 층리면:퇴적물의 색이나 크기에 의해 층과 층 사이에 구별되는 경
계선을 층리, 층리와 층리 사이의 면을 층리면이라고 한다.
2) 지층의 이용:지층을 이루는 퇴적물의 종류를 통해 지층이 퇴적될 당시의
환경을 알 수 있다.
① 석회암층:조개나 산호 등의 석회질 물질이 퇴적된 것으로, 주로 열대나 아
열대의 바다에서 퇴적된다.
② 응회암층:화산재 등이 굳은 것으로, 화산 활동이 활발했던 곳이나 그 주변
지역에서 퇴적된다.
③ 암염층:소금 등이 굳은 것으로, 주로 건조 기후의 바다에서 퇴적된다.
3) 바다 밑에서의 퇴적:해안에서 가까운 곳부터 자갈, 모래, 진흙의 순서로 퇴
적되어 역암층, 사암층, 셰일층을 형성한다.

(2) 화석
1) 화석:지질 시대에 살았던 생물의 유해나 그 흔적이 지층 속에 남아 있는
것을 말한다.
2) 화석으로 될 수 있는 것:동물의 뼈, 껍질, 발자국, 배설물, 식물의 잎이나 줄
기 등이 모두 화석으로 남을 수 있다.
3) 화석으로 남기 쉬운 조건
① 생물의 개체수가 많아야 한다.
② 뼈나 이빨 등의 단단한 부분이 있어야 한다.
③ 빠른 시간 내에 퇴적물 속에 묻혀서 훼손당하지 않아야 한다.
④ 되도록 지각 변동을 받지 않아야 한다.
4) 화석의 이용:생물의 진화 과정, 지층의 생성 시기와 과정, 지층이 퇴적될
당시의 환경, 석유.석탄의 매장 등을 알 수 있다.
5) 화석의 종류
① 표준 화석:지층이 퇴적된 시기를 알려 주는 화석으로, 생존 기간이 짧고
분포하는 면적이 넓으며 개체수가 많아야 한다.
● 고생대:삼엽충, 필석, 갑주어, 푸줄리나 등
● 중생대:공룡, 시조새, 암모나이트 등
● 신생대:화폐석, 매머드 등
② 시상 화석:지층이 퇴적되었을 당시의 환경을 알려 주는 화석으로, 생존 기
간이 길고 특정한 환경에서만 살아야 한다.
● 고사리:따뜻하고 습기가 많은 육지 환경
● 산호:따뜻하고 염분이 높으며 수심이 얕은 바다 환경
(3) 지층의 연령
지층의 연령을 아는 방법에는 어느 것이 먼저 생성된 것인지 상대적인 순서를
밝히는 방법과, 지층의 실제 연령을 밝히는 방법이 있다.
1) 상대 연령:지층이나 지각 변동의 상대적인 생성 순서를 정하는 것이다.
① 지층이 뒤집어지지 않았다면, 아래에 쌓인 지층이 위에 쌓인 지층보다 더
오래된 것이다.
② 화성암이 어떤 지층을 뚫고 들어갔다면, 화성암이 원래의 지층보다 나중에
생성된 것이다.
③ 같은 종류의 표준 화석이 발견되는 지층은 같은 지질 시대에 생성된 것이다.
④ 부정합면을 경계로 위쪽의 지층과 아래쪽 지층의 생성 시기 사이에는 오
랜 시간 간격이 존재한다.
2) 절대 연령:방사성 원소를 이용하여 암석이 생성된 시기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4) 지질 시대
1) 지질 시대:지구상에 암석이 처음 생긴 약 38억 년 전부터 인류의 역사가
시작된 약 1만 년 전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2) 지질 시대의 구분:커다란 지각 변동이나 생물계의 큰 변화를 기준으로 선
캄브리아대,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로 구분한다.
3) 지질 시대의 특징
① 선캄브리아대(약 38억~5억 7천만 년 전)
● 지질 시대 중 가장 긴 기간이지만 생물의 종류나 수가 매우 적었다.
● 생물:단세포 생물, 해면류, 해조류 등이 바다 속에서만 생활하였다.
② 고생대(약 5억 7천만~2억 4천 5백만 년 전)
● 지구상에 갑자기 많은 생물이 출현하였다.
● 생물:삼엽충, 필석, 어류, 방추충(푸줄리나), 양치식물 등이 번성하였다.
③ 중생대(약 2억 4천 5백만~6천 5백만 년 전)
● 파충류의 전성기로, 공룡이 번성하다가 갑자기 멸종하였다.
● 생물:암모나이트, 파충류, 겉씨식물 등이 번성하였다.
④ 신생대(약 6천 5백만~1만 년 전):매머드 등의 포유류와 화폐석, 속씨식
물 등이 번성하였으며, 인류의 조상이 출현하였다.
첫댓글 유후♬정말좋은자료인걸? ^-^ 이거보고열심히공부해서우리모두과학성적을올리자구우~ ㅋ [100점이면낭패-_-]
그래 열심히공부해서 과학성적올리자
와, 정리 잘되있다,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