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과 그리움이 숨 쉬는 고향 감나무에 감이 익어간다
고향 마을을 지키는 커다란 당산목
당산목 에 안녕을 빌고
추억과 그림움이 가득하다
고향집 감나무에 감이 익어간다
홍시가 열리면 울엄마가 생각이난다
당산목 앞에서면
"연분홍 치마가 봄바람에 휘날리더라,
오늘도 옷고름 입에 물고 산제비 넘나드는 성황당 길에…"
일제강점기인 1937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당선작인 정비석의 단편소설
'성황당'은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산골 아낙네의 때 묻지 않은 삶을 그렸다.
소설 속 주인공 '순이'는 가족의 안전과 행복을 오로지 성황당에 빌며 살아온
순박한 민초(民草)들의 상징이었다.
힘 있거나 재물을 가진 외간 남자의 위협과 유혹에 잠시 이끌리기도 하지만
곧장 제자리로 돌아온다.
성황님을 속일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천국으로 유혹하고 지옥으로 협박하는 외래 종교 없이도,
강제적이고 인위적인 규범 없이도,
착한 성정(性情)에 순응하며 살아온 지난날 우리 민족의 아름다운 한 모습이기도 했다.
예전 우리 시골에는 마을마다 성황당이 있고 당산목이 있었다.
그것은 고대의 '솟대'에서 비롯된 오랜 토속신앙의 유산이다.
사람들은 마을의 수호신으로 삼은 성황당과 당산목에 안녕을 빌며 공동체의 삶을 이어왔다.
'안동 용계리 은행나무'는 임하댐 건설로 수몰 위기에 놓여 있던 당산목을
이식해 보존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당시 수령 700여 년에 무게가 500여t에 이르는 노거수(老巨樹)를 있던 자리에서
그대로 15m가량 수직으로 끌어올리고 흙을 북돋워 심는 고난도의
'상식'(上植) 작업을 진행해 세계적인 화제를 모았다.
은행나무는 그렇게 부활에 성공했다.
한국의 성황당이 일본으로 건너가서는 신사(神社)가 되었다는 분석도 있다.
소박하고 서민적인 정서의 성황당이
일본에서 초월적인 권위를 지닌 신사로 확대 재건되었다는 것이다.
일본의 두려운 자연환경과 권위적 사무라이 문화가 작용했을 것이다.
일본의 신사는 여전히 대다수 일본 국민의 의식을 지배하고 있지만,
한국의 성황당은 거의 사라지고 노거수의 외형만 남았다.
상식 30주년을 맞은 용계리 은행나무가 '당산나무 할아버지'로 위촉되었다는
소식이 반가운 이유이다.
수령 800년의 노랗게 물든 은행나무가 관광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강원 원주시 반계리 은행나무에서 쏟아지는 노란빛에 홀린 듯
셀카를 찍으며 가을을 만끽했다.
반계리 은행나무는 추정 수령이 약 800년 이상으로 천연기념물 167호로 지정돼 있다.
아파트 10층 이상 높이에 둘레만 15m 안팎으로 성인 남성 10명이
두 팔 크게 벌려야 겨우 안을 수 있다.
반계리 은행나무는
‘나무 속 커다란 흰 뱀이 살고 있어 아무도 손대지 못하는 신성한 나무’라는 전설이
마을 주민들로부터 전해 내려온다.
또 가을에 단풍이 일시에 들면 다음 해에 풍년이 든다는 속설도 있을 정도다.
특히 단풍이 절정에 이르는 10월 말~11월 초에는 800년 역사를 가진 은행나무가 주는
황금빛으로 온 마을이 물드는 장관을 담기 위해 가을 손님으로 가득하다.
명절이면 소원지, 봄이면 새싹이 돋고,
단오날은 그네가 걸리고 연분홍 치맛자락 날리고 분냄새로 사랑을 속삭인다
여름은 쉼터 낮잠으로 마음을 쉬게하고
명절은 기다림의 터
가을이면 음악회, 그림터
고향집 감나무에 홍시가 여린다
추억과 그리움이 숨 쉬는 무구무애의 아름다움이 숨 쉬고 있다
당산목을 지나 골목길을 올라가면
마을 가운데 커다란 기와집이 빙그레 웃고 있다
그리움과 추억이 꿈꾸는 고향집이다
커다란 감나무에 감이 익어간다
홍시를 따다 이웃집에 나누던 감나무다
감이 익어 홍시가 되겠지
곶감을 내겠지만
까치밥 한두 개 남겨 놓겠지....
달콤한 그리움
조롱조롱 저 감은
어릴 적 그 홍시를 닮았다
말만 들어도 그리워지는
아!! 어머니 기억
홍시 노래를 불러본다
생각이 난다 홍시가 열리면 울엄마가 생각이난다
자장가 대신 젖가슴을 내 주던 울엄마가 생각이난다
눈이 오면 눈맞을 새라
비가 오면 비젖을 새라
험한 세상 넘어질 새라
사랑 땜에 울먹일 새라
그리워진다 홍시가 열리면 울엄마가 그리워진다
눈에 넣어도 아프지도 않겠다던 울엄마가 그리워진다
생각이 난다 홍시가 열리면 울엄마가 생각이난다
회초리 치고 꿇어앉아 우시던 울엄마가 생각이난다
바람 불면 감기들 새라
안 먹어서 약해질 새라
힘든 세상 뒤쳐질 새라
사랑 땜에 아파할 새라
그리워진다 홍시가 열리면 울엄마가 그리워진다
생각만 해도 눈물이 핑 도는 울엄마가 그리워진다
생각만 해도 가슴이 찡 하는 울엄마가 그리워진다
울엄마가 생각이난다 울엄마가 보고파진다
어머니의 아름다운 삶이 생각 난다
하나님의 형상을 닮았다
그래서 하늘의 길인 사단의 삶을 사셨다
늘 사람이 중심이다
늘 삼가며, 남을 먼저 생각하고, 사랑으로 사셨다
참된 인간의 삶을 사신 어머니의 아름다움을 생각하며
고향집을 찾았다
어머님이 계시던 고향집 감이 익어간다
어머니가 그랬다.
그 많은 자식들의 뒷바라지를 위해 당신의 몸이 망가지는 줄도 모르고 일을 했다.
주렁주렁 딸린 일곱 남매를 건사하느라 정작 당신 자신은 돌볼 새가 없었다.
자식들 입에 음식 들어가는 모습이 가장 보기 좋다던 어머니,
하지만 당신의 입에는 자식들이 먹고 남은 거친 음식뿐이었다.
자식들이 자라는 동안 어머니의 속은 썩어가고 있었고
무릎은 망가져서 수술도 약발도 듣지 않았다.
자식들을 모두 결혼시켜 새 둥지까지 마련해 주고
감나무처럼 병든 고목이 되어 세상을 떠나셨다.
대봉감을 깨끗이 씻어 물기를 말리기 위해 햇살 좋은 뜨락에 널어놓는다.
어머니가 그랬던 것처럼 홍시로 잘 숙성시켜서 이웃과 나눌 것이다.
이웃에 어머니의 사랑을 나누며
하늘의 길인 사단의 삶을 살고자 다짐한다
어질다 측은지심(惻隱之心 불쌍히 여김 仁)
두텁게 갈고 닦는다 수오지심(羞惡之心 부끄러워 한다 義)
숭상한다 사양지심(辭讓之心 겸손, 사양, 배려 禮)
넓히는 것이다 시비지심(是非之心 옳고 그름을 가린다 지혜롭다 智)
널리 알린다 광명지심(光名之心 바르게, 믿음을 준다 信)
성실한 마음은 信의 실마리로 신독하게 사는 마음이다 (誠實之心 信之端也(信)
박인로의 시조를 중얼거린다. 반중(盤中) 조홍(早紅)감이 고와도 보이나다
유자(柚子) 아니라도 품엄즉도 하다마는
품어가 반길 이 없을 새 글로 설워하노라.
어머니 보고 싶습니다
그리고 참 그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