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쿠카라차 라쿠카라차 아름다운 그 얼굴, 라쿠카라차 라쿠카라차 희한하다 그 모습” 멕시코 민요 라쿠카라차(La cucaracha)에 나오는 가사 일부다. ‘라쿠카라차’는 바퀴벌레를 뜻한다. 디아스정권을 타도하기 위해 벌였던 멕시코 혁명(1910~1920년) 당시, 혁명군 남편을 따라나선 아내들이 스스로를 자조하듯 불렀던 말이라고 한다. 온갖 고난 속에서도 살아남는 강인한 생존력을 강조한 것이다.
3억6000만~3억 년 전 지구상에 출현한 이 작은 곤충은 공룡 멸종과 수많은 빙하기를 견뎌냈다. 30만 년 전쯤 지구에 나타났다는 호모 사피엔스가 끝장낼 수 있는 상대가 아니다. 그런데 지난 5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 곤충학 연구진이 생물학지 ‘커뮤니케이션 바이올로지’에 바퀴벌레가 인간이 자신들을 절멸시키려는 노력에 맞서 사랑을 나누는 방식을 바꾸고 있다고 발표했다.
세계엔 수천 가지 종류의 바퀴벌레가 있지만 인간에게 친숙한 종은 4~5가지이다. 독일바퀴ㆍ미국바퀴ㆍ일본바퀴ㆍ먹바퀴 등이다. 그중에 집에서 인간과 함께 사는 걸 특히 좋아하는 게 독일바퀴이다. 집 안 어두운 곳이나 부엌을 빨빨거리며 돌아다니는 녀석들이다. 2㎝에 못 미치는 작은 크기에 갈색 몸통, 대가리에 두 줄이 보이는 바로 그 녀석들이다. 해충구제업체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는 종이 독일바퀴벌레이다.
독일바퀴벌레는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종이다. 집 안에 사는 걸 좋아하며 인간이 남긴 걸 먹는다. 그런데 독일바퀴의 사랑법은 좀 과격한 편이다. 수컷이 암컷을 발견하면 날개를 들어 올리고 천천히 다가간다. 그리고 엉덩이 부분을 먼저 암컷 쪽으로 들이민다. 수컷의 등 마디에선 아주 달콤한 분비물을 내놓은 땀샘 같은 게 있는데, 각종 당류와 지방, 아미노산이 범벅된 분비물이 여기서 나온다. 이 걸 암컷에게 준다.
수컷 분비물은 암컷 입맛에 딱 맞도록 배합돼 있다. 암컷은 이 분비물에만 정신이 팔리게 된다. 이때를 틈타 수컷은 하나의 생식기로 암컷을 꽉 잡고, 다른 생식기로 암컷의 몸 안에 정액을 밀어 넣는다. 바퀴벌레의 교미는 최대 90분까지 지속한다. 이렇게 또 한 쌍의 바퀴벌레가 번식에 성공한다. 사실 인간 입장에서 보면 범죄에 가까운 연애 방식이지만, 자연은 때로는 잔인하고 폭력적이다.
이 교미 방식이 최근 들어 바뀌고 있다는 게 연구진에 의해서 밝혀졌다. 1시간이 넘도록 느긋하게 즐기던 사랑이 속전속결 식으로 변해가고 있다. 90년대 이후 출생한 바퀴벌레 중엔 단 맛(포도당)을 전혀 좋아하지 않는 개체가 급증한 것이다. 원인을 분석한 결과, 이는 80년대 해충구제업체의 바퀴벌레 퇴치전술 변화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그전까지는 화학 살충제를 주로 썼지만 바퀴벌레 내성이 강해지고 환경 규제도 심해지다 보니 다른 방법을 찾았다. 바로 독 먹이였다. 독이 든 먹이를 바퀴벌레가 다니는 길목에 설치해서 죽이는 방식이었다. 독 먹이는 바퀴벌레가 매우 좋아하는 단당류인 포도당에 약을 타서 만들었다. 하지만 이 변화로 인해 바퀴벌레가 진화했다.
인간의 신무기가 등장한 지 10년이 지나자 바퀴벌레가 슬슬 적응을 시작했다. 독일바퀴는 수명이 약 3개월로 짧고, 암컷은 평생 수만 마리 새끼를 낳을 정도로 번식력이 왕성하다. 한 세대에 수많은 개체가 등장하고, 세대의 교체 또한 빠르니 진화의 속도도 매우 빠르다. 포도당을 좋아하는 개체들이 대거 사라지면서 포도당을 안 좋아하는 개체만 생존해 번식하는 일이 일어났다. 구세대 바퀴벌레가 포도당에서 단맛을 압도적으로 느낀 것에 비해 신세대 바퀴벌레는 포도당에서 쓴맛을 강하게 느껴 멀리한다고 한다. 물론 이번 연구에서 바퀴벌레가 혐오감을 강하게 느끼는 건 당류 중 포도당에 국한되었다. 다른 당류를 좋아할 가능성이 열려 있다.
연구진의 한 명인 와다-카쓰마타 박사는 “인간과 바퀴벌레를 포함해 모든 동물은 자신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미각 시스템을 발달시켰다. 독이 든 물질에서 쓴맛을 느끼는 시스템이다. 특히 단맛과 쓴맛이 섞여도 쓴맛을 더 압도적으로 느껴 먹기를 꺼리게 된다. 독은 조금만 들어와도 치명적이니까 생명체가 자기를 보호하기 위해 만든 체계다. 신세대 바퀴벌레는 포도당에서 쓴맛을 크게 느끼면서 먹기를 포기한다.” 단맛을 좋아하는 녀석은 죽고 단맛을 싫어하는 녀석이 등장한 것이다.
이렇게 신세대 바퀴벌레가 등장하면서 수컷의 사랑법에 중대한 변화가 생겼다. 수컷은 암컷에게 단맛이 나는 분비물을 줘서 유혹했는데 신세대 암컷은 수컷이 공들여서 만든 분비물을 한입만 먹어도 웩하고 도망쳐버린다. 최대 90분까지 교미를 했던 구세대 수컷은 성질 자체가 느긋해서 신세대 암컷의 재빠른 도망에 반응을 못 했다. 암컷이 분비물을 맛보고 도망치는 데 걸리는 시간은 고작 3초니까 구세대 수컷은 암컷을 붙들어두지를 못했다. 하지만 신세대 수컷은 그 3초 동안 빠릿빠릿하게 반응했다. 신세대 수컷은 단맛을 싫어하는 암컷에게 대응하는 새로운 전략을 개발해냈다. 더 빨리 교미를 해치우는 거다. 게다가 분비물도 포도당을 줄이는 식으로 바뀌고 있다.
바퀴벌레를 상대하는 무기 체계의 변화는 바퀴벌레의 진화뿐 아니라 주변에 있는 생물의 진화에 지배적 영향력을 미친다. 오염이 심한 공업지역에 사는 나방들이 흰 색깔에서 검은 색깔로 진화한 것처럼. 바로 적자생존이다. 과학 용어로는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라고 한다. 보통 진화는 자연에서 벌어지는 변화 때문에 나타나지만, 인간이 개입해 주변 생물체의 진화를 일으키기도 한다. 진화는 생물이 살아남기 위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흔히 진화를 발전과 동의어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엄밀히 말하면 그렇지 않다. 단지 주변 환경에 더 잘 적응하고 생존에 적합한 종이 많이 살아남게 된다는 걸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