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페달의 압력이 브레이크오일 탱크로부터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를 브레이크 라인을 통해 캘리퍼나 휠실린더로 전달되어 그 힘으로 브레이크 패드나 라이닝을 마찰시켜 자동차가 안전하게 정지 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 |
 |
 |
브레이크 계통에서 쉽게 생각가기 쉬운부분이 브레이크 오일인데 대부분 운전자는 브레이크오일의 상태나 양을 확인하고 부족하면 채우는 정도로만 생각하고 있습니다 . 브레이크 오일은 브레이크 계통에서 실제로 제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선진국에서도 품질에 따른 기준을 정해 철저히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 브레이크 오일은 여러 중요한 품질 기준과 수준이 있는데 , 특히 끓는점은 안전과 관계되는 매우 중요한 기준이기도 합니다 . 그러나 다른 성질이나 특성을 무시한채 무조건 높은 온도의 브레이크오일을 제조하는 것을 막기 위해 품질기준을 마련해서 엄격한 품질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안전기준에 의해 관리를 하고 있는데 브레이크오일 보충을 위해 부품상에서 브레이크 오일을 구입할 때 보면 DOT3,DOT4… 라는 표시를 볼수 있는데 이표시는 끓는점을 표시해 놓은 것입니다 . 숫자가 높을수록 끓는 점이 높은 브레이크 오일이며 보통 사용되는 브레이크 오일의 기본 최소 끓는점이 205 ℃ ~260 ℃정도됩니다 . | |
마찰의 발생
|
[ 마찰열로 인해 브레이크 디스크 과열 ] |
브레이크패드 등이 디스크나 드럼에 압력을 가할 때 마찰이 발생하는데 이 마찰이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자동차를 멈추도록 하는 것인데 이때 발생된 열에 의해 브레이크 오일의 온도가 올라가게 됩니다 . 레이싱자동차 같은경우 700 ℃ 이상 올라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 이렇게 장시간 브레이크에서 발생한 열은 브레이크오일의 화학적 성분과 성질을 변하게 하는데 가장대표적인 현상이 브레이크오일이 열에 의해 끓어 기포가 생기는 현상입니다 .
| |
|
스펀지현상 (Vapor Lock) |
 |
고속주행시 가끔 브레이크 계통의 갑작스런 고장에 의해 자동차 사고가 발생하는데 이런 현상은 브레이크오일에 기포가 생겨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생한 유압이 휠실런더를 거쳐 브레이크 페드나 라이닝으로 전달되어야 하는데 유압라인에 기포가 생기게 되면 유압을 기포가 스펀지처럼 흡수해 버려 유압이 휠실린더로 전달 되지 못해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 이런 현상은 평소 운행때는 일어나지 않지만 고속주행 중 잦은 브레이크나 내리막길에서 브레이크를 밟고 내려갈 경우 일어날수 있습니다 . | |
|
브레이크오일의 수분과 제동거리 |
 |
수분은 마찰열에 의해 쉽게 증기로 되고 이 증기에 의해 제동력이 저하되어 브레이크를 밟을 때 자동차가 쉽게 멈추지 않고 밀리게 됩니다 . 수분은 브레이크에서 나쁜 영향을 미치는데 브레이크오일은 일반오일과 틀리게 수분과 잘 섞이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보통 새차가 1 년정도 까지는 2~3% 정도의 수분을 흡수는데 2~3 년이 지나면 7~8% 의 수분을 지니게 됩니다 . 이런 수분이 섞혀있는 브레이크오일은 브레이크의 열에 의해 쉽게 기화되어 브레이크성능을 저하시키게 되는 것입니다 . | |
특히 수분은 브레이크 계통의 금속이나 고무 부품을 부식시키거나 변형이나 노화를 시키기도 합니다 . 특히 ABS 가 장착된 차량의 경우 더욱 그러합니다 . 수분은 공기 중에도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오일은 항상 수분을 조금씩 흡수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특히 장마철이나 엔진 내부세차 등의 경우 많은 수분을 흡수할 수 있겠지요 . 이 때문에 안전을 위해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오일을 1~2 년에 1 번 정도는 교환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 |
|
브레이크오일의 종류와장단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브레이크오일은 DOT3 라는 등급인데 가격이 저렴하고 쉽게 구할수 있어 널리 이용되는데 오래 수분을 쉽게 흡수하고 일단 수분이 흡수되면 브레이크 라인과 실린더의 부식을 시키게 됩니다 . DOT4 는 DOT3 보다는 수분 흡수속도가 낮고 끓는점도 높아 브레이크계통이 높은 온도에서도 견딜수 있는 고성능 자동차에 적당합니다 . DOT4 이상의 브레이크오일은 가격도 비싸고 구하기도 쉽지 않기 때문에 일반 자동차에서는 쓰이지 않고 있습니다 . |
|
브레이크오일점검 |
 |
- 색깔을 확인한다 . 브레이크오일의 색깔은 투명한 노란색을 띄게 되는데 오염이 되면 갈색이나 검정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 오일이 수분을 흡수 하거나 발생한 기포가 잦은 브레이크패달의 압력에 의해 분산되어 우유빛으로 변하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 교환주기를 확인한다 . 브레이크오일은 오염이 되었거나 오래 사용해도 당장에는 문제가 없을 수 있지만 고속주행이나 브레이크 계통의 높은 열에 의해 순간적으로 브레이크오일의 성능이 현저히 떨어질 수 있으므로 교환주기에 맞추어 교환하는 것이 안전을 위해 좋습니다 . | |
첫댓글 감사합니다 담아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