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7월 5일 한국 성직자들의 수호자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순교자
제1독서
<너희는 성소와 제단 사이에서 즈카르야를 살해하였다(마태 23,35 참조).>
▥ 역대기 하권의 말씀입니다.24,18-22
그 무렵 요아스 임금과 유다의 대신들은
18 주 저희 조상들의 하느님의 집을 저버리고,
아세라 목상과 다른 우상들을 섬겼다.
이 죄 때문에 유다와 예루살렘에 진노가 내렸다.
19 주님께서는 그들을 당신께 돌아오게 하시려고 그들에게 예언자들을 보내셨다.
이 예언자들이 그들을 거슬러 증언하였지만,
그들은 귀를 기울이지 않았다.
20 그때에 여호야다 사제의 아들 즈카르야가 하느님의 영에 사로잡혀,
백성 앞에 나서서 말하였다. “하느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너희는 어찌하여 주님의 계명을 어기느냐?
그렇게 해서는 너희가 잘될 리 없다.
너희가 주님을 저버렸으니 주님도 너희를 저버렸다.’”
21 그러나 사람들은 그를 거슬러 음모를 꾸미고,
임금의 명령에 따라 주님의 집 뜰에서 그에게 돌을 던져 죽였다.
22 요아스 임금은 이렇게 즈카르야의 아버지 여호야다가
자기에게 바친 충성을 기억하지 않고, 그의 아들을 죽였다.
즈카르야는 죽으면서,
“주님께서 보고 갚으실 것이다.” 하고 말하였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제2독서
<우리는 환난도 자랑으로 여깁니다.>
▥ 사도 바오로의 로마서 말씀입니다.5,1-5
형제 여러분, 1 믿음으로 의롭게 된 우리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느님과 더불어 평화를 누립니다.
2 믿음 덕분에, 우리는 그리스도를 통하여
우리가 서 있는 이 은총 속으로 들어올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하느님의 영광에 참여하리라는 희망을 자랑으로 여깁니다.
3 그뿐만 아니라 우리는 환난도 자랑으로 여깁니다.
우리가 알고 있듯이, 환난은 인내를 자아내고
4 인내는 수양을, 수양은 희망을 자아냅니다.
5 그리고 희망은 우리를 부끄럽게 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받은 성령을 통하여
하느님의 사랑이 우리 마음에 부어졌기 때문입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너희는 나 때문에 총독들과 임금들 앞에 끌려가 그들과 다른 민족들에게 증언할 것이다.>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10,17-22
그때에 예수님께서 사도들에게 말씀하셨다.
17 “사람들을 조심하여라.
그들이 너희를 의회에 넘기고 회당에서 채찍질할 것이다.
18 또 너희는 나 때문에 총독들과 임금들 앞에 끌려가,
그들과 다른 민족들에게 증언할 것이다.
19 사람들이 너희를 넘길 때, 어떻게 말할까, 무엇을 말할까 걱정하지 마라.
너희가 무엇을 말해야 할지, 그때에 너희에게 일러 주실 것이다.
20 사실 말하는 이는 너희가 아니라 너희 안에서 말씀하시는 아버지의 영이시다.
21 형제가 형제를 넘겨 죽게 하고 아버지가 자식을 그렇게 하며,
자식들도 부모를 거슬러 일어나 죽게 할 것이다.
22 그리고 너희는 내 이름 때문에 모든 사람에게 미움을 받을 것이다.
그러나 끝까지 견디는 이는 구원을 받을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인기 강사로 잘 나가던 강사가 어느 순간에 인기가 예전 같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재미가 없어서 그럴까 싶어서 전보다 유머를 더 많이 사용했지만,
점점 불러 주는 곳이 줄어들 뿐이었습니다. 생각해 보니 자기만 그런 것이 아니었습니다.
‘메뚜기도 한 철’이라는 속담처럼, 인기 강사라는 사람들의 인기가 어느 한순간 사라지더라는 것이지요.
그의 스승님을 찾아가서 왜 그런지를 여쭈었습니다.
다음은 그 스승과의 대화 내용입니다.
“유명 강사들이 오래도록 인기를 누리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소크라테스가 인기 없어지는 것 봤어?”
“아니요.”
“소크라테스가 아니라서 인기가 없어지는 거야.”
큰 깨달음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소크라테스의 지혜가 워낙 깊기에 그 인기가 사라지지 않는 것이지요.
잔재주로 인기를 얻으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도 깊이 있는 내용으로 다가서야 했던 것입니다.
예수님의 인기도 마찬가지 아닙니까? 예수님 가르침의 깊이로 인해 인기는 절대로 사라지지 않습니다.
즉, 방법의 문제가 아닌, 깊이의 문제였습니다.
저도 많은 반성을 하게 됩니다. 얼마나 깊은 묵상으로 강론과 강의를 준비했었는지를 반성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사람들에게 오래 기억되는 사람은 말 잘하고 능력 있는 사람이 아니었습니다.
깊이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었습니다.
한없는 깊이로 우리에게 다가오시는 주님이십니다.
우리 역시 진실된 마음으로 깊이 있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사랑, 믿음, 희망을 세상의 말로만 외치는 것이 아닌, 깊이 있는 행동으로 실천해야 합니다.
무엇보다 주님께 잊히지 않는 사람이 될 것입니다.
오늘은 한국 성직자들의 수호자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순교자를 기억하는 날입니다.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님께서는 사제로서는 아주 짧은 시간을 사셨습니다.
그런데도 한국 성직자들의 수호자로 오랫동안 우리의 기억 속에 남을 수 있었던 것은 깊이 있는 삶,
주님께 최선을 다하는 삶을 사셨기 때문입니다.
박해자의 칼날에 큰 두려움 속에 떨 수도 있는 상황이지만,
주님께 최선을 다하는 삶 안에서 끝까지 견디실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결국 주님의 말씀처럼 구원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우리의 삶을 다시금 살펴보았으면 합니다.
주님의 뜻을 따르면서 얼마나 깊이 있는 삶을 사셨습니까? 그 삶이 우리의 구원을 결정합니다.
오늘의 명언:
어른들은 누구나 처음에는 어린이였다.
그러나 그것을 기억하는 어른은 별로 없다('어린 왕자' 중에서).
사진설명: 바티칸의 갓 쓰고 도포 입은 김대건 신부님 성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