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시아와 중국, 미국이 세계를 바꿔놓은 비결 How Can Russia, China, and the United States Change the World ? By Vladimir Odintsov Mar 29, 2020 - 3:16:08 AM |
https://journal-neo.org/2020/03/28/how-can-russia-china-and-the-united-states-change-the-world/
제 2 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국제 질서에 심각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거의 30 년 동안 워싱턴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명확한 미국 헤게모니와 함께 세계 질서를 확립하려는 욕구를 공개적으로 표명한 후, 러시아와 중국의 정책은 최근에 여러 다른 지역에서 국제적으로 영향력이 커지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국제 생활에서 오늘날 가장 큰 3 대 선도국인 미국, 러시아 및 중국의 삼각 세력 역학에 점점 더 객관적인 관심이 기울여지고 있습니다.
There are some serious changes taking place in the international order that has prevailed since the end of World War Two. After what has been almost three decades of Washington openly expressing its desire to establish a world order with a clear-cut US hegemony to serve its own interests, the policies of Russia and China have recently been growing increasingly influential internationally in various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That is why more and more objective attention is universally being paid to the triangular power dynamic of today's three biggest players in international life: the United States, Russia and China.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2007 년 뮌헨 보안 회의에서“냉전 이후 제안된 단극 세계도 일어나지 않았다. 단극 모델은 수용할 수 없을뿐만 아니라 오늘날 세계에서도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기존의 세계 질서를 비판하고 NATO가 의무를 이행하지 못한 방법과 당시 많은 서구 정치 엘리트들이 그를 비판한 국제법에 대한 미국의 무시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그러나 10 년 후, 한 서방 지도자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중국과 인도 같은 국가들도 지정학적 목표를 가지고 있는 다극체제 세계"에 대해 말하기 시작했습니다. 비슷한시기에, 프랑스의 유엔 대표 프랑수아 델타트르 (François Delattre)는 "다극 체제의 출생 증명서"로 파리 기후 협정에서 미국이 철수한 것이 기화가 되었다고 특징지었다.
"The unipolar world that had been proposed after the Cold War did not take place either. I consider that the unipolar model is not only unacceptable but also impossible in today's world," Vladimir Putin said at the Munich Security Conference back in 2007. He went on to criticize the existing world order, and spoke about how NATO has failed to fulfill its obligations, and of America's disregard for international law, which many Western political elites criticized him for at the time. Ten years later however, one Western leader, German Chancellor Angela Merkel, began speaking about a "multipolar world in which countries such as China and India also have geostrategic goals." Around the same time, Permanent Representative of France to the UN François Delattre characterized America's withdrawal from the Paris climate accord as the "birth certificate of a multipolar world".
전문가와 정치인들은 싱크 탱크와 전 세계 컨퍼런스에서 대형 국가들은 다극 체제와 새로운 권력, 지역 권력, 대규모 경제의 출현에 적응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서방의 러시아와의 관계는 결코 간단하지 않았지만, 중국을 미국의 적으로 분류하는 것은 훨씬 덜 예측 가능한 사건이었습니다.
In think tanks and at conferences around the world, experts and politicians are saying that large countries need to adapt to multipolarity and the emergence of new poles of power, regional powers, and large economies.
The West's relations with Russia have never been straight-forward, but categorizing China as a US adversary was a far less predictable turn of events.
1970 년대 초 리차드 닉슨 (Richard Nixon)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처음 방문한 후 반 공산주의자였던 미국과 중국이 화해에 들어갔다는 사실을 잊지마십시오. 그의 마오쩌둥 주석과의 만남은 외교 정책에서 미국의 실용주의를 보여주는 진정한 쇼였다.
Let's not forget that the United States and China came to a rapprochement in the early 1970s following US President Richard Nixon's first visit to China, who happened to be ardently anti-Communist. His meeting with Chairman Mao Tse-tung was therefore a true show of American pragmatism in foreign policy.
마오가 사망 한 후, 중국 지도부가 1980 년대 초 서방에서 중국 개방으로 알려진 "개혁과 개방"정책을 시작했을 때, 서방은 중국이 민주화와 자유화로 나아갈 것이라고 확신했다. 로널드 레이건의 국가 안보 전략이 "중화 인민 공화국과의 긴밀한 관계"를 육성하는 것에 대해 말한 이유입니다. 조지 H. W. 부시 (George H. W. Bush) 하에서 천상의 제국은 미국처럼 "지역 안정과 세계적 힘의 균형에 결정적으로 기여한"또 다른 국가로 여겨졌다. 1994 년부터 2010 년까지 빌클린턴 Bill Clinton, 조지부시 George W. Bush 및 버락 오바마 Barack Obama의 국가 안보 전략에서 중국과의 협력 필요성이 언급되었습니다. 2015 년에 오바마의 국가 안보 전략은 "중국의 부상이" 주요 권력 관계의 미래에 중요한 충격"의 잠재성을 가진 것으로 묘사했다.
After Mao's death, when the Chinese leadership was launching its policy of "reform and opening-up" in the early 1980s, known in the West as the Opening of China, the West was confident that China would move towards democratization and liberalization. That is why Ronald Reagan's National Security Strategy spoke about fostering "closer relations with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Under George H. W. Bush, the Celestial Empire was seen as another state that, like the United States, has "contributed crucially to regional stability and the global balance of power." The need to cooperate with China was mentioned in the national security strategies of Bill Clinton, George W. Bush and Barack Obama from 1994 to 2010. Obama's National Security Strategy in 2015 even describes the rise of China as having the potential to "significantly impact the future of major power relations."
그러나 2017 년 미국 국가안보 전략 (National Security Strategy)에서 베이징은 이미 적대국으로 언급되었으며, 이 보고서는 미국인들이 그들의 파트너 중국을 자유화하려는 모든 희망을 잃었다고 인정하며 이렇게 보고했다 : "우리의 희망과 달리 중국은 다른 국가들의 주권을 희생시켜서 자국 권력을 확장했다. "
백악관에 따르면 베이징은 "미국의 지정학적 이점에 맞서고 국제 질서를 자국에 유리하게 바꾸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점에서 러시아와 유사하게 운영되고있다.
However, in the US National Security Strategy for 2017, Beijing is already referred to as adversary, and the report admits that the Americans have lost all hope of liberalizing their partner: "Contrary to our hopes, China expanded its power at the expense of the sovereignty of others." According to the White House, Beijing is operating similarly to Russia in that "they are contesting [America's] geopolitical advantages and trying to change the international order in their favor."
현재 러시아, 중국, 미국의 관계에서 관찰되고 있는 추세는 미국은 확립된 글로벌 지배국 hegemon인데 및 유라시아에서 부상하고있는 세력 즉 러시아, 중국에 대항한 더 큰 전략적 경쟁이 있을 것으로 예상 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미국은 독점적 통제와 세계 지배적 지위에 집착하고 있는데, 이런 미국과는 달리 20 세기 말 사회주의 블록 붕괴 이후에 회복세를 확보한 러시아와 중국은 현재 자신의 권력 축을 구축하고 있다. 이것은 다극체제 세상 multipolar world을 만들겠다는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The trends that are currently being observed in relations between Russia, China and the United States indicate that we can expect to see greater strategic rivalry between the United states, the established global hegemon, and the powers that are emerging in Eurasia. In contrast to the United States, which is trying to cling onto its monopolistic control and the position of world domination it gained after the collapse of the socialist Eastern Bloc at the end of the twentieth century, Russia and China are now building their own axis, moving towards the goal of becoming a multipolar world.
미국과 중국 사이의 선택에 직면한 러시아는 두 가지 이유로 베이징으로 자연스럽게 가까워졌다. 정치적 관점에서 볼 때, 북대서양 조약기구 NATO 가 계속 존재하는 세계에서 모스크바는 결코 서방과 완전한 이해에 도달할 수 없습니다. 이 대서양 횡단 안보 동맹이란 여전히 러시아를 인지된 위협이라고 전제하면서 존재하며, 이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다른 국가로 국경을 확장시키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나토에 가입한 각각의 새로운 회원국은 러시아를 향한 압박이며, 모스크바를 위협이라고 명백히 해석합니다.
Faced with a choice between the US and China, Russia has naturally gravitated closer towards Beijing for two reasons. From a political point of view, in a world where the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continues to exist, Moscow will never be able to reach a full understanding with the West. The existence of this transatlantic security alliance is still premised on a perceived threat posed by Russia, which is also the reason it gives for expanding its borders into other countries whenever an opportunity presents itself. Each new member state joining NATO is a move directed against Russia, and is unambiguously interpreted as a threat by Moscow.
러시아가 중국과의 파트너십으로 얻는 상호 경제적 이익은 양국의 파트너쉽에 유리한 또 다른 합리적인 주장이다. 중국은 제조 강국이며 러시아는 천연 자원이 풍부합니다. 중국에는 막대한 노동력이 있어 러시아의 심각한 인구 감소를 상쇄할 수 있습니다.
러시아의 미래가 동방으로 향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순전히 지리적, 전략적 관점에서도 모스크바는 인구 밀도가 매우 낮은 지역 인 동부지역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해야하지만 이곳은 국가 전체 면적의 75 % 이상을 차지합니다.
The mutual economic benefits of partnering with the Chinese are another reasonable argument in favor of Russia's partnership with China. China is a manufacturing powerhouse, while Russia is rich in natural resources. China has a massive labor force, which could help offset Russia's serious demographic decline.
It is also possible that Russia's future will be more orientated towards the East. Even from a purely geographical and strategic point of view, Moscow needs to invest heavily in developing its own Eastern regions, which are characterized by an extremely low population density, although they also make up more than 75 percent of the country's total land area.
따라서 모스크바와 베이징이 논란의 여지가 많은 국제 문제에 대해 유사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는 사실은 놀라운 일이 아니며, 양국 지도자들이 외부의 위협에 직면하여 양국 관계의 중요성을 반복해서 강조해 왔습니다. 그들은 남중국해 분쟁에서 베트남의 영토 분쟁 및 에너지 정책과 같은 특정 지역 문제에 대한 직접적인 대립을 피하고 대중적 토론에 동의하지 않으며 또 문제를 제기하지 않는 것을 선호합니다.
It is therefore no wonder that Moscow and Beijing are effectively taking similar stances on many controversial international issues, and the leaders of both countries have repeatedly 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ir bilateral relations in the face of external threats. They prefer to avoid direct confrontations on certain regional issues, such as Vietnam's territorial dispute and energy policy in the South China Sea dispute, and avoid bringing up the points on which they do disagree in public discussion.
소비에트 연방이 중화 인민 공화국을 인정한 최초의 국가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중국 산업을 건설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모스크바였으며, 현재의 중국과는 비교할 수 없지만, 당시에 그런 기초 없이는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중국 기업 화웨이가 러시아 최초의 5G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있게함으로써 모스크바는 베이징과 미국의 무역 전쟁이 치열해지면서 필사적으로 필요한 지원을 제공했다.
It should not be forgotten that the Soviet Union was the first state to recognize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t was Moscow that helped lay the foundations to build Chinese industry, and although China is now unparalleled, none of this would have been possible without those foundations. By allowing the Chinese company Huawei to build Russia's first 5G network, Moscow provided Beijing with the support it desperately needed as the trade war with the United States escalated.
모스크바와 베이징은 군대를 강화하고 현대화하고 공동 군사훈련을 실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의 목표는 중국과 러시아가 모두 확장론으로 간주하는 미국의 전쟁 기계를 대항하는 것입니다. 중국이 다른 나라보다 러시아에서 더 많은 무기를 구입했다는 사실은 그들의 유대가 얼마나 강한지를 나타냅니다. 중국이 구매한 모든 무기의 약 80 %가 러시아제입니다. 베이징은 방위 산업에서 모스크바의 최고 바이어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러시아 국방 수출에서 중국의 점유율은 약 25 %입니다.
Moscow and Beijing are working to strengthen and modernize their armed forces, and also hold joint military exercises. The goal of these actions is to contain the American war machine, which both China and Russia see as expansionism. The fact that China has purchased more weapons from Russia than from any other country indicates just how strong their ties are. The figures speak for themselves: about 80 percent of all weapons purchased by China are Russian. Beijing, in turn, has become one of Moscow's top buyers in the defense industry: China's share in Russian defense exports is about 25 percent.
더욱이 미국 자체는 중국과 러시아가 "전략적 경쟁자"라고 표시함으로써 보다 긴밀한 관계를 발전시키도록 조장하고 있다. 그렇게함으로써 워싱턴은 불가능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베이징과 모스크바를 더 가깝게 밀면서 동시에 쐐기를 박으려고 합니다.
Moreover, the US itself is encouraging China and Russia to develop closer relations by labeling them "strategic rivals". By doing so, Washington is trying to achieve the impossible, pushing Beijing and Moscow closer together while trying to drive a wedge between them at the same time.
이제 워싱턴이 제안한 세계 패권에 대한 대안으로 새로운 모델에 따라 세계 질서를 재구성하고 양국 차원의 관계부터 시작하여 게임 규칙을 공정하게 만들며, 이에 가담하는 다른 국가의 숫자를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이것은 아마도 세계가 러시아와 중국에서 찾고있는 것일 수 있습니다. 20 세기 후반 동안 사회주의 체제는 자본주의 체제와 함께 존재했고 그들은 서로를 자극했다. 비즈니스 경쟁이 중요하기 때문에 경쟁 질서, 이데올로기 및 세계 질서를 위해 제안된 모델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것은 우리의 전진을 몰아갑니다.
There is now talk of re-shaping the world order according to a new model as an alternative to the global hegemony proposed by Washington and making the rules of the game fairer, starting with relations on a bilateral level, then broadening out to include an increasing number of other countries. This may perhaps be what the world is looking for from Russia and China. For almost the entire second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socialist system existed alongside the capitalist system. They spurred each other on. It is just as important to have competing motivations, ideologies, and proposed models for our world order as it is important to have competition in business. It drives our progression.
Vladimir Odintsov, expert politologist, exclusively for the online magazine ‘New Eastern Outloo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