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mes Thurston Nabors ( 1930 – 2017)
was an American actor, singer, and comedian
Jack Gold (Jacob Gold, 1921 - 1992)
It Hurts To Say Goodbye
안녕이라고 말하기 괴로워
Comment Te Dire Adieu ?
Arranged By Arnold Goland
1'58
Lyrics by: Arnold Goland
Music written by: Jack Gold
It Hurts To Say Goodbye lyrics
Take me in your arms and hold me tight,
tell me that your love is mine tonight,
say that everything will turn up right,
it hurts to say goodbye.
Let me know the thrill of your embrace,
memories that time can not erase,
why'd I kiss the teardrops from your face,
it hurts to say goodbye.
Wherever you are,
you will always be near to me,
wherever I go,
you'll be here in my heart.
Till the sun comes shining through again,
till we see a sky of blue again,
till I'm back with you, my loved, till then,
it hurts to say goodbye.
Wherever you are,
you will always be near to me,
wherever I go,
you'll be here in my heart.
Till the sun comes shining through again,
till we see a sky of blue again,
till I'm back with you, my loved, till then,
it hurts to say goodbye.
Till I'm back with you, my loved, till then,
it hurts to say goodbye.
어떻게 네게 이별을 말할 수 있겠니
어떤 이유로도 불행한 모습을 네게 보이고 싶지 않아.
넌 이별에 대해서 설명을 해줘야만 해.
내가 이별을 말하려면
내 가슴은 쉽게 사랑에 불 붙어버리건만,
넌, 불타는 내 사랑에도 아무렇지도 않은 차가운 가슴을 가졌어.
난 정말 어떻게 해야 할지를 모르겠어.
안녕이란 말은 정말 하고 싶지 않은데
이 사랑이 내게는 얼마나 운이 없었는지 나도 잘 알아.
아니 거의 없었을지도…
그래도 내게 한 마디 말이라도 해준다면
어떤 이유로도 난 너에게 퉁퉁 부어버린 내 눈을 보여주고 싶지 않아.
차라리 휴지로 눈물을 닦으면서라면,
아마도 난 어떻게 이별을 말해야 할지를 알 수도 있겠지.
너는 이미 우리가 함께했던 아름다운 밤들을 다 잊어버렸어.
그래도 나를 위해서 한 마디 변명쯤은 해줬으면 해.
어떤 이유로도 난 너에게 퉁퉁 부어버린 내 눈을 보여주고 싶지 않아.
차라리 휴지로 눈물을 닦으면서라면
아마도 난 어떻게 이별을 말해야 할지를 알 수도 있겠지.
그래도 네게 어떻게 이별을 말하겠니..
어떻게 네게 헤어지자는 말을 할 수 있겠니
'
'
이곡은 1966년에 미국인 아놀드 골랜드와 잭 골드가 작곡 작사하고
미국 가수 마가렛 화이팅이 부른 1950년대 풍의 발라드곡 It Hurts
To Say Goodbye (안녕이라고 말하기 괴로워)이며, 이듬해인
1967년에 영국 가수 베라 린의 커버가 빌보드 어덜트 컨템포러리
차트 7위에 오른 후 여러 작곡가에 의해 번안되거나 편곡되었다.
프랑수아즈 아르디는 프랑스인 작곡가 카라벨리가 1967년에 발표한
경쾌한 팝송풍의 연주 버전에 감명을 받아 세르주 갱스부르에게 작사를
의뢰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세련된 프렌치 팝으로 환골탈태한
아르디-갱스부르 버전은 Comment te dire adieu 라는 제목으로
1968년에 스튜디오 앨범인 'Françoise Hardy'에 수록되었고, 발표
직후부터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며 그녀의 대표곡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나무위키 발췌)
Jim Nabors, vocals
Originally released 1967
2025/7/16 리알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