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쏙쏙]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한 오해와 진실(feat.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서울시교육청 ・ 2022. 7. 13. 18:03
최근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시청자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습니다.
드라마는 ‘우영우’라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천재 변호사 이야기입니다.
이 드라마를 통해 자폐에 대해
몰랐던 사실이나 특징 등을
알 수 있답니다.
그래서
드라마를 감상하다
우영우와 비슷한 행동을 하는 우리 아이도
자폐증을 앓고 있는 것은 아닌지
걱정되는 분들도 계실 것 같아요.
오늘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한
오해와 진실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자폐증이란?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지속적인 결함을 보이면서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흥미, 활동을 보이는
발달 장애를 말합니다.
문제 행동들이
광범위한 수준에 걸친
복잡한 스펙트럼을 갖고 있다하여
‘스펙트럼 장애’라고 불러요.
그래서
같은 자폐 스펙트럼 아이라도
증상이나 보이는 모습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보통 3세 이전에 다른 또래들과의
발달상의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유병률이 증가해
대략 50명 중 2명이 앓고 있을 정도로
흔한 질환이 되었어요.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원인
자폐증의 원인은
아직 모두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양한 신경생물학적 원인으로
사회성을 관장하는 뇌 발달상의
장애가 생겨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또한
산전, 주산기 및 산후 합병증이 있는 경우
발생 위험이 크다는 연구도 있어요.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증상
자폐증을 앓고 있는 경우,
사회적 상호작용이나 행동 양상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이 나타날 수 있어요.
[사회적 상호작용/의사소통 장애] |
- 눈 맞추기, 얼굴 표정, 제스처 사용이 적절하지 않거나 빈도가 적다. |
- 발달 수준에 적합한 또래 관계를 형성하지 못한다. |
- 자발적으로 다른 사람과 즐거움, 관심을 함께 나누고 싶어 하지 않는다. |
- 정서적 상호작용이 부족하다. |
- 구어 발달이 지연된다. |
- 대화를 시작하거나 지속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
[행동 양상] |
- 시각·청각·촉각과 같은 감각 정보의 변화를 극도로 싫어한다. |
- 한정된 관심사에 몰두하며, 그 몰두하는 정도가 비정상적이다. |
- 비기능적인 일이나 관습에 변함없이 집착한다. |
- 상동적이고 반복적인 운동 양상(손이나 손가락을 흔들고 비꼬는 등)을 보인다. |
- 물건의 특정 부분에 대해 지속적으로 집착한다. |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먼저,
자폐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부모가 아이의 발달력을
관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해요.
또
다양한 요소에 의해
자폐가 표현될 수 있으니
원인 질환에 대한 의학적 검사가
병행되어야 합니다.
인지 평가 및 발달 평가,
아동 자폐증 평가 척도,
자폐증 진단 관찰 스케줄(ADOS),
자폐증 진단 면담지(ADI-R)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치료
자폐는 가능한 빨리 발견하여
충분한 시간 동안 교육과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만큼,
치료 방법에도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요.
특히
과잉 활동이나 자해 행동, 공격성 등의
부적응 행동에 대해서는
증상에 따라 약물 치료를
시행할 수 있어요.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를 보며 생겼던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한 궁금증이
해결되었나요?
자폐는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한 질병인 만큼,
증상과 원인을 미리 파악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답니다.
[출처] [생활정보쏙쏙]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한 오해와 진실(feat.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작성자 서울시교육청
카페 게시글
................건강 칼럼
[생활정보쏙쏙]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한 오해와 진실(feat.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솔로몬
추천 0
조회 190
22.07.19 10:40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