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74) 신공공관리론은 행정을 국정경영(거버넌스)으로 보고 있다.
다음 중 국정경영(거버넌스)의 모형을 잘못 설명한 것은?
①시장지향모형: ~ (생략)
②참여정부모형:대내외 구성원들의 광범위한 참여를 중시하는 모형이다.
③유연한 정부모형: ~ (생략)
④통제정부모형:관리자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여 공무원의 책임성을 제고한다.
⑤ ~ (생략)
여기서 답은 4번입니다. 거기까지 알겠는데.. 의문은 2번의 참여를 중시하는 것은
거버넌스가 아닌, 신국정관리(뉴거버넌스)로 알고 있는데... 다른 문제에서 이러한
보기가 주어지면 참여중시가 틀린 답으로 체크를 했는데..약간 헷갈려지네요..
혹시 가장 잘못된 답을 찾는거라 4번이 답이 되는것인지.. 알려주시면 고맙습니다.
++
하나더
거버넌스와 뉴거버넌스의 차이점중에서
"거버넌스는 국민을 고객으로, 뉴거버넌스는 국민을 시민으로.." 알고 있습니다.
문제77) 신공공관리와 거버넌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생략)
② ~(생략)
③ ~(생략)
④ 신공공관리는 국민을 고객으로, 그리고 거버넌스는 국민을 주인으로 파악한다.
⑤ 신공공관리와 거버넌스는 모두 시장실패를 이념적 토대로 하고 있다.
답은 5번 맞는데.. 음.. 4번에서 거버넌스는 국민을 고객으로 인데.. 주인이라면..
시민(국민)을 뜻하는것이 아닌지.. 아무튼 다른거라 하더라도 거버넌스는 국민이 고객인데.. 그럼 4번도 틀린거 아닌지...
이 두문제로 인해서 신공공관리와 거버넌스와 뉴거버넌스 모두 헷갈리게 되었어요..
그리고 신공공관리나 거버넌스와의 차이점(?)을 좀 알려주시면, 책을 보아도 서로
같은걸로 느껴져서.. 자꾸만.. 짬뽕이 되네요..
질문 넘 길어서 죄송하고 얼추 개념을 잡아주셔도 되니 꼭 답변 좀 부탁드릴께요.
혼자서는 헷갈려서.. 되려 외운것만 뒤죽이가 되네요.
도와주심 감사드립니다.
첫댓글74번은 G.peters의 거버넌스 분류모형이구요 1번 시장지향모형에 가장 초점을둔 분류인데요..여기서 참여정부모형은 계층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위해 제시한것입니다.. 뉴거버넌스는 시민의 참여지만....여기서는 공직내부에서 계층제의 상위층만이 아닌 전 계층의 참여를 말합니다..
첫댓글 74번은 G.peters의 거버넌스 분류모형이구요 1번 시장지향모형에 가장 초점을둔 분류인데요..여기서 참여정부모형은 계층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위해 제시한것입니다.. 뉴거버넌스는 시민의 참여지만....여기서는 공직내부에서 계층제의 상위층만이 아닌 전 계층의 참여를 말합니다..
77번은 신공공관리와 거버넌스를 같다고 생각하시면 안되구요....뉴거버넌스를 그냥 거버넌스라고 할수도 있습니다. 문제보기를 봐서 거버넌스와 뉴거버넌스를 분리해서 생각하셔야 할수도 있고, 두 가지를 다 합쳐서 거버넌스라고 생각하고 푸셔야 할때도 있어요^^
고맙습니다. 교수님 홈피도 여기 카페도 답변이 없어.. 좀 그랬는데.. 약간 이해가 갈듯하면서도 74번은 여전히 아리송하지만, 대략 감?? 은 잡혔어욤~ 답변 감사드려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