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데이트로 수정된 내용은 아래 글을 보면 될 것 같고, 기존 변경 내역은 첨부된 텍스트 파일이나 이전글 (http://fmkorea.net/19737055)에서 확인하면 돼. 교체 엔트리에 골키퍼가 적어도 한명 있어야 하는 규정은 만들 방법을 모르겠더라. 되도록 게임 시작은 12년 1월로 하고~ 업데이트 내역 리그 세팅 v1.0 (2012.01.11) - K리그, K2리그, FA컵 아시아쿼터제 적용 - 포천 김희태 축구학교 대교눈높이 전국 고등 축구리그에 참가 (대교눈높이 전국 고등 축구리그 참가 팀수 35팀으로 변경) - 고등학교 구단들 유소년 시설 정보 입력 명성에 따라 차등 적용 명성 1000 : 유소년 육성 투자 5, 유소년 시설 10, 유소년 발굴 15 명성 750 : 유소년 육성 투자 3, 유소년 시설 7, 유소년 발굴 13 명성 500 : 유소년 육성 투자 1, 유소년 시설 5, 유소년 발굴 10 - 고등학교 구단 명성 +1500 - 대학교 구단 명성 +1000 - 대학교 유소년 발굴 1로 고정 - 고등학교, 대학교 훈련시설 15로 고정 - 대한민국 : 축구의 비중 중요 -> 매우 중요로 변경 Foreign Manager Likelihood(외국인 감독 선호도) 8 -> 10 - 충주 험멜 연고 도시 충주로 변경 (충주 생성) 서울 FC 마르티스 도시 미설정 -> 서울 아산 시민 축구단 도시 안산 -> 아산 (아산 생성) - 각 구단 연고 도시 인구 실제와 맞게 조정 경남(창원) : 500000 ~ 1000000 -> 1000001 ~ 2500000 대구 : 1000001 ~ 2500000 -> 2500001 ~ 5000000 서울 : 5000001 ~ 10000000 -> 10000000 ~ 20000000 제주(서귀포) : 50001 ~ 100000 -> 100001 ~ 250000 포항 : 250001 ~ 500000 -> 500001 ~ 1000000 청주 : 100001 ~ 250000 -> 500001 ~ 1000000 김해 : 250001 ~ 500000 -> 500001 ~ 1000000 안산 : 미설정 -> 500000 -> 1000000 남양주 : 250001 ~ 500000 -> 500001 ~ 1000000 - 카페베네 U리그 7조에서 5조로 변경 - 대교눈높이 전국 고등 축구리그 5그룹에서 3그룹으로 변경, 플레이오프는 8강에서 6강으로 변경 - 사용하지 않는 대한민국 리그가 대회 중요도에 나오는 현상 수정 - 한국 아마추어 리그(경찰청만 속해있던 리그), 한국 리그컵, 한국 올스타전 비활성 - 남부 올스타, 중부 올스타, 여수 FC, 유성 중학교, 광성중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 - 신우전자, 용인 FC 구단 사용하지 않음 체크 (R리그와 SBS 고교클럽 챌린지 리그 총 참가팀 47팀으로 변경) - R리그와 SBS 고교클럽 챌린지 리그 참가팀 변경으로 플레이오프 진출팀 수 변경 - K2리그 강등 지원금 설정 (5000만원) - 고등학교 팀 최소연령 삭제 (유소년 생성이 14세 부터라 의미가 없음) - 숭의 아레나파크 생성 인천 2012년 2월 25일에 숭의 아레나 파크로 구장 이동 - 대학팀 참가 대회들 나이 제한 만 22세까지로 변경 대학팀 나이제한은 18~21세로 변경 - 전국 춘계/추계 대학 축구 연맹전 상금 설정 우승 1500만원, 준우승 1000만원 (임의) - 내셔널 선수권 대회 상금 조정 (다른 대회와 형평성을 맞추기 위해 상향) 우승 2000만원, 준우승 1000만원 - 대통령금배 전국 고교 축구대회 상금 설정 우승 1000만원, 준우승 500만원 (임의) - 챌린저스 선수권 대회 생성 챌린저스 리그 소속의 15개팀 참가 토너먼트 구성 상금 : 우승 1500만원, 준우승 1000만원 (임의) 기존 내셔널 선수권 대회는 내셔널 리그 팀들만 참가하도록 변경 - 리그 명성 조정 (장기간 휴가 돌려보니까 서서히 또 내려감) - K2리그 (85 -> 95) - 삼성생명 내셔널 리그 (60 -> 70) - Daum 챌린저스 리그 (45 -> 55) - 카페베네 U리그 (20 -> 40) - 대교눈높이 전국 고등축구 리그 (10 -> 25) - 하나은행 FA 컵(90 -> 100) - U리그 대학선수권대회 챔피언십 (30 -> 45) - 전국 춘계 대학 축구 연맹전 (15 -> 40) - 전국 추계 대학 축구 연맹전 (15 -> 40) - 내셔널 선수권 대회 (40 -> 55) - 대통령금배 전국 고교 축구대회 (25 -> 35) - SBS 고교클럽 챌린지 리그 (15 -> 30) - 이름 변경 아시아 청소년 선수권 대회 예선 (20세 이하) -> 아시아 청소년 선수권 대회 예선 (19세 이하) 아시아 청소년 선수권 대회 (20세 이하) -> 아시아 청소년 선수권 대회 (19세 이하) ----------------------------------------------------------------------------------------------------------------------------------------- 선수이적 v1.0 (2012.01.11) 이근호 : J리그에서 이적한 선수 추가 v1.0.dbc에서 수정 이진호 : 울산 -> 대구 마테우스 : 대구 3년 계약 지넬손 : 아바이FC -> 대구 ----------------------------------------------------------------------------------------------------------------------------------------- J리그와의 이적선수 v1.0 (2012.01.11) 이근호 이적료 10억, 연봉 12억 (주급 2308만원으로 설정), 2년 계약 설정
수정사항 군 입대는 12년 2월 13일 전역은 13년 11월 12일로 설정 -> 게임 시작일보다 임대 시작일이 나중이면 적용되지 않는 문제 발생 입대일 12년 1월 1일, 전역 13년 9월 30일로 변경. 제주 정경호 (전남), 정석민 (포항), 허재원 (광주), 박병주 (광주) 영입 추가 며칠 전에 올렸었는데 오류 하나를 발견해서 자삭하고 다시 올림 발견된 오류 수정하고 몇가지 대회랑 기존 내셔널 리그랑 챌린저스 리그 팀들 선수 로스터까지 추가했어 대회 구성 리그 현대 오일뱅크 K리그 K2 리그 삼성생명 내셔널 리그 Daum 챌린저스 리그 카페베네 U리그 대교 눈높이 전국 고등 축구리그
컵 하나은행 FA 컵 U리그 대학선수권대회 챔피언십 전국 춘계 대학 축구 연맹전 전국 추계 대학 축구 연맹전 내셔널 선수권 대회 대통령금배 전국 고교 축구대회 2군/유소년 리그 R리그 SBS 고교클럽 챌린지 리그 12.04 버전임
일단 휴가로 10년 정도 돌려봤는데 크덤은 없고 해당 파일에 대한 설명은 아래 적힌 거나 첨부된 텍스트 파일을 보면 돼. 내가 작업하면서 혼자 적어둔 거라 설명이 좀 난잡하고 보기 안 좋을 수도 있는데 이해해주겠지??? 아래 적힌건 텍스트 파일에서 긁어다 붙였는데 줄바꿈이 제대로 안되서 나오네. 텍스트 파일이 아주 조금은 보기 더 편할거야 첨부된 fake.lnc 파일은 내가 직접 지니 스카우터로 한국 선수들 목록 뽑아서 작업한 거라 최하위 챌린저스 리그까지 생성 선수만 아니면 다 한글화 되어 있을거야 스텝도 한글화 할려고 했는데 지니 스카우터로 스탭 검색해서 영입명단 내보내기 하니까 인덱스 에러가 떠서 안 되더라고. 스텝 같은 경우는 정보가 별로 없어서 좀 많이 부족해. J리그에서 이적한 선수.dbc는 서천님이 올리신 J리그 로스터에서 해당 선수 정보만 그대로 가져다가 선수 생성한거야 그리고 이근호랑 김진규는 아직 확정은 아닌데 그냥 넣어뒀어. J리그에서 이적한 선수 추가 안 쓰고 한글화 쓸 사람들은 fake.lnc 메모장으로 열어서 제일 밑에 "#J리그에서 이적한 선수들(생성 선수)" 라고 쓰인 열부터 쭉 지우고 쓰면 돼. 선수 능력치 수정은 없음 ㅋ 능력치 수정 누가 좀 안 해주나. 대전은 죄다 랜덤 능력치라 할 맛이 안나 ㅠㅠ CM3부터 해오면서 대전만 건드렸었는데 ㅠㅠ 그리고 웬만하면 게임 시작 날짜는 12년 1월로 해서 해. 이적 설정이 12년 1월 1일 미래 계약이야 ㅋ 대회 일정도 12년으로 해놔서 11년으로 시작하면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 11년으로 시작하면 입대 예정 선수들 임대가 다 취소될 것 같다 설치 경로 (이건 복돌이용 경로고 정품 경로는 모르겠다) fake.lnc fm2012설치경로\data\db\1200\lnc\all dbc파일들 내문서\Sports Interactive\Football Manager 2012\editor data ---------------------------------------------------K리그 스플릿 + 4부 승강제 + u리그 + 고등리그.dbc------------------------------------------
이름 변경 - 한국 K3 리그 -> Daum 챌린저스 리그 - 한국 내셔널 리그 -> 삼성생명 내셔널 리그 - 한국 K-리그 -> 현대 오일뱅크 K리그 - 한국 대학 리그 -> 카페베네 U리그 - 한국 고등학교 리그 -> SBS 고교클럽 챌린지 리그 (중간에 엉켜서 새로 생성) - 광주 상주 불사조 -> 상주 상무 피닉스 - 인천 한국철도 -> 인천 코레일 - 강원FC는 유소년 구단이 초등 구단만 있어서 그냥 강원 U-18로 둠 - 한국 FA컵 -> 하나은행 FA컵 - 한국 대통령배 -> 대통령금배 전국 고교 축구대회 (대통령배 전국 축구대회가 폐지되어 고교 축구 대회로 사용. 명성 25, 활성으로 조정) - 기존 챌린저스 리그 소속 구단명 실제와 같이 전부 변경 2군 및 유소년 팀 -챌린저스(4부) 이상 팀 전부 2군 및 U18팀 생성 어차피 안해도 2군 선수단, U18 선수단 생기니 별 상관 없을거라 판단 R리그 및 유소년 리그 생성을 위해서 경찰청과 상무는 제외하려 했으나, 어차피 일반 구단처럼 운영되기 때문에 생성 K리그 스플릿 + 승강제 - K2 리그(2부 리그) 생성 - K리그 스플릿 시스템 적용 - 챌린져스 리그(4부) 우승팀 내셔널 리그(3부)로 승격 내셔널 리그(3부) 우승팀 K2 리그(2부)로 승격 내셔널 리그(3부) 최하위 팀 챌린져스 리그로 강등 K2 리그(2부) 상위 2팀 K리그(1부)로 승격 K2 리그(2부) 최하위 팀 내셔널 리그로 강등 K리그(1부) 하위 2팀 K2 리그(2부)로 강등 - K리그 구성 (총 12팀) 우승 상금 : 3억원 (11시즌 실제 상금) 준우승 상금 : 1억 5천만원 (11시즌 실제 상금) 강등 지원금 : 1억원 (임의) TV 중계권료(구단별) : 1억 5천만원 (공중파 방송 3사 중계료 15억에 케이블 방송 중계료 1~2억. 도합 17억에서 각팀 균등 분배로 산출한 값) K2 리그로 강등된 11시즌 하위 3팀(대전 시티즌, 인천 유나이티드, 강원 FC)와 상주 상무를 제외한 기존 12팀) 스플릿 시스템 외국인 선수 4명으로 설정 - K2 리그 구성 (총 10팀) 우승 상금 : 1억 5천만원 (임의) 준우승 상금: 1억원 (임의) 강등 지원금 : 5천만원 (임의) TV 중계권료 : 5천만원 (임의) 11 시즌 하위 3팀(대전 시티즌, 인천 유나이티드, 강원 FC) + 상주 상무 + 경찰청 + 내셔널 리그 5팀(충주 험멜, 울산 현대미포, 수원시청, 천안시청, 고양 국민은행) 팀 수가 애매해서 애매하게 3라운드 경기 치룸 일반 리그 구성 내셔널리그에서 승격된 팀들의 상태를 프로로 수정 외국인 선수 출장명단 3명, 스타팅 멤버 2명, 로스터 등록 3명으로 설정 - 내셔널 리그 구성 (총 10팀) 우승 상금 : 4천만원 (11시즌 실제 상금) 준우승 상금 : 천만원 (11시즌 실제 상금) 강등 지원금 : 5백만원 (임의) K2 리그로 승격된 5팀을 제외한 기존 9팀 + 11시즌 챌린져스 리그 우승팀 (경주 시민 축구단) 팀 수가 애매해서 애매하게 3라운드 경기 치룸 일반 리그 구성 (원래대로라면 플에이오프도 있어야 함. 팀수가 줄어서 10팀 중에 6팀이 플레이오프 한다는게 이상해서 없앰) 챌린져스리그에서 승격된 팀의 구단 상태를 세미프로로 수정 외국인 선수 출장명단 3명, 스타팅 멤버 2명, 로스터 등록 3명으로 설정 - 챌린져스 리그 구성 (총 15팀) 우승 상금 : 2천만원 (11시즌 실제 상금) 준우승 상금 : 천만원 (임의) 내셔널 리그로 승격된 1팀을 제외한 기존 15팀 (신우 전자와 용인 시민 구단 삭제) 일반 리그 구성 (원래대로라면 지역 리그 + 인터리그 + 4강 플레이오프인데, 구현할 방법을 몰라 포기) 구성 팀들의 상태를 세미 프로로 수정 - 상주 상무와 경찰청은 일반 구단처럼 운영 되는 듯 - 내셔널 리그와 채린져스 리그 선수 교체 구성은 일치하는 게 없어서 가장 유사한 것으로 설정 대학 리그 - 4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진행 - 모든 대학팀들 나이 제한 만 18세 이상, 만 20세 이하로 둠, 세미프로에서 아마추어로 변경 - Korea University League의 3글자 이름을 "대학"에서 "U리그"로 변경 - U리그는 7개 조별 대회로 구성. 자체 챔피언십 없음. - 현재 U리그를 구현하기에 어려움이 있어서 컵 대회에 "U리그 대학선수권대회 챔피언십(U리그 챔피언십)" 추가 - 로스터 제한 50명, 용병 불가, 만 22세 이상 출전 및 로스터 등록 불가 - 상금 : 각 조 우승팀에 500만원씩 (액수는 임의) R리그 - 새로 바뀐 23세 이상 선수 제한룰을 적용 (만 23세 이상 최대 3명) - 용병 4명 - 로스터 제한 없음 - 챌린저스 리그(4부)이상 팀 모두 참가. 총 49팀 - 7개 조별 리그 후, 7팀 챔피언십 플레이 오프
SBS 고교클럽 챌린지 리그 - 동래고를 삭제하고 부산 아이파크 산하의 Gaesung High School를 동래고로 변경 - 챌린저스 리그(4부)이상 팀 모두 참가. 총 49팀 - 7개 조별 리그 후, 7팀 챔피언십 플레이 오프 - 만 19세 이상 선수 로스터 등록 및 출전 불가 - 상주 상무 산하의 금호고를 광주FC 산하로 재생성 - 상주 상무 산하의 금호고를 용운고로 변경
대교눈높이 전국 고등 축구리그 - 모든 고등학교 팀들 나이 제한 만 15세 이상, 만 18세 이하로 둠. 아마추어로 설정 -> 만 18세 이하로 두니 AI가 새 시즌되면 19세가 될 선수를 영입해서 써보지도 못하는 경우가 생겨서 17세로 수정 휴가 돌려서 보니 어느 정도 능력이 있는 놈들은 다른 대학 팀 등에서 데려가고, 미달인 놈들은 나이제한 때문에 경기도 못 뛰고 그냥 구단에 남아있는 듯 - 구현되어 있는 고등학교 팀 수가 적어서 실제와 같은 구성은 포기 - 단순히 조별 리그 후, 챔피언십 설정 - 기존에 있던 고등학교 팀들의 참가 대회를 "SBS 고교클럽 챌린지 리그"에서 "대교눈높이 전국 고등 축구리그"에 참가하도록 변경 (프로 산하 팀들은 참가 목록에서 제외) - 우승 상금 1000만원 (임의, 참고:2009년 2000만원 2010년 700만원), 준우승 상금 500만원 (임의) - 용병 & 만 19세 이상 선수 로스터 등록 및 출전 불가 컵대회 구성
- 하나은행 FA 컵 82개 팀이 참가 원래 KFA 공식 규정 : 프로(K1) 16팀, 실업(내셔널) 14 팀, 챌린저스리그 9팀, 대학 8팀 수정된 규정 : K리그 12팀, K2 리그 10팀, 내셔널 리그 10팀, 챌린저스 리그 15팀, 대학 35팀 상금은 KFA 컵 규정에 따라 설정 ▲ 제21조 (라운드 진출수당) - 협회는 본 대회 라운드별 승리 팀에게 아래와 같이 라운드 진출 수당을 지급한다. ① 1,2라운드 참가팀: 참가지원비 100만원 ② 1라운드: 2라운드 진출수당 200만원 ③ 2라운드: 32강 진출수당 200만원 ④ 32강: 16강 진출수당 300만원 ⑤ 16강: 8강 진출수당 400만원 ⑥ 8강: 준결승 진출수당 500만원 ⑦ 준결승: 결승 진출수당 1,000만원 ▲ 제23조 (시상 및 지원금) ① 단체상 우승: 상금(일금 2억원), 트로피, 메달 준우승: 상금(일금 1억원), 상패, 메달 - U리그 대학선수권대회 챔피언십(U리그 챔피언십) 10월 27일부터 11월 11일까지 진행 U리그 소속 구단중 32개팀이 참가 (리그별 명성에 따른 시드 방식) 단판 토너먼트로 구성 용병 불가, 만 22세 이상 출전 불가 상금 우승팀 : 3000만원 (지난 대회 참조) 준우승팀 : 1000만뭔 (임의) 3,4위팀 : 각 500만원 (임의) - 전국 춘계 대학 축구연맹전 U리그 소속 61개 팀중 60개팀이 참가(61개 팀은 토너먼트 구성이 안됨) 실제 일정과 동일하게 설정해 봤으나 경기수가 많아서 적용 불가. 임의로 약간 수정 60개 팀이 14개 조로 나뉘어 조별 예선 후, 32강 토너먼트 조별 예선 순위 정렬 규칙은 득실차, 승자승 (다득점 없음) 상금에 대한 자료를 찾을 수 없어서 상금 없음으로 둠 용병 불가, 만 22세 이상 선수 출전 불가 - 전국 추계 대학 축구연맹전 전국 춘계 대학 축구연맹전과 동일 - 내셔널 선수권 대회 내셔널 리그와 챌린져스 리그 소속팀 25팀이 참가 (원래는 내셔널 리그만) 단판 토너먼트로 구성 (원래는 조별 예선 후, 22강-> 16강) 외국인 선수 최대 4명 상금 우승팀 : 500만원 (2009년 대회 기준) 준우승팀 : 300만원 (2009년 대회 기준) - 대통령금배 전국 고교 축구대회 SBS 고교클럽 챌린지 리그 49팀 중 48팀, 대교눈높이 전국 고등 축구리그 34팀 중 32팀 총 80팀 참가 16개 조별 예선 후 단판 토너먼트 진행 용병 불가, 만 19세 이상 선수 출전 불가 상금 정보 없음. 상금 없음으로 둠 --------------------------------------------------------- 선수 이적.dbc ---------------------------------------------------------- ########### 기존 K리그 소속 ############### 대전 시티즌 out 박성호 (포항) 한재웅 (전남) 이상협 (제주, 임대 만료) 최현빈 (서울, 임대 만료) 이상희 (상주, 입대) 김영빈 (상주, 입대) 김성준 (성남) 곽철호 (창원시청) 강인준 (용인시청) 김경국 (방출) 김도연 (방출) 박은호 (방출) 윤신영 (방출) 이제규 (방출) 이현호 (방출) 조의권 (방출) 최왕길 (방출) 김지민 (방출) 박선우 (방출) 백자건 (방출) 이상희 (방출) in 이슬기(포항), 김동희(포항) 김재훈(전남) 황도연 (전남, 1년 임대) 정경호 (강원) 이광현 (전북) 지경득 (인천) 유우람 (목포시청) 김형범 (전북, 1년 임대) 한그루 (성남) 지경득 (인천) 전북 현대 out 하성민 (상주, 입대) 로브렉 (방출) 이광현 (대전) 김영우 (경찰청, 입대) 김형범 (대전, 1년 임대) 박정훈 (전남) 김영종 (목포시청, 제대후 이적)
in 이강진 (이와타, 3년 계약) 김정우 (성남) 포항 스틸러스 out 이슬기 (대전) 김동희 (대전) 김형일 (상주, 입대) 김재성 (상주, 입대) 김정빈 (상주, 입대) 정정석 (상주, 입대) 김기동 (은퇴) 모따 (방출) 슈바 (방출) 강대호 (부산) in 박성호 (대전) 조란 랜둘리치 (야보르 이반지카, 3년 계약) 이아니스 지쿠 (CSKA 소피아, 2년 계약 + 2년 옵션) 김진용 (강원, 1년 임대 후 완전 이적, 완전 이적 옵션은 2억으로 설정함) FC 서울 out 방승환 (부산) 여효진 (부산) 최원욱 (경찰청, 입대) 조남기 (경찰청, 입대) 이기형 (1군 코치로, 11시즌에 코치가 됐는데 아직 선수로 되어있었음) in 박희도 (부산) 김현성 (대구, 임대 복귀) 최현빈 (대전, 임대 복귀) 정승용 (임대 복귀) 김진규 (반포레 고후) 아디 1년 재계약 경제윤 (대구, 임대 복귀) 수원 삼성 out 오재석 (강원) 백지훈 (상주, 입대) 신연수 (상주, 입대) 이종성 (상주, 입대) 염기훈 (경찰청, 입대) 구자룡 (경찰청, 입대) 마토 (방출) 게인리히 (임대 만료) 디에고 (임대 만료) in 곽광선 (강원) 라돈치치 (성남, 3년 계약) Eddy Bosnar (시미즈) 에버턴 (티그레스) 부산 아이파크 out 김근철 (전남) 박희도 (서울) 유호준 (경남) 한상운 (성남) 신인섭 (방출) 양동현 (경찰청, 입대) 김기수 (대구) 박태민 (인천) ----- 미적용--- 김지환 신완휘 이세인 추성호 이길훈 ----------------- in 김형필 (전남) 방승환 (서울) 여효진 (서울) 이경렬 (경남) 장학영 (성남, 공익근무 중이라 7월에 합류) 전재호 (인천) 강대호 (포항) 호세 모따 (몰데FK) 파그너 (Salgueiro) 울산 현대 out 전원구 (방출) 유용원 (방출) 양민혁 (방출) 최무림 (울산미포조선) 비니시우스 (방출) 이경식 (울산미포조선, 11시즌 여름. 임대인지 이적인지 확실치 않음. 이적으로 처리) in 김효기 (울산미포조선, 임대복귀) 김승용 (감바오사카, 2년 계약 + 1년 연장 옵션) 이근호 (감바오사카) 전남 드래곤즈 out 레이나 (임대 해지) 인디오 (임대 해지) 웨슬리 (임대 해지) 김형필 (부산) 방대종 (상주, 입대) 김재훈 (대전) 황도연 (대전, 1년 임대) 김명중 (강원) in 넬레꼬 (Velo Clube, 렐레코로 알려졌었지만 전남 홈페이지에 넬레꼬로 표기) 김근철 (부산) 한재웅 (대전) 김대호 (울산미포조선) 매트 사이먼 (센트럴 코스트 매리너스, 3년 계약) 김신영 (반포레 고후) 박정훈 (전북) 이현승 (서울) 경남 FC out 윤빛가람 (성남) 이경렬 (부산) 인준연 (대구) 이효균 (인천) 모나또 호니 (임대 만료) 정승용 (서울, 임대 복귀) in 조재철 (성남) 유호준 (부산) 까이끼 (바스코다마) 강민혁 (제주) 고재성(중국 난창) 제주 유나이티드 out 김은중 (강원) 김호준 (상주, 입대) 김영신 (상주, 입대) 이현호 (성남) 한재만 (목포시청) 배기종 (경찰청, 입대) 김태민 (강원) 조원광 (대전한수원, 11시즌 여름) 강민혁 (경남) in 서동현 (강원) 이상협 (대전, 임대복귀) 송호영 (성남) 권순형 (강원) 자일 (1년 재계약)
성남 일화 out 조재철 (경남) 강성관 (상주, 입대) 용현진 (상주, 입대) 장석원 (상주, 입대) 정호정 (상주, 입대) 박상희 (상주, 입대) 라돈치치 (수원) 장학영 (부산) 송호영 (제주) 이치준 (경찰청, 입대) 한그루 (대전) 김정우 (전북, 3년 계약) 김태윤 (인천, FA)
in 윤빛가람 (경남) 한상운 (부산) 이현호 (제주) 김성준 (대전) 요반치치 (파르티잔, 계약기간 3년 이상. 3년으로 처리) 광주 FC out 김홍일 (상주, 입대) 김성민 (상주, 입대) 조상준 (경찰청, 입대) in 안성남 (강원) 페르난도 (XV 피라시카바, 임대) 장경진 (인천) 대구 FC out 김현성 (서울, 임대 복귀) 박정식 (방출) 변윤철 (방출) 최유상 (방출) 민기 (경찰청, 입대) 주닝요 끼리노 (임대 만료) 원 소속팀이 일본 팀이라 그냥 방출 처리 경제윤 (서울, 임대 만료)
in 김기수 (부산) 인준연 (경남) 인천 유나이티드 out 배효성 (강원) 송유걸 (강원) 김명운 (상주, 입대) 김선우 (방출) 박종범 (방출) 이원용 (방출) 조범석 (목포시청) 김승호 (목포시청) 지경득 (대전) 임중용 (은퇴) 바이아 (과라니FC) 알미르 (방출, 늦게 인천으로 이적해서 기본 DB에 인천 소속이 아님. 그대로 둠) 전재호 (부산, 이적료 있는 FA지만, 이적료 0원으로 설정) 장경진 (광주) 엘리오 (코메르시아우 FC) in 유현 (강원) 윤준하 (강원) 박태민 (부산) 이효균 (경남) 김태윤 (성남) 강원 FC out 이을용 (은퇴) 서동현 (제주) 곽광선 (수원) 유현 (인천) 권순형 (제주) 정경호 (대전) 김영후 (경찰청, 입대) 김문수 (경찰청, 입대) 안성남 (광주) 윤준하 (인천) 김진용 (포항, 1년 임대 후 완전 이적) in 배효성 (인천) 김은중 (제주) 오재석 (수원) 송유걸 (인천) 장혁진 (강릉시청, 임대 복귀) 김태민 (제주) 김명중 (전남) 김대식 (임대 복귀) 김준범 (강릉시청) 참고 군 입대는 12년 2월 13일 전역은 13년 11월 12일로 설정. 입대 선수들은 계약 만료 13년 12월 31일로 일괄 설정. (12년으로 시작할 시 자동 재계약하면서 임대 예정이 없어지는 경우가 발생) 영입/이적 선수들은 12년 1월 1일로 미래 계약을 했지만, 계약 만료가 아닌 계약 해지나 임대 해지 방출 선수들은 계약 만료를 11년 12월 31로 조정하고 계약 종료 후 떠날 예정으로 처리해봤는데 12년으로 시작할 시 계약 만료일이 늘어남. 그래서 그냥 바로 방출처리. 대전의 이상희 선수는 상주 상무로 입대 하지만 대전과 재계약 포기로 군 복무 기간 동안 상주 상무와 미래 계약한 후, 계약 종료 후 떠날 예정으로 처리. 은퇴 선수도 현재 구단에서 활동 후 은퇴가 아닌 인물 유형을 은퇴한 인물로 처리 옵션 계약은 대부분 무시 장학영 선수는 공익 근무 중이므로 7월 1일에 합류. 서울 유나이티드로 임대 기간은 6월 30일까지로 연장 경남에서 대구로 이적한 인준연 선수는 안준연(소속 구단 없고 생일 같음)으로 잘못 입력되어 있는 듯. 소속 구단 경남으로 바꾸고 미래 계약 부산으로 설정. 이름도 변경 강원에 장혁진(기존 소속없음) 추가 강원 김은후 선수 이름 변경 (Kim Eui-Hu -> Kim Eun-Hu)
DB에 존재하지 않아 반영하지 못한 선수 서울 최원욱 전남 넬레꼬 J리그에서 이적한 선수 추가.dbc에서 추가한 선수 전북 이강진 서울 김진규 수원 Eddy Bosnar 울산 김승용 울산 이근호 전남 김신영 ########################## 기존 내셔널 리그 소속 ################################## 정보가 많지 않아 명단에 없으면 싹 방출 처리.
http://www.n-league.net/news/view.html?kbbs_doc_num=4947&kbbs_ext1=journalist 12시즌 이적 정보 참고 페이지 울산현대미포 out 김성민 강진규 유진희 김덕중 신수진 고경준 김봉겸 한상민 김효일 최상현 최영남 김혁 이건택 김봉오 김성길 김장현 고민기 윤주해 이영준 함태헌 김지민 알렉스 (계약만료) 다닐로 (계약만료) in 임형근 (포지션 미설정에서 GK로 설정) 이재민 이준협 조한범 이경식 (울산현대) 함태헌 고양국민은행 out 송태림 김혁 이호진 박도현 류광하 김진일 in 최익형 (기존 골키퍼 코치에서 선수/골키퍼 코치로 변경, 포지션 GK 20으로 변경) 송철웅 (이름 변경. 기존 손철웅)
창원시청 out 황인성 김지훈 송기복 이종민 지명진 신은빈 전석우 박찬영 진해근 조효경 함성훈 허남욱 김성용 박상태 최원호 김제환 (경찰청, 입대) 김만희 (현역입대, 처리할 방법이 없어서 그냥 경찰청으로 입대 시킴) in 곽철호 (대전) 강릉시청 out 김인성 정진성 박달이 이현진 심재원 추상철 김철배 김경률 박종철 김준범 (강원FC, 12시즌) in 구현서 (천안시청) 김인성 이성민 이현창 조성혁 (제대 후 합류, 춘천시민구단의 조성혁과 동일인물인지 아닌지 몰라서 그냥 춘천 소속으로 둠) 안성훈 (제대 후 합류, 12.1.1 미래 계약으로 처리) 전승현 (제대 후 합류, 12.1.1 미래 계약으로 처리) 박요셉 (이적 추진 중이나 그냥 이적한 것으로 처리, 12시즌) 부산교통공사 out 김도용 김민철 김봉수 김석우 김인경 김창학 나경만 서민국 오영기 이용규 이용승 이재영 정우솔 조진철 하태근 홍만기 강성복 (대전한수원, 12시즌) 김민규 (대전한수원, 12시즌) 이재영 (대전한수원, 12시즌)
in 최원우 (이름이 choi woon-woo로 되어있음. choi won-woo로 수정) 강기원 배대원 (김해시청) 수원시청 out 양종우 (코치로. 스텝.dbc에서 처리) 김지운 장덕원 우문균 양종후 윤동민 정상원 이태우 최원범 in 안산할렐루야 out 이정효
in 박한웅 인천 코레일 out 박재용 최기용 배슬기 조경호 나광현 김용호 김강현 김홍섭 박용환 전민석 박철우 in 김홍범 (포지션 GK 20으로 수정) 대전한수원 out 하용우 (코치로. 스텝.dbc에서 처리) 이경민 최종범 송지훈 김주봉 남영훈 최재영 최웅찬 김윤식 (현역입대, 처리할 방법이 없어서 그냥 경찰청으로 입대 시킴) 이수민 (현역입대, 처리할 방법이 없어서 그냥 경찰청으로 입대 시킴) 강성일 (태성고 GK코치, 선수 은퇴 코치로 전향)
in 강성복 (부산교통공사, 12시즌) 김민규 (부산교통공사, 12시즌) 이재영 (부산교통공사, 12시즌) 추정현 (용인시청, 12시즌) 김태호 (천안시청, 12시즌) 천안시청 out 김정훈 조동욱 박경삼 이응제 (중복 둘 다 방출) 안준혁 김상후 황호령 박정민 서상훈 김준식 조형제 윤원철 이원식 김본광 선민수 최석구 김용길 김태호 (대전한수원, 12시즌) in 조원광 (제주, 11시즌 여름 이적) 오정수 (부산, 11시즌 여름 이적, 소속없음으로 되어 있어서 부산으로 바꾼 뒤 미래 계약) 이인식 (11시즌 여름 이적) 신승필 (험멜, 11지슨 여름 이적) 소속없음으로 되어 있어서 험멜로 바꾼 뒤 미래 계약 김해시청 out 정성윤 최형준 이창화 심대호 양승훈 최민진 김강혁 이동협 우광주 김영균 박민영 박상규 이도권 박광민 성리 추운기 김태진 권운보 유효진 이진희 in 김용희 (포지션 GK 20으로 변경) 배대원 (부산 교통공사, 11시즌 여름 이적) 신상우 (스텝에서 플레잉 코치로 변경) 김강혁 용인시청 out 이민성 (광저우 헝다 코치. 스텝.dbc에서 처리) 김정국 손석배 김현관 최재웅 김수현 문지환 이병욱 박재현 박성배 이승수 지호철 (중복이라 한명 삭제) 신준수 (중복이라 한명 삭제) 추정현 (대전한수원, 12시즌) 오철석 (방출) 박재현 (방출) in 박도현 박재현 류선곤 (기본 DB에 없음) 강인준 (대전시티즌, 12시즌) 주재현 (12시즌) 목포시청 out 조민혁 김종성 박정현 이종민 김명수 최우리 장철주 최태형 김민상 김민국 이철주 윤정식 유우람 김정욱 장동혁
in 조범석 (인천, 12시즌) 한재만 (제주, 12시즌) 김승호 (인천, 12시즌) 김영종 (전북, 12시즌) 양세근 (천안시청, 12시즌) 김동민 (인천코레일, 12시즌) 충주 험멜 out 신승필 (2명 중 나이 맞지 않는 한명) 권준 김동효 김명호 김용 김정현 박중희 손준환 신승필 양세운 용효중 이임마누엘 이춘현 (3명중 포지션 정보가 들어있지 않은 두명) 이해정 주혁 최창용 한충희 허태복 황영주 최안성 (2명중 나이 맞이 않는 한명, 남긴 선수는 포지션 정보 GK 20으로 수정) in ####################### 기존 첼린저스 리그 소속 #################################### 기본 명단 자체가 없어서 구단 홈페이지에 있는 명단 추가. 기본 DB에 없는 선수는 누락 홈페이지에 기재된 선수와 DB상 이름이 같고 동일인인지 확인할 방법이 없으면 소속없고 나이 같으면(생일은 무시) 동일인으로 간주 포지션은 다른 선수가 너무 많아서 수정하지 않음
이천시민구단 in 황세하 진재영 (포지션 GK 20, AMC 20으로 변경. 기존 GK 10, AMC 20) 이경근 박재찬 김준 양경석 김형철 김만중 김민덕 이진용 강민구 차병민 경주시민축구단 in 이낙훈 송하진 (여수 INGNEX FC) 김현규 강현욱 최재남 장지수 (부산교통공사) 하승민 한동혁 남현성 고양시민축구단 홈페이지 없음. 카페가 있는데 정회원만 볼 수 있음.
광주 광산FC 홈페이지 없음. 남양주시민축구단 정보 없음 부천FC 1995 out 김영철 in 한태진 차기석 박문기 이설민 함민석 송왕석 신민호 서윤재 김태영 최우석 서울FC 마르티스 in 이선후(수원시청) 김범수 권오택 이제웅 (lee jae-woong으로 되어 있음. lee je-woong으로 이름 변경) 서울 유나이티드 정보 없음 아산 시민축구단 선수 생년월일 정보가 없어서 동일 이름에 무소속 선수이거나 대회 참가가 없는 아주 작은 팀 소속이면 아산 시민추구단 선수로 간주 in 진성원 박명언 (park myung-eun으로 되어 있으나 재일교포 출신이라는 것을 보니 이 선수가 맞는 듯. park myung-un으로 이름 수정) 유재훈 김재영 (무소속 선수가 둘 있으나 사진을 보니 90년생은 아닌것 같아 86년생 선수로) 이상준 양주 시민축구단 in 윤성민 (페르시얍 제파라) 신민수 조재석 황지수 박정인 고재민 이영웅 신영록 박현수 이성재 손대성 박상용 조진수 부영태 (울산현대미포조선) 영광fc 홈페이지 없음 전주EM 홈페이지 없음. 천안FC in 허성 조윤서 우태식 이철 (충주 험멜) 배기현 김병수 청주 직지FC in 박재효 (인천코레일) 김희중 유용준 최종서 이지훈 춘천 시민축구단 in 배상준 김명길 정지훈 (인천코레일) 김준환 조성혁 포천 시민축구단 in 함석훈 (Prachinburi FC) 이승태 이동우 오태환 김달원 ----------------------------------------------------------- 스텝.dbc ------------------------------------------------------------------------------------------- 대구 - 감독 : Moacir Pereira - 수석코치 : 당성증 - 코치 : Denis Yashiro Camarago Iwamura (기본 DB에 없어서 추가 못함) - 체력코치 : Walter Grassmann - 골키퍼 코치 : Marcelo Giacomelli - 나머지 기존 코치진 전부 해임 (확실한 정보를 몰라서 해임) 강원 - 감독 : 김상호 - 수석코치 : 노상래 (전남) - 코치 : 신진원 (대전) - 골키퍼 코치 : 김범수 (경찰청) - 나머지 기존 코치진 전부 해임 (확실한 정보를 몰라서 해임) 부산 - 수석코치 : 김인완 - 코치 : 백기홍 (목포시청), - 이상윤 코치, 김동훈 골키퍼 코치 해임 - 체력코치 : Neri Caldeira Junior 추가 (11시즌 합류한 것 같은데 세르지오와 함께 남아있는지 불확실) - 골키퍼 코치 : 신의손 수원 - 수석코치 : 서정원 (1년 계약)
서울 - 감독 : 최용수 - 수석코치 : 박태하 상주 - 감독 : 박항서 - 코치 : 구상범 (강원), 최종범 (대전 한수원 선수) - 체력코치 : 신재명 (기본 DB에 없어서 누락) - 팀닥터 : 김수현 해임, 이종규 (서울) - 골키퍼코치 : 서동명 (강원, 골키퍼 코치인데 능력치가 왜 이따구?? 심지어 골키퍼 코치 선호도는 1, 골키퍼 지도 5, 체력조련1, 나머지 랜덤) - 임종국 코치 해임 대전 - 코치 : 임완섭 (기본 DB에 없어서 누락) - 체력코치 : 다카스 마사토시 (기본 DB에 없어서 누락) - 반델레이 체력 코치 해임 울산 - 박충균 코치 해임 전북 - 감독 대행 : 이흥실 수석코치 - 신홍기 코치 해임 성남 - 감독 : 신태용 (3년 재계약) 전남 - 감독 : 정해성 김해시청 - 감독 : 이영진 (대구) 대한민국 - 코사 골키퍼코치, 서정원 코치, 박태하 코치 해임, 김현태, 당성증 골키퍼 코치 해임 최강희 호 - 감독 : 최강희 계약 만료 2013.6.30, 좋아하는 구단에 전북 추가 - 수석코치 : 최덕주 (기본 DB에 없어서 누락) - 코치 : 박충균 (울산), 신홍기(전북) 둘 다 전임인지 겸임인지 몰라 전임으로 처리. - 골키퍼코치 : 김풍주 골키퍼 코치
홍명보 호 - 코치 : 김태영 (수석 코치인데 유소년 수석코치는 없어서 유소년 코치로) - 골키퍼코치 : 김봉수 (홍명보호 골키퍼 코치인데 유소년 골키퍼 코치가 없어서 그냥 골키퍼 코치로) - 박건하 : 유소년팀 코치로 변경
----------------------------------------------------------J리그에서 이적한 선수 추가.dbc-------------------------------------------------------------------------- 서천님이 올려주신 J리그 로스터에서 해당 선수 데이터만 가져다가 생성 전북 이강진 서울 김진규 수원 Eddy Bosnar 울산 김승용 울산 이근호 전남 김신영
수정 사항 레안드리뉴 : 아바이FC -> 대구 송종국 : 방출 생성 유소년이 만족스럽지 못해서 설정 바꿔가면서 며칠을 십수번씩 5~10년 동안 휴가를 돌리면서 밸런스를 맞춰봤는데 개인적으론 '대만족' 정도까지의 수준은 아니지만 '이 정도면 괜찮다' 정도의 수준은 되는 것 같다. 문제는 기본적으로 실제 한국 유망주 선수들의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생성 선수들이 성장해서 상위 리그로 올라오는데 텀이 좀 생긴다는 건데 이건 어쩔 수 없을 것같고. 그리고 한국만 선택해서 게임하면 유망주들이 좀 크자마자 다 해외로 빠져나가서 국내 리그에 남는 선수 수준이 엄청 낮아지더라 여러 국가 선택해서 휴가 돌려보니 그나마 좀 나은 듯?? 이영표는 자꾸 한국으로 들어오길래 이적 설정 해주고, 하는 김에 몇몇 해외파 애들도 이적 설정했다. 그리고 몇몇 개념없는 알새퀴들아 'ㄳ' 이딴 댓글 쓸려면 추천도 하지마. 댓글 보러 왔다가 존내 승질나니까. 내가 무슨 다운 받으면 포인트 차감되는 토렝이 사이트에 글 올린 줄 알았네. 난 나름대로 성의껏 글 싼다고 생각하는데 그런 무성의한 댓글 보면 의욕이 다 사라진다. 괜히 의욕 꺾지 말고 그렇게 달거면 아예 달지도 말고 추천도 하지 마라. 경기 시작은 12년 1월 추천. 설치 경로 (이건 복돌이용 경로고 정품 경로는 모르겠다) fake.lnc fm2012설치경로\data\db\1200\lnc\all dbc파일들 내문서\Sports Interactive\Football Manager 2012\editor data 기본 변경 사항 : http://fmkorea.net/19737055 v1.0 업데이트 : http://fmkorea.net/19815086 원래 고등리그와 U리그를 만든게 어릴 때부터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서 역사탭에 남는 선수를 만들려는 의도였는데 휴가로 돌려본 결과, 대충 맞아 들어가는 듯. 

------------------------------------------------------------------------------------------------------------------------------------------------------------------------------------------------------ 업데이트 내역 리그 세팅 v1.1 - 생성 유소년 최소 나이14 -> 15로 변경 - U리그와 고등리그 이적기간 9.1~10.1 추가 (생성 선수가 로스터에 등록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 - U리그, 고등리그 팀 명성 리셋 - U리그 5조->4조, 고등리그 3조->2조로 변경 - 고등학교 구단 유소년 시설 정보 변경 명성 750 이상 : 유소년 육성 투자 12, 유소년 시설 10, 유소년 발굴 10 나머지 : 유소년 육성 투자 11, 유소년 시설 10, 유소년 발굴 10 - 대학 구단 훈련 시설 20으로 변경 - 구단 재정 수정 성남 : 갑부 구단주(보증) -> 갑부 구단주(소극적 지원) 설정 되어 있지 않은 기업 구단들 갑부 구단주(보증)으로 수정 : 울산 현대미포, 고양 국민은행, 충주 험멜, 전주EM - 구단주 능력치 수정(시,도민 구단은 그대로 둠) 허창수(서울) : 사업 수완 0 -> 17, 지원 0 -> 17 박상권(성남) : 지원 9 -> 13 최지성(수원) : 사업 수완 0 -> 16, 지원 0 -> 15 민계식(울산) : 사업 수완 0 -> 15, 지원 0 -> 16 유종호(전남) : 사업 수완 0 -> 13, 지원 0 -> 13 정의선(전북) : 사업 수완 0 -> 13, 지원 0 -> 15 김태만(포항) : 사업 수완 0 -> 13, 지원 0 -> 15 신헌철(제주) : 사업 수완 0 -> 13, 지원 0 -> 13 - 스폰서 계약 실제와 유사하게 추가 강원 : 10억 (12년부터 2년) 광주 : 10억 (12년부터 2년) 경남 : 12억 (12년부터 2년) 대구 : 15억 (12년부터 3년) 대전 : 10억 (12년부터 2년) 부산 : 6억 (12년부터 1년) 상주 : 8억 (12년부터 2년) 서울 : 80억 (12년부터 4년간) 성남 : 20억 (12년부터 2년) 수원 : 30억 (12년부터 2년) 울산 : 10억 (12년부터 1년) 인천 : 30억 (12년부터 3년) 전북 : 20억 (12년부터 2년) 전남 : 10억 (12년부터 2년) 제주 : 10억 (12년부터 2년) 포항 : 12억 (12년부터 2년) - 현재 보유 금액 0원인 팀들 1억원으로 변경 U리그와 고등리그 구단들은 5천만원으로 변경 - 관중수 수정 (K리그 11시즌 기준-역대로 해야하나 귀찮음. 소수점 이하 버림) 경남 : 평균 12501 -> 9068 최소 2500 -> 1214 최대 25000 -> 22468 광주 : 평균 3000 -> 8779 최소 0 -> 2351 최대 36241 -> 36241 대구 : 평균 4946 -> 6477 최소 2000 -> 1027 최대 45000 -> 20187 부산 : 평균 4393 -> 7242 최소 2000 -> 2336 최대 38000 -> 29267 서울 : 평균 32576 -> 27627 최소 6000 -> 9797 최대 60747 -> 51606 성남 : 평균 4129 -> 5797 최소 1500 -> 2893 최대 18000 -> 12131 수원 : 평균 26163 -> 23534 최소 12000 -> 13004 최대 42377 -> 44537 울산 : 평균 8939 -> 16239 최소 2022 -> 3376 최대 34758 -> 34758 전남 : 평균 12004 -> 6852 최소 6829 -> 1368 최대 14000 -> 19247 전북 : 평균 14169 -> 16236 최소 9000 -> 8334 최대 34000 -> 33554 제주 : 평균 6357 -> 4609 최소 1100 -> 1191 최대 26320 -> 12775 포항 : 평균 11174 -> 14158 최소 1500 -> 5473 최대 25000 -> 21317 강원 : 평균 9544 -> 5844 최소 2500 -> 2017 최대 22000 -> 15497 대전 : 평균 8577 -> 14237 최소 5300 -> 4771 최대 30000 -> 32340 상주 : 평균 3782 -> 8440 최소 2854 -> 3245 최대 15000 -> 16400 인천 : 평균 8571 -> 7562 최소 2315 -> 1127 최대 34275 -> 27831 - 고등학교 구단 이름 변경 (실제와 맞게) 강릉공고 (존재를 찾을 수 없음. 그대로 둠) 강릉농공고 -> 강릉중앙고 대동 정보산업 고등학교 -> 대동 세무 고등학교 - 리그 휴식 기간 변경 : 7.7 ~ 8.5 -> 7.2 ~ 7.8 (고등리그는 8.1~8.31 : 대통령금배컵 기간) - R리그 5조에서 4조로 변경 (경기수 너무 적음, 플레이오프 10팀에서 8팀으로 변경) - SBS 고교클럽 챌린지 리그 7조에서 4조로 변경 (경기수 너무 적음, 플레이오프 14팀에서 12팀으로 변경) - 수상 실제와 비슷하게 변경 K리그 K-리그 올해의 선수 -> K리그 최우수선수상 K-리그 올해의 감독 -> K리그 감독상 K-리그 올해의 유망주 -> K리그 신인상 (대상 변경 - xml 수정, 이전 수상자 절대 포함하지 않음으로 설정) K-리그 올해의 베스트 일레븐 -> K리그 베스트 일레븐 K-리그 득점왕 -> K리그 득점상 K-리그 도움왕 -> K리그 도움상 K-리그 올해의 페어 플레이 -> K리그 페어플레이상 K-League Players' Player of the Year -> 'FAN'tastic Player K-리그 올해의 주심 -> K리그 최우수 심판상 K리그 올해의 골키퍼 -> K리그 올해의 베스트 팀 K리그 이달의 선수 -> 축구스타K (언론, 평점) K리그 이달의 수비수 -> K리그 이달의 베스트 일레븐 (축구 협회. 평점) K리그 이달의 골키퍼 -> 축구스타K 파이널(언론, 인기인, 원래는 공격수, 미드필더, 수비수, 골키퍼 4종류지만 베스트 11으로 대체) K2리그 (전부 생성) K2리그 인기선수상 K2리그 올해의 골 K2리그 이달의 골 K2리그 최우수 심판상 K2리그 도움상 K2리그 신인상 K2리그 득점상 K2리그 베스트 일레븐 K2리그 페어플레이상 K2리그 감독상 K2리그 최우수선수상 K2리그 올해의 베스트 팀 내셔널리그 내셔널 리그 올해의 선수 -> 내셔널리그 MVP 내셔널 리그 득점왕 -> 내셔널리그 득점상 내셔널 리그 도움왕 -> 내셔널리그 도움상 내셔널 리그 올해의 감독 -> 내셔널리그 지도자상(감독) South Korean National League Coach of the Year -> 내셔널리그 지도자상(코치) South Korean National League Fair Play Team -> 내셔널리그 페어플레이상 South Korean National League Best 11 -> 내셔널리그 베스트 일레븐 내셔널리그 우수구단 운영상(생성) 내셔널리그 심판상(생성) U리그 대학선수권대회 챔피언십 (전부 생성) U리그 챔피언십 페어플레이팀상 U리그 챔피언십 최우수선수상 U리그 챔피언십 득점상 U리그 챔피언십 도움상 U리그 챔피언십 수비수상 U리그 챔피언십 골키퍼상 U리그 챔피언십 지도자상 U리그 챔피언십 심판상 전국 고등 축구리그 (전부 생성) 전국 고등 축구리그 최우수선수상 전국 고등 축구리그 지도자상 전국 고등 축구리그 득점상 전국 고등 축구리그 도움상 하나은행 FA컵 South Korean FA Cup Player of The Round -> 한국 FA컵 Man of the Round 한국 FA컵 득점왕 -> 한국 FA컵 득점상 한국 FA컵 최우수 감독 -> 한국 FA컵 지도자상 내셔널 선수권 대회 South Korean National League Cup Best Coach -> 내셔널 선수권 대회 지도자상(코치) South Korean National League Cup Best Manager -> 내셔널 선수권 대회 지도자상(감독) South Korean National League Cup Best Goalkeeper -> 내셔널 선수권 대회 골키퍼상 South Korean National League Cup Best Defender -> 내셔널 선수권 대회 수비수상 South Korean National League Cup MVP of the Tournament -> 내셔널 선수권 대회 MVP South Korean National League Cup Top Assist -> 내셔널 선수권 대회 도움상 South Korean National League Cup Top Scorer -> 내셔널 선수권 대회 득점상 South Korean National League Cup Fairplay Team -> 내셔널 선수권 대회 페어플레이상 - 언론 추가 전국 : 스포츠 투데이, 스포츠 서울, 일간 스포츠, 베스트 일레븐 지역 : 서울신문(서울), 경기신문/경기일보(경기도), 강원일보(강원도), 충청일보/중도일보(충청도), 전라일보/광주 매일신문(전라도), 경남신문/경북매일신문(경상도), 제주도민일보(제주도)
-------------------------------------------------------------------------------------------------------------------------------------------------------------------------------------- 선수이적 v1.1 이보 : 포르투게자 -> 인천 최종환 : 서울 -> 인천 설기현 : 울산 -> 인천 임종은 : 울산 -> 성남 호벨치 : 바이아 -> 제주 마다스치 : 포르토 -> 제주 삥요 : 제주 -> 방출 신영록 : 5년 부상(마땅한 부상명이 없어서 '혈전이 생겨'로 설정) 케빈 오리스 : 엔트워프 -> 대전
이영표 : 벤쿠버 김남일 : 방출 안정환 : 계약만료 남태희 : 발랑시엔 -> 레퀴야SC ------------------------------------------------------------------------------------------------------------------------------------------------------------------------------------------- 스텝 v1.1 김현태 : 인천 골키퍼 코치 조덕제 : 수원시청 감독 김창겸 : 수원시청 감독 해임 조건도 : 인천 사장 해임 김길식 : 전남 스카우트 |
첫댓글 ㅎㄷㄷ하네요;;
전 유럽 5대리고 제이리그 k리그 아시아 리그 까지 저렇게 고치고있는중 ㅠㅠ(거기다 선수능력치수정에다..레전드 부활까지ㅠ) 개 노가다임 ㅠ완성하는데 1년은 걸릴듯 ㅠ
K리그만 돌릴기세
워.....
2011은 안 되나 ㅠ
진짜 개쩐다 ㄷㄷㄷ;;;; 이렇게 돌리면 K리그 존내 재밋겟다 ㄷㄷㄷ
근데 이거 K리그를 이렇게고친건가요?? 아니면 유럽리그를 고친건가요???
K리그를 고친거래요 ㄷㄷ
와ㄷㄷㄷㄷ 장난아니네요
우와 쩐다... 유럽이적시장 끝나고 .2 버전 나오면 해야겠ㄷ...
저기 링크 잇네요 ㄷㄷ
우왕
조만간 세가에서 스카웃제의들어오겟네요 ㅎㄷㄷ
'감독 휴게실'에서 옮겨 옵니다.
권한이 없다고 뜨던데.......
어떻게 다운받죠??
저도 그렇게 뜨네요ㅜㅜ 어케하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