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朝鮮) 각도(各道)의 속역(屬驛)
○ 고전번역원에서 “만기요람(萬機要覽)”을 찾아보면,
《 만기요람(萬機要覽)은 ; 조선 23대 순조 8년 서영보·심상규가 함께 왕명을 받아 지어 올린 제왕의 치국(治國) 지침서라 할 본서는 재용 편(財用 篇) 6권과 군정 편(軍政 篇) 5권 모두 11권으로 되어 있는데, 재용 편은 국가·경제의 제도와 실정 및 그 운용에 대하여 서술하였고, 군정 편은 국내 군사의 체제와 군정을 집행하는 각 기관과 여러 진영(陣營)의 직장(職掌) 등을 서술하고, 아울러 경비 조달의 방법을 실었으며, 그때의 상황뿐만 아니라 연혁까지도 약술하여 간결하게 요점을 추려 놓아 당시의 전제(田制)·세제(稅制)·무역 등의 경제 제도와 오위(五衛)·진법(陣法)·병조·비변사 등 군사 제도를 상세히 볼 수 있다. 》고 설명해 놓고 있다. 제왕(帝王)의 치국(治國) 지침서(指針書)라 할 수 있다는 말은 사실적인 면이 많다는 뜻이기도 하다.
○ 이 중에서도 대로(大路)에 건설되어 있는 각 역(驛)에 대한 기록(記錄)이 생생하게 살아있기에 궁금증을 한 번 풀어보자는 의도(意圖)로 소개하는 것이다.
=========================================================================
● 역체 (驛遞). 각도 속역(各道 屬驛)
대로(大路)로는 경기(京畿)에 12역이며, 중로(中路)로는 경기(京畿)에 9역, 공 충(公忠)도에 24역, 전라(全羅)도에 4역, 경상도(慶尙道)에 5역, 강원(江原)도에 6역, 황해(黃海)도에 11역, 평안(平安)도에 13역, 함경도(咸鏡道)에 37역이며, 기타(其他)는 모두 소역(小驛)에 속한다.
㉠ 공 충(公忠)과 전라(全羅)우도(右道)는 금천(衿川)ㆍ수원(水原)의 통로를 경유하고,
㉡ 공 충(公忠)과 경상(慶尙)좌도(左道)는 광주(廣州)ㆍ이천의 통로를 경유하고,
㉢ 전라(全羅)좌도(左道)와 경상(慶尙) 우도(右道)는 과천(果川)의 통로를 경유한다.
《 위의 경유(經由) 통로(通路)를 잘 살펴보면, 당시【순조(純祖)때의 조선(朝鮮)의 영토(領土) 실상(實狀)】 조선(朝鮮) 영토(領土)와 팔도(八道)의 배열(配列) 관계(關係)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도(試圖)는 조선(朝鮮)은 반도(半島)인가? 아니면 대륙(大陸)인가? 에 대한 답을 구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예가 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는 <아시아/조선>이란 주장(主張)에 대한 답(答) 구하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
● 아시아의 넓은 땅이 “조선(朝鮮)의 영토였다.”라는 주장은 『대륙조선(大陸朝鮮)의 연장선(延長線)이라고 볼 수 있다. 고구려(高句驪) 영역(領域)은 현 신강 성(新疆省)지방을 건너, 중앙아시아지방까지 확대(擴大)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력(國力)의 흥성(興盛)은 곧 땅 개척(開拓)과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 신강 성(新疆省)의 서쪽 『중앙아시아 지방이 중조【中朝 : 조선(朝鮮)의 중앙(中央)조정(朝廷) 곧 황제(皇帝)가 살았던 황성(皇城)이 있었던 곳】가 자리 잡고 있었다.』는 주장(主張)에 대해서는 매우 회의적(懷疑的)이다. 왜냐하면 이에 대한 근거(根據)나 고증(考證)은 대부분(大部分) 근대(近代)인들에 의한 서술(敍述)에서 찾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萬若), 진실(眞實)로, 중앙아시아 지방 어떤 곳에, 조선(朝鮮) 중앙(中央)조정(朝廷)이 자리 잡고, 그곳에 황성(皇城)이 있었다고 한다면, 수천(數千)년 이어온 황성(皇城)에 관한 기록(記錄)은 왜곡(歪曲), 조작(造作)했다 하다라도 구전(口傳)으로 전해오는 몇 마디의 것이라도 있었을 것이며, 또 가장 중요한 점은, 지세(地勢)와 환경(環境)적 요인(要因)이다.
‘지중해’로부터 어떤 종족(種族)이나, 부족(部族) 일부가 이동(移動)하여 중앙아시아를 지나 살았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것은 그저 일부(一部)이지 본류(本流)가 아니다. 이 점을 착각(錯覺)해서는 안 된다.
이곳에 관한 조선(朝鮮)의 이야기는 두, 세 명의 학자(學者), 교수(敎授)등에 의한 샤머니즘과 관계있는 주장(主張)으로부터 기원(起源)한다고 해도 과언(過言)이 아니다. 기원전(紀元前) 수천(數千)년 전에 이룩되었다는 “마야”문명의 주인공(主人公)들 역시 머리에 새 깃털을 꽂고 있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이들이 소호금천(少昊金天)씨의 후손일 수 있을까? 또 제곡고신(帝嚳高辛)의 후손일 수 있을까? 더하여 고구려(高句驪)의 전신(前身)이었을까? 후예(後裔)들이었을까? 아니면 이들의 후손(後孫)이 소호금천(少昊金天)씨였을까?
북미(北美) 대륙(大陸)의 인디언들의 유물 속에 “짚신”형태의 것들이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짚신 형태의 것들은 반도(半島) 땅에서는 근대(近代)에 까지 유지(維持)되고 있었다. 그렇다면, 반도(半島)인이 인디언의 후예(後裔)였을까? 아니면 인디언이 반도인(半島人)의 후예(後裔)였을까?
성스런 나뭇가지 또는 돌무덤 등에 천을 걸어 놓고, 또는 그 밖의 토산물(土産物)로 생산되는 각각 형태의 것들을 걸어 놓고, 소원(所願)을 기원(祈願)하는 일은, 아시아 지방의 내륙(內陸)지방에서 곧 잘 발견(發見)된다. 『열도(列島)로부터 중앙아시아를 넘어 아프리카까지로 말이다.』그렇다면 이들 모두는 “조선(朝鮮)”의 후예(後裔)인가? 아니면 조선(朝鮮)은 이들의 후예(後裔)인가?
마야문명의 몇 마디 말과 인디언의 말 몇 마디 및 중앙아시아 지방의 말 몇 마디는 반도(半島)인들이 사용하는 언어(言語)와 비슷한 것들이 존재(存在)하고 있다고 전한다. 그러면 이들은 “조선(朝鮮)의 후예(後裔)인가?” 아니면 “조선(朝鮮)이 이들의 후예(後裔)인가?”
반도인(半島人)들 역시 옛 풍속(風俗)에, 며느리는 그 집안의 “불씨”를 항상 살려놓고 있어야 한다고 했다. 그만큼 “불씨”는 중요한 것이었다는 이야기다. 그러면 “불(火)”을 숭배(崇拜)하는 종족(種族)들은 “조선(朝鮮)의 후예(後裔)인가? 아니면 반도인(半島人)들은 이들의 후예(後裔)인가?”
회교(回敎)의 원리주의자들은 지금도, 여인들은 온 몸을 검은 천으로 두르고, 오직 눈만을 내 놓고 다니며, 출가(出家)한 후에는, 눈언저리의 천은 엉성하게 짠 모직물로 만들어, 밖을 볼 수 있도록 만들어 두르고 다니는데, 이것은 고려(高麗)의 여인(女人)들이 감싸고 다니던 “몽수”와 매우 닮았다고 볼 수 있으며, 조선(朝鮮)의 여인(女人)들 역시 그랬다고 전한다. 그러면 이들 “회교(回敎)”는 조선(朝鮮) 땅에서 태어난 것인가? 아니면, 조선(朝鮮)이 이들의 후예(後裔)인가?
사대부가(士大夫家)의 여인(女人)들은 타인(他人)에게 자신(自身)의 얼굴을 가능한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은, 회교(回敎)의 규율(規律)로부터 시작(始作)되는 것이 아니라, 인류(人類)가 지구(地球)상에 태어나 무리를 이루고 살기 시작(始作)한 그 때부터 있었던 것으로, 약탈(掠奪)자, 탐욕(貪慾)자, 권력자(權力者), 색욕(色慾)자, 침략(侵略)자등으로부터 가문(家門)의 여인(女人)들을 보호(保護)하기 위한 방책(方策)의 일환(一環) 중 한 가지 방법(方法)이었을 뿐이다.
옛 전쟁(戰爭)에서, 이민족(異民族)의 침략(侵略), 내전(內戰)등 많은 전쟁(戰爭)은, 지배자(支配者)의 야욕(野慾)으로부터 시작되나, 그것은 재물(財物)의 약탈(掠奪)과 부녀자(婦女子)납치(拉致), 노동력(勞動力)이 있는 포로(捕虜)등을 구하기 위한 쟁탈전(爭奪戰)이라고 봐도 무리(無理)없는 설명(說明)이 될 것이다. 이 중에서 부녀자(婦女子)는 종족(種族)의 후손(後孫)을 낳아, 후일(後日)을 기약(期約)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중요한 수단(手段)이며, 또한 약탈자(掠奪者)들에게는 성(性) 본능(本能)을 충족(充足)하고, 값 싼 노동력(勞動力)을 구할 수 있는 절호(絶好)의 것이기 때문에 아주 중요한 것 중의 하나였다. 이렇게 여인(女人)들을 보호하기 위한 한 가지 방책(方策)이 바로 “몽수”였다. 이것은 성적(性的) 충동(衝動)을 예방(豫防)하고, 약탈자(掠奪者)들의 눈으로부터 비켜가기 위한 하나의 수단(手段)이었다는 이야기다.
형태(形態)만 다를 뿐, 이러한 “몽수”와 같은 것은, 어느 부족(部族) 또는 종족(種族)이든 존재(存在)했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妥當)하다.
-------------------------------------------------------------------------
‘샤머니즘’의 탄생은 인류(人類)가 무리를 이루고, 집단(集團)을 이루고 살았을 때부터, 존재(存在)한 것이며, 이것은 무리 또는 집단(集團)들이 살고 있는 환경(環境)과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으며, 환경(環境)을 무시(無視)한 ‘샤머니즘’은 존재(存在)할 수 없다.
내륙(內陸) 땅에서 바다가 무엇인지 조차 모르는 원주민(原住民)들이 “바다를 위해, 기도(祈禱)할 이유가 없다.” 이 말은 『자신들이 살고 있는 그 땅의 환경(環境)은 곧 그들의 ‘샤머니즘’의 탄생(誕生)이다.』
따라서 내륙(內陸)의 이목(移牧), 유목(遊牧) 집단들의 ‘샤머니즘’이나, 아라비아 반도(半島) 또는 중앙아시아지방의 이목(移牧), 유목(遊牧)집단(集團)들의 샤머니즘은 동류(同流)의 것들이 존재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
○ “동방견문록”은 여러 학자들에 의해 번역(飜譯)되었는데, 본인(本人)이 가지고 있는 것은 두 권인데, “김00교수와 또 한 분의 교수”가 번역한 것이다. 원본(原本)은 여러 종류(種類)가 있다고 전하며, 번역(飜譯)자들은 그들이 임의(任意)로 선택(選擇)한 것을 “번역(飜譯)”한 것이다.
이 책 역시 “당초(當初)의 원본(原本)”이 없기 때문에, 누구도 장담(壯談)키 어려운 면이 있다는 점을 먼저 알아야 하며, 번역(飜譯)을 하기 위해 선택(選擇)한 “원본(原本)”이 어느 것이냐에 따라 다를 수밖에 없고, 또 최초(最初)의 원본(原本)이 아니기 때문에, 또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염두(念頭)에 두어야 한다. 여기에 번역(飜譯)한 분의 지리적(地理的) 지식(知識)과 역사적(歷史的) 진실(眞實)관계(關係)의 지식(知識)은 가장 중요한 핵심적(核心的) 요소(要素)다. 【역사적(歷史的) 사실(事實)이 아닌 “진실(眞實)”이란 말은, 과거(過去)의 역사적(歷史的) 진실(眞實)관계(關係)를 말하는 것이다. 이것은 지세(地勢)와 같은 환경(環境)적 요인(要因)도 포함(包含)된다.】
따라서 시중(市中)에 돌아다니는 “동방견문록”을 가지고, 그것을 기초로 하는 것은 “큰 잘못이 있을 수 있다.”는 가정(假定)을 염두(念頭)에 두고, 인용(引用)해야 한다.
=========================================================================
본론으로 들어가 보자.
【본문에서 (1),(2)등의 숫자는 ‘고전번역원의 것’과는 관계없는 편의 상 편집한 것임】
1. 경기(京畿)
(1) 영화도 (迎 華 道) 본디 양재(良才). 속역 11. 낙 생(樂生)ㆍ구 흥(駒 興)ㆍ금령(金 嶺)ㆍ좌찬(佐 贊)ㆍ분 행(分 行)ㆍ무극(無極)ㆍ과천 읍 참(果川 邑 站)ㆍ수원 본 참(水原 本 站)ㆍ해문(海 門)ㆍ가천(加 川)ㆍ강복(康福).
(2) 연서도(延 曙 道) 속역 6 벽제(碧 蹄)ㆍ마산(馬山)ㆍ동파(東坡)ㆍ청 교(靑 郊)ㆍ중련(中 連)ㆍ사예(梭 猊).
(3) 평 구 도(平 邱 道) 속역 11 쌍수(雙樹)ㆍ녹양(綠楊)ㆍ구곡(仇 谷)ㆍ봉안(奉安)ㆍ오빈(娛 嬪)ㆍ전곡(田 谷)ㆍ백동(白 冬)ㆍ감천(甘泉)ㆍ연동(連 洞)ㆍ안기(安 奇)ㆍ양문(梁 文).
(4) 경안도(慶 安 道) 속역 7 덕풍(德 豐)ㆍ오천(吾 川)ㆍ아천(阿 川)ㆍ양화(楊 花)ㆍ신진(新 津)ㆍ안평(安平)ㆍ유춘(留 春).
(5) 중림도(重 林 道) 속역 5 반유(盤 乳)ㆍ곡 석(谷 石)ㆍ금 륜(金 倫)ㆍ남산(南山)ㆍ종생(終生).ㆍ
(6) 도원도(桃源 道) 속역 5. 구화(駒 化)ㆍ백령(百 嶺)ㆍ옥계(玉溪)ㆍ단조(丹 棗)ㆍ상수 (湘 水). ○ 모두 3등 마(馬) 444필이요, 아전과 군졸 4,175명.
=========================================================================
2. 공 충 도(公 忠 道)
공 충 좌도(左道) 【본인 주 : 공 충(公忠)도의 동쪽지방을 별도로 나누어 좌도(左道)라 했음】
(1) 연원도(連 原 道) 속역 14 가흥(可 興)ㆍ황강(黃 江)ㆍ영산(永 山)ㆍ장림(長林)ㆍ용안(龍 安)ㆍ단월(丹 月)ㆍ안부(安 富)ㆍ신풍(新 豐)ㆍ인산(仁 山)ㆍ감원(坎 原)ㆍ천 남(泉 南)ㆍ안음(安 陰)ㆍ영천(令 泉)ㆍ오사(吾 賜).
(2) 율 봉도(栗 峰 道) 속역 16 쌍수(雙樹)ㆍ저산(猪 山)ㆍ장양(長 楊)ㆍ태랑(台 郞)ㆍ덕 류(德 留)ㆍ시화(時 化)ㆍ함 림(含 林)ㆍ원암(元 巖)ㆍ증 약(增 若)ㆍ가화(嘉 和)ㆍ토파(土坡)ㆍ순양(順 陽)ㆍ화인(化 仁)ㆍ회동(會 洞)ㆍ신흥(新興)ㆍ전민(田民).
(3) 성환 도(成 歡 道) 속역 10. 김제(金 蹄)ㆍ광정(廣 程)ㆍ일신(日新)ㆍ경천(敬天)ㆍ유구(維 鳩)ㆍ단평(丹 平)ㆍ평 천(平 川)ㆍ영춘(迎春)ㆍ장명(長命)ㆍ금사(金 沙). ○ 모두 3등 마(馬) 478필, 아전과 군졸 8,704명
-------------------------------------------------------------------------
공 충 우도(右道) 【본인 주 : 공 충(公忠)도의 서쪽지방을 별도로 나누어 우도(右道)라 했음】
(1) 금정도(金井 道) 속역 15 하천(花 川)ㆍ장시(長時)ㆍ시흥(時 興)ㆍ창덕(昌 德)ㆍ일흥(日 興)ㆍ광시(光 時)ㆍ세 천(世 川)ㆍ청연(靑 淵)ㆍ해문(海 門)ㆍ급 천(汲 泉)ㆍ몽 태(夢 態)ㆍ풍전(豐 田)ㆍ하천(下 川)ㆍ순성(順 城)ㆍ흥 세(興 世).
(2) 이인도(利 仁 道) 속역 9. 유양(楡 楊)ㆍ은산(恩 山)ㆍ영유(靈 楡)ㆍ용전(龍 田)ㆍ숙 홍(宿 鴻)ㆍ남전(藍 田)ㆍ청화(靑 化)ㆍ두곡(豆 谷). ○ 모두 3등 마(馬) 274필, 아전과 군졸 10,466명.
=========================================================================
3. 전라도(全羅道)
좌도(左道) 【본인 주 : 전라도(全羅道)의 동쪽지방을 별도로 나누어 좌도(左道)라 했음. 그러나 반도(半島)의 지형지리(地形地理)적으로 보면, 남북(南北)으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좌도(左道), 우도(右道)로 나눌 수 없다.】
(1) 벽사도(碧 沙 道) 속역 9. 가신(可 申)ㆍ파 청(波 靑)ㆍ양인(楊 仁)ㆍ낙승(洛 昇)ㆍ진원(鎭 原)ㆍ통로(通路)ㆍ녹산(綠 山)ㆍ남 리(南 利)ㆍ별진(別 珍).
(2) 오수도(獒 樹 道) 속역 11. 동도(東道)ㆍ응 령(應 令)ㆍ창활(昌 活)ㆍ인 월(引 月)ㆍ지신(知申)ㆍ낙수(洛 水)ㆍ양률(良 栗)ㆍ덕 양(德 陽)ㆍ잔 수(潺 水)ㆍ익 신(益 申)ㆍ섬 거(蟾 居).
(3) 경양도(景 陽 道) 속역 6 창신(昌 申)ㆍ덕기(德 奇)ㆍ대부(大富)ㆍ금부(黔 夫)ㆍ인물(人物)ㆍ가림(加 林).
(4) 제원도(濟 原 道) 속역 4. 소천(所 川)ㆍ달 계(達 溪)ㆍ단령(丹 嶺)ㆍ옥포(玉 包). ○ 모두 3등 마(馬) 274필, 아전과 군졸이 10,797명.
-------------------------------------------------------------------------
전라(全羅)우도(右道) 【본인 주 : 전라도(全羅道)의 서쪽지방을 별도로 나누어 우도(右道)라 했음. 그러나 반도(半島)의 지형지리(地形地理)적으로 보면, 남북(南北)으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좌도(左道), 우도(右道)로 나눌 수 없다.】
(1) 청 암도(靑 巖 道) 속역 11. 영신(永 申)ㆍ선암(仙 巖)ㆍ청 암(靑 巖)ㆍ신안(申 安)ㆍ영보(永 保)ㆍ청송(靑松)ㆍ오림(烏 林)ㆍ광 리(光 利)ㆍ경신(景 申)ㆍ가리(加里)ㆍ녹사(綠 沙).
(2) 삼례도(參 禮 道) 속역 12. 반석(半 石)ㆍ앵 곡(鶯 谷)ㆍ양재(良才)ㆍ거산(居山)ㆍ천원(川 原)ㆍ갈 담(葛 潭)ㆍ오원(烏 原)ㆍ재 곡(才 谷)ㆍ소안(蘇 安)ㆍ내촌(內 寸)ㆍ부흥(扶 興)ㆍ영원(永 原). ○ 모두 3등 마(馬) 272필, 아전과 군졸 6,349명.
=========================================================================
4. 경상도(慶尙道)
● 좌도(左道) 【경상(慶尙)도 역시 마찬가지로 낙동강(洛東江)을 기준(基準)하여 동서(東西)로 나누어 좌(左), 우(右)도로 나누었다고 전하고 있으나, 이 역시 “억지 주장에 불과하다.”】
(1) 황산도(黃 山 道) 속역 16. 유산(由 山)ㆍ위 천(渭 川)ㆍ덕천(德 泉)ㆍ잉 보(仍 甫)ㆍ노 곡(蘆 谷)ㆍ굴 화(掘 火)ㆍ간곡(肝 谷)ㆍ아 월(阿 月)ㆍ신명(新 明)ㆍ소산(蘇 山)ㆍ휴산(休 山)ㆍ수안(水 安)ㆍ용가(龍駕)ㆍ덕산(德 山)ㆍ무 흘(無 屹)ㆍ금동(金 洞).
(2) 성현도(省 峴 道) 속역 13. 오서(烏 栖)ㆍ매전(買 田)ㆍ유천(楡 川)ㆍ서지(西 芝)ㆍ압량(押 梁)ㆍ범어(凡 於)ㆍ금천(琴 川)ㆍ설화(舌 化)ㆍ유산(幽 山)ㆍ쌍산(雙 山)ㆍ내야(內 也)ㆍ일문(一 門)ㆍ온정(溫 井).
(3) 안기도(安 奇 道) 속역 11 금소(琴 韶)ㆍ송 제(松 蹄)ㆍ운산(雲山)ㆍ철파(鐵 坡)ㆍ청로(靑 路)ㆍ청운(靑雲)ㆍ이전(梨 田)ㆍ문 거(文 居)ㆍ화목(和 目)ㆍ각산(角 山)ㆍ영양(寧 陽).
(4) 송 라 도(松 羅 道) 속역 7 망창(望 昌)ㆍ대송(大松)ㆍ봉산(峯 山)ㆍ남 역(南 驛)ㆍ주등(朱 登)ㆍ병 곡(柄 谷)ㆍ육역(陸 驛).
(5) 장수도(長 水 道) 속역 14 우곡(牛 谷)ㆍ화양(華 陽)ㆍ산역(山 驛)ㆍ청 통(淸 通)ㆍ청경(淸 鏡)ㆍ아 화(阿 火)ㆍ모량(毛 良)ㆍ의 곡(義 谷)ㆍ사리(沙 里)ㆍ조역(朝 驛)ㆍ구오(仇 於)ㆍ경역(鏡 驛)ㆍ인비(仁 庇)ㆍ부평(富平).
(6) 창 락 도(昌 樂 道) 속역 9. 창 보(昌 保)ㆍ평은(平 恩)ㆍ옹 천(甕 泉)ㆍ유동(幽 洞)ㆍ안교(安 郊)ㆍ선안(宣 安)ㆍ통명(通明)ㆍ죽동(竹 洞)ㆍ도심(道 深). ○ 모두 3등 마(馬) 787필, 아전과 군졸 18,793명.
-------------------------------------------------------------------------
● 경상(慶尙)우도(右道)【경상(慶尙)도 역시 마찬가지로 낙동강(洛東江)을 기준(基準)하여 동서(東西)로 나누어 좌(左), 우(右)도로 나누었다고 한다. 낙동강 서쪽지방을 말한다.】
(1) 자여도(自如 道) 속역 14 신풍(新 豐)ㆍ근주(近 珠)ㆍ안민(安民)ㆍ성법(省 法)ㆍ적항(赤項)ㆍ남 역(南 驛)ㆍ금곡(金 谷)ㆍ대산(大山)ㆍ창인(昌 仁)ㆍ영포(靈 浦)ㆍ파수(巴 水)ㆍ춘곡(春谷)ㆍ보 평(保 平)ㆍ양동(良 洞).
(2) 소촌도(召 村 道) 속역 15 평거(平居)ㆍ문화(文 和)ㆍ부다(富 多)ㆍ영창(永 昌)ㆍ동계(東 溪)ㆍ관률(官 栗)ㆍ송도(松 道)ㆍ구허(丘墟)ㆍ배둔(背 屯)ㆍ오양(烏 壤)ㆍ상령(常 令)ㆍ지남(指南)ㆍ완사(完 沙)ㆍ양포(良 浦)ㆍ덕신(德 新).
(3) 유곡도(幽谷 道) 속역 18 요성(聊 城)ㆍ덕 통(德 通)ㆍ대은(大隱)ㆍ지보(知 保)ㆍ수산(守 山)ㆍ안계(安 溪)ㆍ쌍계(雙 溪)ㆍ소계(召 溪)ㆍ낙원(洛 原)ㆍ낙 동(洛 東)ㆍ낙양(洛 陽)ㆍ낙서(洛 西)ㆍ장림(長林)ㆍ낙 평(洛 平)ㆍ영향(迎 香)ㆍ구미(仇 味)ㆍ안곡(安 谷)ㆍ상림(上 林).
● 경상(慶尙)우도(右道)는 낙동강(洛東江)을 기준하여 그 서(西)쪽 지방을 일컫는다고 현대(現代)의 사학(史學)에서 설명(說明)하고 있다.
(4) 사근도(沙 斤 道) 속역 14 제한(蹄 閑)ㆍ임수(臨 水)ㆍ정곡(正 谷)ㆍ신안(新 安)ㆍ벽계(碧溪)ㆍ소남(召南)ㆍ안간(安 間)ㆍ정수(正 守)ㆍ유린(有 麟)ㆍ신흥(新興)ㆍ율원(栗 元)ㆍ마전(馬 田)ㆍ횡포(橫 浦)ㆍ평사(平沙).
(5) 김천도(金泉 道) 속역 19. 추풍(秋風)ㆍ문산(文 山)ㆍ양천(楊 川)ㆍ부상(扶桑)ㆍ양원(楊 原)ㆍ동안(東 安)ㆍ고평(高平)ㆍ답계(踏 溪)ㆍ안언(安 彦)ㆍ무계(茂 溪)ㆍ안 림(安 林)ㆍ팔진(八鎭)ㆍ금양(金陽)ㆍ작 내(作 乃)ㆍ장곡(長谷)ㆍ권빈(勸 賓)ㆍ성 초(省 草)ㆍ성기(聖 基)ㆍ무촌(茂 村) ○ 모두 3등 마(馬) 900, 아전과 군졸 21,483명.
=========================================================================
5. 강원도(江原道)
(1) 은계도(銀 溪 道) 속역 18 신안(新 安)ㆍ창도(昌 道)ㆍ직 목(直 木)ㆍ생 창(生 昌)ㆍ풍전(豐田)ㆍ서운(瑞雲)ㆍ산양(山陽)ㆍ원천(原 川)ㆍ방천(芳 川)ㆍ함 춘(含 春)ㆍ수인(水 仁)ㆍ장 노(長 奴)ㆍ부림(富 林)ㆍ남교(嵐 校)ㆍ임 단(林 丹)ㆍ옥동(玉 洞)ㆍ건천(乾川)ㆍ용담(龍 潭).
(2) 보안도(保 安 道) 속역 30 단구(丹丘)ㆍ유원(由 原)ㆍ안창(安 昌)ㆍ신림(神 林)ㆍ신흥(神 興)ㆍ갈풍(葛 豐)ㆍ창봉(蒼 峯)ㆍ오원(烏 原)ㆍ안 흥(安興)ㆍ연봉(連 峯)ㆍ천감(泉 甘)ㆍ원창(原 昌)ㆍ보안(保安)ㆍ인 람(仁 嵐)ㆍ안보(安保)ㆍ부 창(富 昌)ㆍ양연(楊 淵)ㆍ연평(延平)ㆍ약수(藥水)ㆍ평안(平安)ㆍ벽 탄(碧 呑)ㆍ호선(好 善)ㆍ여랑(餘 浪)ㆍ임계(臨 溪)ㆍ고단(高 丹)ㆍ횡 계(橫 溪)ㆍ진부(珍 富)ㆍ대화(大 和)ㆍ방림(芳林)ㆍ운교(雲 交).
(3) 상운도(祥雲 道) 속역 15 연창(連 倉)ㆍ인구(麟 丘)ㆍ강선(降 仙)ㆍ원암(元 巖)ㆍ청간(淸澗)ㆍ죽포(竹 泡)ㆍ운 근(雲 根)ㆍ명 파(明 波)ㆍ대강(大 康)ㆍ고 잠(高 岑)ㆍ양진(養 珍)ㆍ조진(朝 珍)ㆍ등 로(登 路)ㆍ거풍(巨 豐)ㆍ정덕(貞德).
(3) 평 릉 도(平 陵 道) 속역 16. 교가(交柯)ㆍ사직(史 直)ㆍ평 릉(平 陵)ㆍ신흥(新興)ㆍ용화(龍化)ㆍ원옥(原 沃)ㆍ흥부(興 富)ㆍ수산(水山)ㆍ덕신(德 新)ㆍ달효(達孝)ㆍ낙 풍(樂 豐)ㆍ안인(安 仁)ㆍ대창(大 昌)ㆍ목계(木 界)ㆍ구산(丘山)ㆍ동덕(冬 德). ○ 모두 3등 마 503필, 아전과 군졸 9,034명.
=========================================================================
6. 황해도(黃海道)
(1) 금 교 도(金 郊 道) 속역 8 흥의(興 義)ㆍ김암(金巖)ㆍ보산(寶 山)ㆍ안성(安城)ㆍ용천(龍泉)ㆍ검수(劍 水)ㆍ동선(洞 仙)ㆍ경천(敬天).
(2) 기린도(麒 麟 道) 속역 10 위라(位 羅)ㆍ소 곶(所 串)ㆍ소 평(所 坪)ㆍ다만(茶 滿)ㆍ원산(元 山)ㆍ연양(延 陽)ㆍ직 목(直 木)ㆍ박산(朴 山)ㆍ문라(文羅)ㆍ안산(安 山).
(3) 청단도( 靑 丹 道) 속역 9. 유안(維 安)ㆍ신행(新行)ㆍ금동(金 洞)ㆍ문라(文羅)ㆍ금강(金剛)ㆍ망정(望 汀)ㆍ심동(深洞)ㆍ금곡(金 谷)ㆍ남산(南山). ○ 모두 3등 마 222필, 아전과 군졸[吏卒] 5,316명.
=========================================================================
7. 평안도(平安道)
(1) 대동도(大同 道) 속역 12 안정(安定)ㆍ숙 령(肅 寧)ㆍ생양(生 陽)ㆍ임경(林 畊)ㆍ안 흥(安 興)ㆍ가평(嘉平)ㆍ신안(新 安)ㆍ운흥(雲 興)ㆍ거 련(車 輦)ㆍ양책(良策)ㆍ소 곶[所 串]ㆍ의순(義 順).
(2) 어천도(魚 川 道) 속역 19. 개평(開平)ㆍ수영(隨 營)ㆍ소 길리(所 吉 里)ㆍ초천(草 川)ㆍ입관(入館)ㆍ장동(長 洞)ㆍ적 유(狄 踰)ㆍ입석(立石)ㆍ성간(城 干)ㆍ종 포(從 浦)ㆍ상하 북동(上下 北 洞)ㆍ앙 토리(央 土 里)ㆍ고리 산(古 理 山)ㆍ우장(牛 場)ㆍ고 연주(古 延 州)ㆍ입관(入館)ㆍ창주(昌 州)ㆍ대 삭 주(大 朔州)ㆍ구주(龜 州). ○ 모두 3등 마 301필, 아전과 군졸 4,351명.
=========================================================================
8. 함경도(咸鏡道)
(1) 고산도(高山 道) 속역 13 남산(南山)ㆍ봉 룡(奉 龍)ㆍ삭 안(朔 安)ㆍ화 등(火 燈)ㆍ철관(鐵 關)ㆍ양기(良 驥)ㆍ통달(通達)ㆍ애수(隘 守)ㆍ화원(和 原)ㆍ초원(草原)ㆍ봉대(蓬 臺)ㆍ평원(平原)ㆍ덕산(德 山).
(2) 거산도(居山 道) 속역 21 함원(咸 原)ㆍ신은(新恩)ㆍ평포(平 浦)ㆍ오천(五 川)ㆍ자항(航)ㆍ제인(濟 人)ㆍ황수(黃水)ㆍ총포(終 浦)ㆍ웅이(熊 耳)ㆍ호린(☐麟)ㆍ허 천(虛 川)ㆍ허린(虛 麟)ㆍ혜산(惠 山)ㆍ적 생(積 生)ㆍ시리(施 利)ㆍ곡구(谷 口)ㆍ기원(基 原)ㆍ웅 평(雄 坪)ㆍ임명(臨 溟)ㆍ읍 명(邑 明)ㆍ고참(古 站).
(3) 수성도(輸 城 道) 속역 21. 오촌(吾 村)ㆍ영 강(永 康)ㆍ주촌(朱 村)ㆍ회유(懷 綏)ㆍ석보(石堡)ㆍ읍 참(邑 站)ㆍ마전(麻 田)ㆍ풍산(豐 山)ㆍ영안(寧 安)ㆍ고 풍산(古 豐 山)ㆍ역산(櫟 山)ㆍ종경(鍾 慶)ㆍ무안(撫 安)ㆍ녹야(鹿 野)ㆍ무 령(撫 寧)ㆍ덕 명(德 明)ㆍ마유(馬乳)ㆍ연기(燕 基)ㆍ고 아산(古 阿 山)ㆍ강 양(江 陽)ㆍ웅 무(雄 撫) ○ 모두 3등 마 925필, 아전과 군졸 32,391명.
=========================================================================
○ 대로(大路) : 경기(京畿)에 12역
중로(中路) : 경기(京畿) 9역, 공 충(公忠)도 24역, 전라(全羅)도 4역, 경상도(慶尙道) 5역, 강원(江原)도 6역, 황해(黃海)도 11역, 평안(平安)도 13역, 함경도(咸鏡道) 37역이며,
기타(其他) : 모두 소역(小驛)이다.
-------------------------------------------------------------------------
㉠ 공 충(公忠)과 전라(全羅)우도(右道)는 금천(衿川)ㆍ수원(水原)의 통로를 경유하고,
㉡ 공 충(公忠)과 경상(慶尙)좌도(左道)는 광주(廣州)ㆍ이천의 통로를 경유하고,
㉢ 전라(全羅)좌도(左道)와 경상(慶尙) 우도(右道)는 과천(果川)의 통로를 경유한다.
-------------------------------------------------------------------------
위의 경유(經由) 통로(通路)를 보면,
㉠은, 공 충(公忠)도와 전라(全羅) 서쪽 도(道)는, 금천(衿川)과 수원(水原)의 통로(通路)를 경유(經由)한다는 말은, 공 충(公忠)도 중에서 서쪽에 있는 공주(公州)지방과 전라(全羅)우도(右道)는 같은 방향으로 갈 수 있다는 말이며,
㉡은, 공 충(公忠)도의 충주는 곧 동쪽에 있으므로, 경상(慶尙)도의 동쪽에 있는 좌도(左道)지방으로 통할 수 있다는 말이며,
㉢은, 전라(全羅) 좌도(左道)는 곧 전라도(全羅道)의 동쪽에 있으므로, 경상(慶尙)도의 서쪽지방인 우도(右道)와 통할 수 있다는 말이다.
● 그러면 여기서 중요(重要)한 것이 하나 있다. 곧 방향(方向)이다.
전라(全羅) 좌우(左右)도(道)는 곧 “전라도(全羅道)” 땅에서 동쪽에 있는 땅을 “좌도(左道)”라 했고, 서쪽에 있는 땅을 “우도(右道)”라 했다는 말인데, 이것은 전라도(全羅道)의 땅을 “동서(東西)”로 나누었다는 말이 되며, 남북(南北)개념이 아니다. 이것은 현 전라도(全羅道)는 “우도(右道)”이며, 현 경상도(慶尙道) 땅은 “좌도(左道)” 땅이어야 맞는 말이 된다.
경상도(慶尙道) 역시 마찬가지다.
충청도(忠淸道)는 그런대로 “좌우(左右)도”로 나눌 수 있는 땅이 있으니, 그나마 다행(多幸)이나, 경상도(慶尙道)나 전라도(全羅道) 땅은 “반으로 나누어 좌우(左右)도”란 말은, 어설프기 짝이 없다. 차라리 “하도(下道)”라고 했다면, 차라리 이해(理解)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상식적(常識的)으로 이해(理解)할 수 없는 것이 “반도(半島)의 조선왕조(朝鮮王朝)”이다. 거기에다가 각(各) 역(驛)의 이름을 보라! 이러한 것들이 “반도(半島) 땅 어디에 있었는가?” 반문(反問)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지리적(地理的) 배치를 대륙(大陸)으로 옮겨 놓으면, 딱 떨어지는 것을 어떻게 설명(說明)할 수 있겠는가!
2012년 05월 12일 <글쓴이 : 문 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