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에 대군(大君)이란 임금의 정궁(본부인) 몸에서
태어난 아들을 이르는 말이다. 잘 아시다시
피, 조선시대 대군들
사이에선 왕권을 놓고 치열한 생존경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보통은 장자가 왕위를
물려받지만 그렇지 않는
경우 왕의 형이 되는 대군들은 왕권을 위협할 가능성이 있다 하여 늘 경계의 대
상이 됐다. 태종의 둘째 아들 효령대군은
동생 충녕(세종)이 세자로 책봉되자 스님이 돼 세상을 등졌다.
관악산 등산을 하다보면 연주암 한 켠에 효령대군 사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효령대군은
번뇌를 잊기 위
해 북가죽이 늘어나도록 북을 쳤다. 축 처진 모양을 빗대 ‘효령대군 북가죽 같다’라는
속담까지 생겼다
고 한다.
몇해전 “왕자들은 기생을 좋아했다” 라는 책을 읽은 적 있다. 그 책에는 초요갱 등 조선시대의 유명
한 기생에 대한 이야기가 실려있다. 궁궐 속 왕자들과 고관대작의 자식, 고위 지방관료 등 숱한 남자들의
넋을 빼앗었던 초나라의 미인처럼 허리 가늘고 미모가 뛰어나다 하여 이름 붙여진 '초요갱" 과 장안을
떠들썩하게 했다는 유명한 여러 기생들 이야기이다. 그 중 초요갱은 세종대왕의 세 아들 왕자들과 번갈
아 통정을 한 인물이었으며 세조가 여는 궁궐 행사 연회 떄만 되면 단골로 불려다녔던 대단한 인물이었
던 것으로 추측된다. 도우미 치고는 대단한 인물이었나보다.
수양대군은 한명회, 권람 등을 거느리고 쿠데타에 성공하고 스스로
영의정에 올라 단종을 옹호하던 왕실
사람에 대한 대대적인 숙청작업에 나섰다. 그 대상이라는 게 실은
그의 동복(同腹)·이복(異腹)형제였다.
단종 3년(1455) 2월 27일 수양대군을 비롯한 쿠데타 세력은 화의군 이영(李瓔) 등이 금성대군
이유(李
瑜)의 집에서 무사들을
모아놓고 활쏘기 경연을 하며 잔치를 벌였다는 이유로 이영 등을 잡아들여야 한
다고 어린 단종을 몰아세웠다. 그런데 겉으로 명확하게 드러난 반역의 죄목(罪目)은 없다면서 화의군
이영이 동생 평원대군 이임(李琳)의 기첩 '초요갱'과 간통한 것을
구실삼아 먼 곳으로 유배를 보내야 한
다고 덧붙였다. 여기서 문제의 기녀 초요갱이라는 인물이 등장한다. 대단한 미모와 재예(才藝)를 갖춘
요염한
여인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 이름도 초나라의 미인은 허리가 가늘다고 한 데서 누군가가 붙
여준 것 같다. 배가 다르긴 하지만 아버지(세종대왕) 가 같은 형제끼리 기첩을 놓고 다투는 상황까지 벌
어졌으니 대단한 궁중 비사다. 화의군 이영은 세종과 신빈 김씨 사이에서 난 아들이었고 평원대군 이임
은 세종과 소헌왕비 사이의 일곱 번째 아들이다. 화의군이 평원대군보다 1살 많다.
이 사건을 기화로 세종의 여섯째 아들인 금성대군 이유는 옥고를 치루며 귀양갔다가 죽게되고 화의군 이
영은 외방으로 유배를 떠났다. 초요갱은 ‘장(杖) 80대’의 중형을 받았다. 실록에 나오는 이야기들이다.
이후 초요갱은 세종 말년에 좌의정을 지낸 '신개'의 세 아들 중 막내인 신자형(申自衡)과 눈이 맞았다.
눈이 맞은 정도가 아니라 아예 안방을 꿰차고 들어앉았다. 세조 3년(1457) 6월 26일 사헌부에서는 왕실
의 장례를 담당하는 예장(禮葬)도감 판사 신자형이
본부인을 멀리하고 초요갱에게 빠져서 초요갱의 말
만 듣고 여종 두 명을 때려죽였다며 처벌을 요구했다. 그러나
신자형은 계유정난의 공신이었기 때문에
유배는 가지 않고 직첩(職牒)만 빼앗겼다.
그런데 석 달여 후인 10월 7일 사헌부에서는
훨씬 충격적인 보고를 올린다. 신자형의 7촌 조카뻘인 안계
담이란
자가 초요갱을 ‘덮치기 위해’ 다짜고짜 신자형의 안방으로
들이닥쳐 신자형의 아내 이씨는 놀라
서 달아나다가 땅에 뒹굴고, 초요갱을 찾지 못한 안계담은 신자형의
노비들을 마구 구타하는 사건이 발
생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처럼 요염한 기녀 한 명을 둘러싼 사내들의 쟁탈전에 끼어든 인물들은 왕실
왕자들에서 미관말직까지 귀천(貴賤)이 따로 없었다.
재예(才藝)가 뛰어나다는 이유로 초요갱을 악적(樂籍)에 올려 궁궐로 불러들이자 이번에는 화의군 이영
의 동복아우인 계양군 이증(李)이 초요갱을 범했다. 세조 9년의 일이었다. 그래서 세조는 당장 이복아우
이기도 한 이증을 불러 “어찌 다른 기생이 없어 형제끼리 서로 간음을 하는가”라며 호통을 쳤다. 이증은
하늘을 가리켜 맹세하며 딱 잡아뗐다. 하지만 실록은 “이증은 이날도 초요갱의 집에서 묵었다”고 적고
있다. 심지어 변대해라는 인물은 초요갱의 집에 묵었다는 이유만으로 이증의 종들에게 몰매를 맞아 목숨
잃기까지 하였다. 계양군 이증은 세종의 끔찍한 사랑을 받은 아들이었다. 학문을 좋아하고 공부를 게
을리하지 않았다. 그래서 서자임에도 불구하고 세종은 주요 국무를 그에게 맡기기도 하였다. “일찍이 귀
하고 세력있는 것을 스스로 자랑한 적이 없었다고 한다. 다만 주색(酒色)으로 인하여 세조 10년 8월16일
졸했다”는 기록이 나온다. 40을 넘기지 못하고 세상을 뜬 것이다. 이런 면에서 보면 초요갱은 남자들에
게 횡액(橫厄)을 가져다 주는 ‘요부(妖婦)’와도 같은 존재였다고 할 수 있다.
초요갱의 입장에서 보자면 억울하기 그지없는 일. 자신이 누구를 죽인 적이 없다. 사내들이 그저 자기를
놓고 싸우다가 그들끼리 벌어진 불상사일 뿐이었다. 죽음도 불사한 사내들은 부나방처럼 초요갱을 향해
달려들다가 날개를 태워버리기도 하고 목숨을 잃기도 했다.
세조가 죽고 예종이 즉위하면서 '남이'를 비롯한 세조의 측근세력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이 시작되었다. 초
요갱의 이름은 이때도 나온다. 정확히 누구의 첩이었는지는 모르지만 예종 1년 2월 8일 실록에는 ‘난신
의 첩’ 초요갱이라는 대목이 나온다. 남이에게는 탁문아라는 기첩이 있었던 것을 보면 남이와 함께 했던
또 다른 고위층 인사의 첩으로 있다가 남이세력이 제거될 때 추방당했다. 초요갱은 역사의 패자 편에 있
었던 것이다.
기구하다는 팔자는 바로 이 초요갱을 두고 하는 말이었는지 모른다. 5개월 후 초요갱은 평양 기생으로
변신한다. 아마도 남이가 제거된 후 탁문아가 진해의 관비(官婢)로 내쫓겨갈 때 초요갱은 평양 관기로
보내진 것 같다. 예종 1년 7월 17일 평양부의 관비인 대비(大非)라는 여인네가 사헌부에 신고를 하였다.
평안도 도사 임맹지가 초요갱과 간통을 했다는 것이었다. 당시는 아직 세조가 죽은 지 얼마 안되는 국
상(國喪) 중이었기 때문에 고위 관리의 이 같은 행위는 국법을 어기는 중죄였다. 당시 기생과 놀아났다
하여 처벌을 받은 사람은 임맹지만이 아니었다. 평양시장격인 부윤 이덕량의 반인(伴人·오늘날의 보좌
관) 박종직은 기생 망옥경(望玉京)과 관계를 가졌고 이어 기생 소서시(笑西施)와 사통하려 하다가 뜻대
로 되지 않자 소서시의 어미까지 때려죽이는 악행을 저질렀다가 의금부에 붙들려왔다. 평안도 관찰사 어
세겸도 함로화와 사통한 죄로 압송되었다. 실록에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것으로 보아 임맹지와 달리 초요
갱은 별다른 처벌을 받지 않았던 것 같다. 이 사건을 끝으로 초요갱이라는 이름은 실록 등에서 더 이상
볼 수 없다.
초요갱은 실록에 16차례나 나오지만 황진이는 단 한 번도 나오지 않는다. 초요갱이 놀았던 인물이 황진
이가 놀았던 인물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 높은 인물들이었기 때문이다.
참고로 조선왕조실록 세조 31권, 9년 (1463 계미년) 윤 7월 4일자 기록된 내용을 보면,,,,
육전청(六典廳)의 유신(儒臣)들에게 경회루(慶會樓) 아래에서 잔치를 베풀어 주니, 중추원사(中樞院使)
최항(崔恒),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김수온(金守溫), ·예문 제학(藝文提學) 이승소(李承召), ·병조
참판(兵曹參判) 김국광(金國光), ·공조 참판(工曹參判) 성임(成任), ·행상호군(行上護軍) 강희안(姜希顔),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강희맹(姜希孟),·행상호군(行上護軍) 이파(李坡) 와 여러 낭청(郞廳) 등이 잔치
에 나왔다. 도승지(都承旨) 노사신(盧思愼) 에게
명하여 잔치를 감독하게 하고, 또 내녀(內女) 3인과 4기
녀(妓女)를 불러서 음악을 연주하게 하였다.........
고 기록되어 있다.
위에 언급된 4기녀(妓女)는 옥부향(玉膚香) · 자동선(紫洞仙) · 양대(陽臺) · 초요갱(楚腰輊) 인데, 모두
가무(歌舞)를 잘 하여 여러번 궁내(宮內)의
잔치에 불려 들어가 임금이 ‘네 기녀[四妓]’라고 불렸다 한
다.
옥부향(玉膚香) 은 일찍이 효령 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 와 사통(私通)하였는데, 뒤에 익현군(翼峴君)
이관(李璭)과 사통하였다. 초요갱(楚腰輊) 은 어려서 평원 대군(平原大君) 이임(李琳) 의 사랑을 받
다가 평원 대군이 젊어서 사망하자, 화의군(和義君) 이영(李瓔) 과 사통하였는데, 임금이 이영(李瓔) 을
폄출(貶黜)하고 초요갱도 쫓아냈다가 얼마 아니되어 초요갱이 재예(才藝)가 있다고
하여 악적(樂籍)에
다시 소속시켰다 한다. 그 후 화의군의 또 다른 이복 동생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이 주색을 밝혀
초요갱과 사통하였으니, 평원대군, 화의군, 계양군 등 3명의 세종대왕 아들이 이 초요갱의 요염한 자태
에 반해 차례로 접근하여 건들인 것이다.
임금이 이 사실을 알고 비밀리에 이증(李璔) 에게 묻기를, “바깥 소문이 네가 초요갱과 사통한다고 하는
데 정말 그러한가? 어찌 다른
기생이 없어서 형제간에 한 여자를 두고 그런 짓을 하는가?” 하니, 이
증(李璔) 이 울부짖으면서 머리를 조아리고 하늘을 가리켜 맹세하여, 그것은 무고(誣告)임을 변명하였으
나 이증(李璔) 은 그날도 초요갱의 집에서 묵었다고 한다. 뒤에 판사(判事) 변대해(邊大海) 가 몰래 초요
갱의 집에 묵었다가 이증(李璔)의 종에게 들켜 매를 맞아 죽었다고 야사에 전해진다.
임금이 종친(宗親)과 재추(宰樞)들에게 기생을 멀리하고 가까이하지 말도록 경계하면서 말하기를, "이
무리는 사람의 유(類)가
아니다” 하며 잔치를 할 때면 반드시 기생의 무리들로 하여금 분(粉)을 사용하
여 얼굴에 두껍게 바르게 하니, 그 모양이 마치 가면(假面)을 쓴 것과 같았는데, 이들을
천시(賤視)하고
혐오(嫌惡)하였기 때문이리라.
이제 보니, 3형제 왕자들이 같은 여자를 탐했으니 이 세명의 왕자들이란 작자들은 "인간의 유(類)" 가
아닌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