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산 마실길과 고군산열도 신시도 대각산을 다녀와서!
2018년9월11일 인터넷 카페 "5060아름다운세상" 길동무동호회에서 원정 길동무
길로 정한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국립공원 내에 소재한 변산마실길 상사화 군락지에
다녀오기 위해 새벽 04:20분에 일어나 소지할 이런저런 물건들을 챙긴 뒤 05:20분에
집에서 출발 종로에 도착하여 동료회원 다람쥐님이 운행하는 서현고속관광버스에 승차
하여 다른 집결지인 사당동과 용인의 죽전을 거쳐 안성휴게소에 들러 카페에서 분배해준
찹쌀 찐밥으로 아침식사를 마치고 고속도로를 달려 변산마실길 주차장에 도착하니 열한시
경이었고 길동무할 들머리에 들어섰지만 상사화가 다 져버려서 실망했는데 남향으로 갈 수록
꽃이 되살아 나는듯 시들은 꽃보다 가피어난 싱싱한 꽃이 더 많아서 꽃모양에 취하고 향기에
취한듯 탄성(歎聲)을 지르다가도 "서로를 그리워 하지만 만날 수 없는 숨바꼭질 같은
사랑을 '화엽불상견상사화花葉不相見 相思花)'에서 나온 말로 '꽃과 잎은 서로 만나지
못하지만 서로 끝없이 생각한다'는 뜻입니다.
상사화에는 그 이름만으로도 몇 가지 전설이 있습니다.
어느 스님이 세속의 처녀를 사랑하여 가슴만 태우며 시름시름 앓다가 입적(入寂)
한 후 그 자리에 피어났다는 설, 반대로 스님을 사모하여 불가로 출가하겠다는 딸을
억지로 결혼시켜 마음에도 없는 사람과 살게 해 이루지 못한 사랑에 홀로 애태우다
죽은 여인의 넋이 꽃이 되었다는 이야기, 옛날 어떤 처녀가 수행하는 어느 스님을
사모하였지만 그 사랑을 전하지 못하고 시들시들 앓다가 눈을 감고 말았는데 어느
날 그 스님 방 앞에 이름 모를 꽃이 피자 사람들은 상사병으로 죽은 처녀의 넋이 꽃이
되었다는 전설 같은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습니다. 한결같이 이루지 못한 사랑의 애절
함을 표현해 '상사화'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점은 틀림없는 것 같습니다.
상사화와 관련된 전설이 대부분 스님과 관련되어서인지 사찰에 가면 상사화가 있는
곳이 많습니다. 그러나 실제 상사화를 절에서 많이 심는 이유는 인경(鱗莖)에서 전분을
추출하기 위해서였는데, 스님들이 탱화를 그릴 때 상사화 꽃은 말려 물감을 만들고,
뿌리는 즙을 내어 칠을 하면, 좀이 슬지 않고 색도 변하지 않았기 때문인 것입니다.
위와 같은 상사화의 전설을
하면 마음이 숙연(肅然)해지기도 합니다. 변산마실길을 탐방(探訪)하고 고군산열도로
가는 중에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에 속하는 고군산열도(
신시도에 하차하여 암석이 층을 이루는 주상절리의 대각산에 올라 대각산 정상의 전망대인
정자에 올라 전후좌우(前後左右)를 둘러보니 많은 섬들과 오목조목한 항, 포구에는 섬을
오가는 작은 여객선들과 많은 어선들이 정박해 있고 아름다운 아치형(arch形) 다리들이
대한민국의 부(富)를 상징하는 것 같기도 했답니다.
대각산을 하산하여 군산시로 이동 군산항 인근의 어시장 건물 2층 식당에서
뒷풀이를 마치고 17:18분에 귀경(歸京)길을 오다가 남부터미날에서 하차하여
지하철로 전철로 집에 돌아오니 22:12분이었습니다.
▼변산 마실길에서 담아온 인물사진
35
변산반도 국립공원
국내 국립공원 중 유일하게 산과 바다가 어우러진 다기능 공원이다. 해안
가는 외변산, 내륙 산악지역은 내변산이라 구분하고 있다. 1988년 국립
공원으로 지정된 변산반도 국립공원은 변산 안에 의상봉(508m), 신선봉
(486m), 쌍선봉(459m) 등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산봉우리를 지녔다.
그 사이에 개암사, 내소사, 월명암 등 유서 깊은 고찰이 있고 직소폭포,
봉래구곡, 낙조대 등 승경이 곳곳에 산재하고 있을 뿐 아니라 주변에는
유천리도요지, 구암리 지석묘군과 호벌치와 우금산성 등 역사 유적지
가 있다. 채석강, 적벽강, 신석정 시비, 한국에서 최초로 조성된 금구원
조각공원, 그리고 변산해수욕장, 격포, 고사포 해수욕장 등 3개의
해수욕장까지 갖추고 있는 대한 8경 중의 하나이다. 또한 내변산에
1995년 부안댐이 완공되어 물이 차면서 중계계곡이 호수로 변해, 천연
적인 단애를 이룬 기암괴석과 어울려 절경을 이룬다. 또한 공원지구 내에
다양한 동식물이 분포되어 있으며, 이 중 호랑가시나무, 후박나무, 꽝꽝
나무, 미선나무 군락은 천연기념물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해수욕과 등산을
동시에 즐길 수 있어 사시사철 수 많은 탐방객이 찾는다.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해양수산부와 부안군청 문건에는 변산 마실길이 소단위인 코스로 세분화 되어있지
않고 구간으로만 분리되어 있어서 노루목 꽃길이니 상사화니 하는 명칭으로 분류
되어 있지 않기에 통합 검색상의 명칭을 사용하지 않으니 아래
문건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09년 10월 전라북도 부안군에 변산마실길이 생겼다. 전국에 걷기 열풍이 몰아치자
부안군도 변산반도 해안을 따라 길을 낸 것이다. 워낙 풍광이 수려한 땅이라 길은 이내
명소가 됐다. 우리나라에 걷기 바람을 일으킨 제주 올레보다 더 아기자기하고 재미있다
는 평이 잇따를 정도다.
하나 ‘변산마실길’이란 이름에 특별한 의미가 있는건 아니다. ‘마실길’이라는 정감 어린
이름은 전라북도청이 지어준 것이다. 전라북도는 2009년 9월 전국의 지자체가 벌이는
‘전 국토 잇기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전북 지역을 하나로 잇는 ‘1000리 에움길’ 사업을
발표했다. 에움길 사업을 발표하며 도청은 도내 시·군에 길 이름을 지어줬는데, 부안군
과 진안군 두 곳에 내려준 이름이 마실길이었다. 부안군은 얼른 길을 냈고, 진안군은 아직
못 냈을 뿐이다. 하여 마실길은 변산반도의 정서나 전통과 직접적인 상관이 없다.
변산마실길은 새만금 방조제에서 시작한다. 거기에서 변산반도해안을 따라 변산 해수욕장
∼고사포 해수욕장∼적벽강을 지나 격포항까지 이어져 있다. 딱히 길을 잃을 염려도 없다.
오른쪽 옆구리에서 해를 끼고 걸으면 되기 때문이다. 마을을 들렀다 나온다거나 숲길을
헤쳐나가는 구간도 거의 없어, 어찌 보면 가장 순수하고 정통한 해안누리길이라 할 수 있다.
다만 길이 없어지는 황당한 경우는 당할 수 있다. 이 무슨 해괴망측한 소리냐 할 수
있겠지만, 정말 하루에 두 번씩 길이 사라진다. 변산반도 해안을 따라 길을 내다보니
갯벌을 통과하는 구간이 많다. 이 갯벌이 밀물 때 고스란히 잠긴다. 말 그대로 길이 사라
지는 것이다. 밀물 때를 대비해 부안군은 곳곳에 이정표를 설치했다. 밀물 때는 해안 언덕
위에 난 오솔길을 걷고, 썰물 때는 갯벌을 걷게끔 안내하고 있다.
그래도 변산마실길을 걸으려면 꼭 썰물 때를 맞추라고 이야기한다. 이왕 물때를 맞출
거라면 물이 막 빠지기 시작한 시간을 골라서 걸으라고 권한다. 바로 발아래서 펼쳐지는
생명의 기적을 목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금 전까지만 해도 바다였던 갯벌이 뭍이 되는
순간의 기적 말이다. 바다가 뭍이 되는 순간, 채 바다로 돌아가지 못한 갯것들로 갯벌은
요란하고 부산하다. 발밑에서 복작이는 갯것을 지켜보는 재미는
어디서도 맛볼 수 없는 귀한 경험이다.
갯벌을 걷는다 하니 혹여 오해할까 덧붙인다. 변산반도 갯벌은 진흙 갯벌이 아니라 모래펄
이다. 더욱이 모래펄 대부분이 단단하고 촘촘해서 발이 빠질 염려도 없다. 꾹꾹 눌러 밟지
않으면 발자국도 잘 찍히지 않는다.
변산 마실길
변산마실길은 빼어난 풍광을 자랑한다. 3코스에 몰려 있는 적벽강과 채석강은 마실길이
나기 전에도 관광객이 붐비던 부안의 대표 명소다. 서해 바다에 강(江)이 두 개나 있는
이유가 궁금하면 먼저 중국의 고사를 알아야 한다. 적벽강은 중국의 문장가 소동파가
유배를 당한 뒤 벗들과 함께 지냈던 중국 적벽강과 견줄 만하다 하여 붙은 이름이고,
채석강은 중국 시인 이태백이 배를 타고 술을 마시다 물에 뜬 달을 잡으려다 빠져 죽었다
는 중국의 채석강과 비슷하게 생겼다고 해서 얻은 이름이다. 고사에서
나왔음 직한 수려한 풍경이란 뜻이겠다.
적벽강을 지나 해안 모퉁이를 돌면 여울굴 옆 깎아지른 절벽 위에 들어앉은 작은 당집이
보인다. 수성당은 적벽강 앞 칠선 바다를 지키는 수호신 개양할미를 모신 사당으로 여러
전설이 전해 내려온다. 수성당은 부안 해안 지역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마을의 공동
신앙소다. 지금도 수시로 굿판이 벌어진다.
앞서 변산마실길은 부안군청이 만든 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 아무 연고도 없는 해안
을 길로 만들었을까. 아니다. 마실길을 사람이 통행할 수 있도록 닦은 주인공이 있다.
엉뚱하게도 군인이다. 한국전쟁 이후 전국 해안선을 두르며 철조망이 설치됐고, 변산
반도도 예외는 아니었다. 그러니까 시방 변산마실길이 가로지르는 지역 대부분은 군사
지역이었던 것이다. 김대중 정부 이후 조금씩 민간인에게 환원되다 이참에 완전히
개방된 것이다. 변산마실길을 걷다보면 지금도 철조망과 해안초소를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특히 2코스에 몰려 있다.
끝으로 새만금 방조제 얘기를 안할 수가 없다. 변산마실길은 새만금 방조제 남쪽 끝에서
시작한다. 3코스가 시작되는 하섬 전망대 부근에서도 방조제가 보일 만큼 웅장하다.
33킬로미터가 넘는 세계 최장 방조제이니 그럴 만도 하다. 이 공사로 여의도 면적의
140배에 달하는 국토가 생겨난다 한다. 하나 전국에서 가장 많이
올라왔다는 백합은 이제 종적을 감췄다.
군인이 민간인의 출입을 통제하기 전, 변산마실길 지역은 어부의 길이었다. 초소가
들어선 뒤에도 바다로 일 나가는 어부만은 막지 않았다. 그 길이 이제 겨우 사람의
길을 회복하고 있다. 한동안 잃어버렸던 사람의 길을 되찾자마자 그 곁에 거대
신작로가 막 뚫렸다. 길은 모순의 역사를 상징한다.
(해안누리길 정보, 해양수산부)
서해의 진주'라 불리는 변산 해안
변산(邊山), 직역하면 '가장자리(변방)의 산'이다. 여기에 '반도'가 더해져 '변산반도'가
된다. 지도를 보면 금강을 지나 군산을 시작으로 호남땅에 들어선다. 이어 내륙으로
쑥 들어간 김제를 거쳐 서해로 툭 튀어나온 전북 부안 '변산반도'와 닿는다. 삼면이
바다에 안긴 한반도가 품은 작은 반도 '변산'은 서해가 품은 아름다운 해변으로 꼽힐
만큼 빼어난 미모를 갖췄다. '서해의 진주'라고 불리는 이유다. 허나, 어디 해변만으로
'진주'라는 이름을 얻었을까.
변산이 품은 해안에는 모래와 바다만 있는 게 아니다. 멋들어진 기암들이 수문장처럼
바다와 뭍의 경계를 지킨다. 이는 호남정맥에서 갈라져 나온 변산지맥이 서쪽으로
향하다 순식간에 서해 바다로 몸을 숨긴 덕분이다. 입수하기 전 사방으로 뻗은 산줄
기가 빚어낸 기암들은 변산반도 전체를 '절경'으로 만드는 일등공신이다. 내륙의 산줄
기를 '내변산', 해안을 '외변산'이라 부르는 이곳은 '변산반도 국립공원'이다.
드라이브 코스로도 손색없는 변산의 해안은 해수욕은 물론 조개잡이까지 즐길 수
있어 그 재미가 두 배이다. 새만금홍보관에서 시작해 변산해수욕장~고사포해수욕장
~적벽강~격포해수욕장~채석강~격포항~궁항~상록해수욕장~모항해수욕장~
모항갯벌체험장~곰소항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돌아보면 된다.
줄포IC로 나왔다면 반대로 움직이면 된다.
그래도 이번 여행의 주인공은 여름특집 변산의 해수욕장이니 그들을 중심으로 살펴
보자. 조개 잡는 재미가 쏠쏠한 변산해수욕장, 푸른 솔숲 캠핑장을 품은 고사포
해수욕장, 채석강을 걷는 묘미가 일품인 격포해수욕장이 중심이다. 여기에 상록
해수욕장과 모항해수욕장까지 더하면 변산의 해수욕장 모두를 살펴보게 된다. 자,
멋진 몸매는 아니더라도 해수욕 즐길 가뿐한 복장으로 직접 잡은
조개를 담아올 양파자루를 준비해 떠나보자.
(대한민국구석구석 여행이야기, 한국관광공사)
국내 국립공원 중 유일하게 산과 바다가 어우러진 다기능 공원이다. 해안가는
외변산, 내륙 산악지역은 내변산이라 구분하고 있다. 1988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변산반도 국립공원은 변산 안에 의상봉(508m), 신선봉(486m), 쌍선봉
(459m) 등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산봉우리를 지녔다. 그 사이에 개암사,
내소사, 월명암 등 유서 깊은 고찰이 있고 직소폭포, 봉래구곡, 낙조대 등 승경
이 곳곳에 산재하고 있을 뿐 아니라 주변에는 유천리도요지, 구암리 지석묘군과
호벌치와 우금산성 등 역사 유적지가 있다. 채석강, 적벽강, 신석정 시비,
한국에서 최초로 조성된 금구원 조각공원, 그리고 변산해수욕장, 격포, 고사포
해수욕장 등 3개의 해수욕장까지 갖추고 있는 대한 8경 중의 하나이다. 또한
내변산에 1995년 부안댐이 완공되어 물이 차면서 중계계곡이 호수로 변해,
천연적인 단애를 이룬 기암괴석과 어울려 절경을 이룬다. 또한 공원지구 내에
다양한 동식물이 분포되어 있으며, 이 중 호랑가시나무, 후박나무, 꽝꽝나무,
미선나무 군락은 천연기념물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해수욕과 등산을 동시에
즐길 수 있어 사시사철 수 많은 탐방객이 찾는다.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신시도 대각산과 어촌마을
선유도의 동쪽에 위치한 섬으로 면적 4.25㎢, 해안선의
길이 16.5㎞로 고군산군도의 24개 가운데 가장 큰 섬이다.
최고점은 대각산(187m)으로 북서쪽에 솟아 있고, 남동쪽에는 신치산
(142m)이 솟아 있으며, 200m 이하의 구릉성 산지가 많다. 취락은 남쪽
지풍금마을에 주로 분포하며, 주민들은 대부분 어업에 종사하고 있다.
연근해에서는 새우·멸치·갈치·고등어 등이 잡히며, 김 양식이 활발
하다. 농산물로는 쌀·보리·고구마·고추·콩 등이 자급할 정도로 생산
된다. 새만금방조제와 연결되어 있어 챠량으로 방문이 가능하며, 어촌
체험마을을 중심으로 개막이, 바지락캐기, 낚시 등 체험관광이
활성화되어 있다.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위로 35
위로210본
위로240
위로81
헤어진 군산항 / 박재연 (1965
군산항구 밤부두에 비가 나린다
말없이 헤어지고 눈물로 헤어지던
누구의 눈물이냐 지금도 나리는데
군산항 밤항구엔 군산항 밤항구엔
아~ 아~ 뱃고동만 슬피 우네
군산항구 밤부두에 비가 나린다
이별의 탄식이냐 울면서 헤어지던
사랑의 궂은비는 지금도 나리는데
군산항 밤부두엔 군산항 밤부두엔
아~ 아~ 갈매기만 슬피 우네
2018-09-13 작성자 명사십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