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료 환경 (54점) |
- 적절한 의료 서비스 제공기반을 위한 인력 - 환자 진료를 위한 필수 의료장비 - 환자 안전 및 응급상황에 대비한 안전시설 - 장기간 입원생활을 위한 기본 시설 등 |
진료 내용 (46점) |
- 노인환자들의 정신 상태 점검(인지 기능 파악) - 당뇨 환자 관리 - 장기간 삽입 시 요로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유치도뇨관(소변줄) - 식사하기, 세수하기 등의 일상적인 동작의 수행 능력 변화 - 움직임 제한으로 장기간 누워서 생활하는 환자에게 자세 변경 등의 적절한 관리를 소홀히 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욕창 등 |
요양병원의 진료 환경과 내용을 모두 종합하여 5개 등급으로 평가한 결과,
구 분 |
계 |
1등급 ★★★★★ |
2등급 ★★★★☆ |
3등급 ★★★☆☆ |
4등급 ★★☆☆☆ |
5등급 ★☆☆☆☆ |
등급제외 |
기관수 (%) |
718 (100) |
33 (4.6) |
137 (19.1) |
271 (37.7) |
212 (29.5) |
49 (6.8) |
16 (2.2) |
※ 등급제외 : 평가받은 진료내용의 항목수가 8개 미만인 기관
항목별 평가결과
○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의 낙상 위험 방지 및 응급상황 발생 시 긴급 대처를 위한 안전시설의 구비 정도는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며, 진료 내용에 있어서도 기관 간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남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www.hira.or.kr)에서 병원별 평가 등 급 및 지표별 결과, 진료과목, 병상수, 의료장비, 의료인력 및 기타 인력 현황, 병원 진료비정보, 병원 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음
※ 향후 일정
- 9월 10일~15일 : 5개 권역별 요양기관 설명회 개최
- 9월 이후 : 하위기관 중심의 맞춤형 상담, 우수사례 제공 등 지원활동
2009년도 요양병원 평가 세부항목 |
2009년도 요양병원 평가 결과
▢ 평가 항목
|
2009년도 |
2008년도 |
진료 환경 (인력・장비・시설) |
23개 항목 |
20개 항목 |
진료 내용 |
12개 항목 |
4개 항목 |
평가 세부 항목
구분 |
세부 영역 |
지 표 명 |
지표정의 |
비고 | |
진료 환경
|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의료인력 및 필요인력 |
인력 1인당 담당하는 병상수 |
의사 |
평균 의사1인당 병상수 |
|
간호사 |
평균 간호사1인당 병상수 |
| |||
간호인력 |
평균 간호인력(간호사+간호조무사)1인당 병상수 |
| |||
물리치료사 |
평균 물리치료사 1인당 병상수 |
| |||
해당인력의 유무
|
야간/휴일 당직 의사 |
평일야간과 휴일 24시간 동안 상주하는 당직의사 유무 |
신설 | ||
약사․약국 |
독립된 공간의 약국이 있으면서, 상근 약사 유무 |
| |||
방사선사 ․ 방사선 촬영실 |
방사선 촬영실이 있으면서, 상근 방사선사 유무 |
| |||
임상병리사 ․ 임상 검사실 |
임상검사실이 있으면서, 상근 임상병리사 유무 |
| |||
사회복지사 |
상근 사회복지사 유무 |
| |||
간호인력의 이직률 |
입원환자 간호를 전담하는 병동근무 간호인력의 이직률 |
신설 | |||
환자 진료를 위한 필수 의료장비 |
100 병상당 장비 보유대수 |
산소공급장비 |
일정 시점 100병상당 산소공급 장비 보유대수 |
신설 | |
흡인기 |
일정 시점 100병상당 흡인기 보유대수 |
신설 | |||
심전도 모니터 |
일정 시점 100병상당 심전도 모니터 보유대수 |
| |||
혈중 산소포화도 감시장비 |
일정 시점 100병상당 혈중 산소포화도 감시장비 보유대수 |
| |||
환자의 안전 및 응급상황 대처를 위한 안전시설 |
병상, 욕실, 화장실의 응급 호출 시스템 구비율 |
일정 시점 병상, 욕실, 화장실 중 작동되는 응급호출 시스템을 구비한 공간의 비율 |
| ||
욕실, 화장실, 계단 바닥의 미끄럼방지시설 설치율 |
일정 시점 욕실, 화장실, 계단 중 바닥의 미끄럼 방지시설이 설치된 공간의 비율 ※ 미끄럼 방지 시설 : 바닥 전체를 미끄럼 방지 재질 (올록 볼록한 바닥, 미끄럼 방지 매트 혹은 타일 등)로 마감한 경우 |
| |||
욕실, 화장실, 복도의 안전손잡이 설치율 |
일정 시점 욕실, 화장실, 복도 중 안전손잡이가 설치된 공간의 비율 ※ 안전손잡이 : 일반 손잡이 포함, 수평, 수직 손잡이 |
신설 | |||
병실, 욕실, 화장실 바닥의 턱 제거율 |
일정 시점 병실, 욕실, 화장실 중 바닥의 턱이 제거된 공간의 비율 |
| |||
장기입원에 따른 입원환경 조성을 위한 기본시설 |
병상당 병실의 평균면적 |
일정 시점 병상당 병실의 평균면적 |
| ||
다인실(7인실 이상) 병상의 비율 |
일정 시점 전체 병상 중 다인실 (7인실 이상) 병상의 비율 |
| |||
화장실이 있는 병실의 비율 |
일정 시점 전체 병실 중 화장실이 있는 병실의 비율 |
신설 | |||
적정 욕실 유무 |
일정 시점 적정 욕실 유무 (적정면적, 온수, 난방) - 침대차가 들어가고 보조인력에 의한 목욕이 가능한 면적 - 지속적으로 온수공급 및 환자 체온 유지를 위한 난방 시설 구비 |
신설 | |||
환자용 편의시설 구비율 |
일정 시점 환자를 위한 독립된 공간의 휴게실과 식당 구비율 - 환자의 활동을 증진시켜 일상적인 동작 수행 능력을 증진 시키기 위한 시설 |
신설 |
구분 |
지표명 |
지표정의 |
비고 | ||
진료 내용
|
65세 이상 노인 중 입원시 간이 정신상태 검사 실시 환자비율 |
○ 65세 이상 노인 중 입원할 때 간이 정신상태 검사를 실시한 환자비율 |
신설 | ||
당뇨환자 중 당화혈색소(HbA1c) 검사 실시 환자비율 |
○ 당뇨환자 중 당화혈색소 검사를 실시한 환자비율 - 연 1회 이상 실시 |
신설 | |||
요실금 환자비율 |
저위험군 |
○ 고위험군이 아닌 환자 중 요실금이 있는 환자비율 - 고위험군 : 다음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환자 1. 인지능력이 심하게 손상된 경우 2. 이동관련 ADL- 체위변경하기(또는 일어나 앉기), 옮겨앉기, 방밖으로 나오기-을 못하는 경우 |
신설 | ||
유치도뇨관이 있는 환자비율
|
고위험군 |
○ 유치도뇨관이 있는 환자의 비율 - 고위험군 : 다음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환자 1. 대변을 조절 못하는 경우 2. 심한 욕창이 있는 경우 3. 혼수인 경우 4. 사지마비인 경우 - 저위험군 : 고위험군이 아닌 환자 ※ 장기간 삽입할 경우 요로 감염을 일으킬 수 있어 의료적으로 적정한 기간 동안 삽입하는 것이 중요함 |
| ||
저위험군 | |||||
일상생활수행능력 |
감퇴 정도 |
치매환자군 |
○ 전월에 비해 일상생활수행능력(ADL)이 감퇴된 환자비율 - 감퇴 : 10개 ADL 항목 중 값이 1 이상 증가한 항목이 2개 이상이거나, 2이상 증가한 항목이 1개 이상인 경우 |
| |
치매환자 제외군 | |||||
개선 정도 |
치매환자군 |
○ 전월에 비해 일상생활수행능력이 개선된 환자비율 - 개선 : 10개 ADL 항목 중 값이 1 이상 감소한 항목이 1개 이상인 경우 |
신설 | ||
치매환자 제외군 | |||||
욕창 |
새로 생긴 환자비율 |
고위험군 |
○ 전월에 비해 욕창이 새로 생긴 환자비율 - 고위험군 : 다음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환자 1. 체위변경하기 위해 상당한 도움을 받아야 하는 경우 2. 일어나 앉기 위해 상당한 도움을 받아야 하는 경우 3. 옮겨앉기가 위해 상당한 도움을 받아야 하는 경우 4. 방밖으로 나오기 위해 상당한 도움을 받아야 하는 경우
- 저위험군 : 고위험군이 아닌 환자 ※욕창 : 신체 일부분의 지속적인 압력으로 인한 혈액순환 장애로 피부조직이 괴사(세포가 죽음)되는 것 |
신설 | |
저위험군 | |||||
악화된 환자 비율 |
고위험군 |
○ 전월에 비해 욕창이 악화된 환자비율
- 고위험군 : 다음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환자 1. 체위변경하기 위해 상당한 도움을 받아야 하는 경우 2. 일어나 앉기 위해 상당한 도움을 받아야 하는 경우 3. 옮겨앉기가 위해 상당한 도움을 받아야 하는 경우 4. 방밖으로 나오기 위해 상당한 도움을 받아야 하는 경우
- 욕창의 악화 : 다음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1. 전월에 욕창이 있던 상태에서 개수가 늘어난 경우 2. 전월에 욕창이 있던 상태에서 단계가 심해진 경우 |
신설 |
주. 일상생활수행능력(ADL) : 옷벗고 입기, 세수하기, 양치질하기, 목욕하기, 식사하기, 체위변경하기, 일어나 앉기, 옮겨앉기, 방밖으로 나오기, 화장실 사용하기
지역별 평가 등급별 기관 현황 |
▢ 지역별 평가 등급별 기관 분포
(단위 : 기관, %)
지역 |
평가대상 |
1등급 |
2등급 |
3등급 |
4등급 |
5등급 |
등급제외 | |||||||
전체 |
718 |
(100) |
33 |
(100) |
137 |
(100) |
271 |
(100) |
212 |
(100) |
49 |
(100) |
16 |
(100) |
서울 |
62 |
(8.6) |
5 |
(15.2) |
14 |
(10.2) |
22 |
(8.1) |
14 |
(6.6) |
5 |
(10.2) |
2 |
(12.5) |
부산 |
91 |
(12.7) |
1 |
(3.0) |
10 |
(7.3) |
37 |
(13.7) |
35 |
(16.5) |
7 |
(14.3) |
1 |
(6.3) |
인천 |
29 |
(4.0) |
- |
5 |
(3.6) |
11 |
(4.1) |
11 |
(5.2) |
1 |
(2.0) |
1 |
(6.3) | |
대구 |
37 |
(5.2) |
- |
6 |
(4.4) |
14 |
(5.2) |
12 |
(5.7) |
5 |
(10.2) |
- | ||
광주 |
14 |
(1.9) |
1 |
(3.0) |
2 |
(1.5) |
8 |
(3.0) |
2 |
(0.9) |
1 |
(2.0) |
- | |
대전 |
33 |
(4.6) |
4 |
(12.1) |
3 |
(2.2) |
11 |
(4.1) |
11 |
(5.2) |
4 |
(8.2) |
- | |
울산 |
26 |
(3.6) |
1 |
(3.0) |
5 |
(3.6) |
3 |
(1.1) |
13 |
(6.1) |
4 |
(8.2) |
- | |
경기 |
127 |
(17.7) |
9 |
(27.3) |
22 |
(16.1) |
50 |
(18.5) |
36 |
(17.0) |
7 |
(14.3) |
3 |
(18.8) |
강원 |
15 |
(2.1) |
- |
1 |
(0.7) |
8 |
(3.0) |
5 |
(2.4) |
1 |
(2.0) |
- | ||
충북 |
24 |
(3.3) |
1 |
(3.0) |
7 |
(5.1) |
13 |
(4.8) |
3 |
(1.4) |
- |
- | ||
충남 |
43 |
(6.0) |
- |
7 |
(5.1) |
20 |
(7.4) |
12 |
(5.7) |
4 |
(8.2) |
- | ||
전북 |
56 |
(7.8) |
1 |
(3.0) |
18 |
(13.1) |
22 |
(8.1) |
10 |
(4.7) |
3 |
(6.1) |
2 |
(12.5) |
전남 |
31 |
(4.3) |
3 |
(9.1) |
11 |
(8.0) |
10 |
(3.7) |
4 |
(1.9) |
- |
3 |
(18.8) | |
경북 |
68 |
(9.5) |
6 |
(18.2) |
8 |
(5.8) |
23 |
(8.5) |
24 |
(11.3) |
3 |
(6.1) |
4 |
(25.0) |
경남 |
56 |
(7.8) |
1 |
(3.0) |
17 |
(12.4) |
18 |
(6.6) |
18 |
(8.5) |
2 |
(4.1) |
- | |
제주 |
6 |
(0.8) |
- |
1 |
(0.7) |
1 |
(0.4) |
2 |
(0.9) |
2 |
(4.1) |
- |
등급별 요양병원 명단 |
(울산 26기관)
지역 |
요양기관명 |
공개등급 |
울산 |
웰빙의료소비자생활협동조합성안요양병원 |
1 |
울산 |
소망요양병원 |
2 |
울산 |
울산광역시립노인병원 |
2 |
울산 |
웰빙의료소비자생활협동조합성심요양병원 |
2 |
울산 |
의료법인인석의료재단보람요양병원 |
2 |
울산 |
평화요양병원 |
2 |
울산 |
삼산요양병원 |
3 |
울산 |
예장의료소비자생활협동조합엘림요양병원 |
3 |
울산 |
온양고려요양병원 |
3 |
울산 |
늘푸름의료소비자생활협동조합참사랑요양병원 |
4 |
울산 |
늘푸름의료소비자생활협동조합참편한요양병원 |
4 |
울산 |
동울산사랑요양병원 |
4 |
울산 |
등대요양병원 |
4 |
울산 |
사회복지법인다사랑복지재단태안요양병원 |
4 |
울산 |
새생명요양병원 |
4 |
울산 |
성모요양병원 |
4 |
울산 |
울산의료소비자생활협동조합문수요양병원 |
4 |
울산 |
의료법인안아픈마을남울산요양병원 |
4 |
울산 |
중앙의료소비자생활협동조합중앙요양병원 |
4 |
울산 |
현대요양병원 |
4 |
울산 |
효마음요양병원 |
4 |
울산 |
효사랑요양병원 |
4 |
울산 |
국민요양병원 |
5 |
울산 |
라이프요양병원 |
5 |
울산 |
아람의료소비자생활협동조합아람요양병원 |
5 |
울산 |
언양아하브요양병원 |
5 |
(경남 56기관)
지역 |
요양기관명 |
공개등급 |
경남 |
한서재활요양병원 |
1 |
경남 |
거창군립노인요양병원 |
2 |
경남 |
경남도립사천노인전문병원 |
2 |
경남 |
경상남도립양산노인전문병원 |
2 |
경남 |
녹십자요양병원 |
2 |
경남 |
마산시립치매요양병원 |
2 |
경남 |
마산태봉요양병원 |
2 |
경남 |
실버캐슬요양병원 |
2 |
경남 |
엠마우스요양병원 |
2 |
경남 |
의료법인목화의료재단목화노인요양병원 |
2 |
경남 |
의료법인송파의료재단가야요양병원 |
2 |
경남 |
의료법인양원의료재단정다운요양병원 |
2 |
경남 |
의료법인푸른솔의료재단김해한솔요양병원 |
2 |
경남 |
진주성남노인요양병원 |
2 |
경남 |
참조은요양병원 |
2 |
경남 |
창녕요양병원 |
2 |
경남 |
창원시립치매요양병원 |
2 |
경남 |
푸른노인전문병원 |
2 |
경남 |
(의)환명의료재단경남도립김해노인전문병원 |
3 |
경남 |
경상남도립통영노인전문병원 |
3 |
경남 |
경상남도진주의료원노인요양병원 |
3 |
지역 |
요양기관명 |
공개등급 |
경남 |
남해군립노인전문병원 |
3 |
경남 |
민들레요양병원 |
3 |
경남 |
백세의료생활협동조합마산요양병원 |
3 |
경남 |
보은요양병원 |
3 |
경남 |
새낙천요양병원 |
3 |
경남 |
영남의료재단부설영남실버요양병원 |
3 |
경남 |
의료법인굿모닝의료재단굿모닝요양병원 |
3 |
경남 |
의료법인진주의료재단진주삼성노인요양병원 |
3 |
경남 |
의료법인태영의료재단사천삼성요양병원 |
3 |
경남 |
의료법인희연의료재단희연병원 |
3 |
경남 |
현대요양병원 |
3 |
경남 |
형주요양병원 |
3 |
경남 |
홍익요양병원 |
3 |
경남 |
환영의료재단함안재활요양병원 |
3 |
경남 |
희윤요양병원 |
3 |
경남 |
(의)효성의료재단세종요양병원 |
4 |
경남 |
경남요양병원 |
4 |
경남 |
경희요양병원 |
4 |
경남 |
고성삼성요양병원 |
4 |
경남 |
굿뉴스요양병원 |
4 |
경남 |
성모요양병원 |
4 |
경남 |
영산효사랑요양병원 |
4 |
경남 |
의료법인백천의료재단김해제일요양병원 |
4 |
경남 |
의료법인석영의료재단효도요양병원 |
4 |
경남 |
의료법인세호의료재단은혜요양병원 |
4 |
경남 |
의료법인수의료재단청솔요양병원 |
4 |
경남 |
의료법인안아픈마을장유연세요양병원 |
4 |
경남 |
자비요양병원 |
4 |
경남 |
장유효요양병원 |
4 |
경남 |
참사랑요양병원 |
4 |
경남 |
청보요양병원 |
4 |
경남 |
한국노인의료소비자생활협동조합시민요양병원 |
4 |
경남 |
행복한요양병원 |
4 |
경남 |
양산요양병원 |
5 |
경남 |
진해동의요양병원 |
5 |
첫댓글 은빛지기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잘 참고하여서 내 부모 내 이웃에게 알려드려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