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추사(甘湫寺) /전통사찰
- 강원도 동해시 용정동
신라 진평왕(재위 :579년~632년) 셋째딸 선화공주, 선화공주가 이 절을 처음 지었다고 한다.
창건 설화, 병이 났는데 낫지 않았다. 전북 익산 사자사 지명법사가 치유를 위해 권유.
지명법사 권유로 선화공주가 이곳에 와 석실에 불상을 두고 기도, 치유되었다.
치유에 대한 고마움에 이곳에 '석실암'을 지었다.
선화공주는 노년에 이곳으로 다시와 남은 생을 이곳에서 보냈고, 선화공주 무덤이 이곳에 있다고 한다.
오랫동안 폐사, 1902년 절을 다시 세우고 '신건암' 또는 '대은사 분암'이라고 하였다.
1959년 해일로 석실과 불상이 없어졌다고 한다.
1965년 감운법사가 절을 고쳐서 감추사라 하였다. 이곳 약수는 동해 시민이 자주 찾는다고 한다.
(감추사 안내문 인용, 정리함)
진평왕의 셋째딸 선화공주, 실존인지 설화에만 등장하는 만든 인물인지 알 수는 없다.
삼국유사에 서동왕자와 선화공주 편에 그 이름이 나오지만 사실을 따질 땐 그리 신빙성이 없다고 한다.
선화공주는 백제 무왕의 부인이고 백제 미륵사를 창건하였다고 하지만 근래 발견한 자료엔 무왕 부인은 사택씨 딸이다.
몸이 아픈 공주가 경주 주위 동해에도 좋은 곳이 많은데 멀리 이곳까지 왔다는 것은 믿기 어렵다.
또한 신라는 백제와 적대관계, 백제 승려가 신라에 와서 공주에게 설법하고 권유하였다는 것도 그렇다.
설화는 설화일 뿐이다.
차로 감추사까지 갈 수는 없다. 철길 위에 놓인 육교를 이용, 동애안을 잠깐 걸으면 감추사가 나온다.
절 주위는 철조망, 아직도 군이 경계근무를 서고, 밤엔 출입이 통제되는 곳 같다.
동해를 보는 경치는 좋지만 절은 하루 내내 응달이다. 신개축이 쉽지는 않겠지만 어수선한 느낌이다.
석실 흔적이 있다고 적혀 있지만 나는 굳이 그 흔적을 볼 마음은 없었다.
'강추'하고 싶지 않은 감추사이다. 감추사 주위 동해안 둘레길이 잘 놓여져 있다.
이 비석 아래서 지난밤을 보냈다.
육교 위에서 본 동해시와 바다
육교를 건너 바닷가로 왔다. 북쪽 방향 해변
감운당, 승탑과 탑비, 감운은 1965년 감추사를 다시 세운 분이다.
대한민국 모든 해안, 휴전선에서 이런 철조망이 다 걷혀지길 소원하였다.
강원도 동해시는 옛날 북평면과 묵호읍을 엮어 만들었다. 어쩌면 삼척시나 마찬가지다.
두타산 무릉계곡 삼화사와 감추사, 이 두 곳이 전통사찰이다.
지상사지, 지상사를 네비게이션을 이용하여 찾아갔으나 실패, 도저히 나는 찾을 수 없었다.
지상사는 삼척 영은사, 천은사 등과 같은 설화를 가지고 있다.
지상사 철불좌상(강원도 유형문화재)는 홍천군 쌍계사(전통사찰)에 있다.
2023년 10월 26일
감추사..자상사지(1시간이나 헤매임, 못 찾음)..삼척시립박물관..경북 울진 봉평리 신라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