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 웨이비스(289930.KQ): 국산화를 토대로 방산, 안티 드론 진출 ★
원문링크: https://bit.ly/42Kh1oT
1. 이미 적용되고 있는 GaN RF 반도체
- 웨이비스는 2017년 설립된 GaN RF 반도체 칩 제조 전문 업체로 고객사인 방산 무기체계,안티 드론 업체 향 납품
- 차세대 반도체 중 GaN RF 반도체는 이미 전방 산업에 적용 및 상용화 중
- 기존 통신 진공관 제품 대비 고전압, 고출력 지원이 가능하며 고주파에서 동작이 가능하기에 방산용 레이다, 위성통신 등 첨단산업 향 납품 지속 확대가 예상
- 방산 산업과 직결되기에 주파수 대역별로 수출 통제 기준이 확립되어 있으며 국내 업체들은 MACOM, Qorvo 포함 글로벌 제조사 향 의존도가 높았음
- 웨이비스는 2019년 국내 최초로 GaN RF 반도체 국산화 및 상용화를 달성하였으며 이는 최근 방위사업청의 부품 국산화 기조의 흐름에도 부합
- GaN RF 반도체 칩부터 패키지 트랜지스터, 모듈까지 양산을 내재화하였으며 글로벌 경쟁사 대비 납기 및 가격 경쟁력을 토대로 국내 점유율 확대 추진 중
- 특히 글로벌 경쟁사들은 이동통신용 GaN RF 반도체를 주력으로 생산 중인 것에 반해 웨이비스는 방산 향 노출도가 높음
- 또한 해외에서 수입 시, 수출 통제 기준 통과 기간이 존재한다는 측면에서 국내 업체들이 납기일 단축에 비교적 유리한 상황
- 현재 국내에서는 동사 포함 소수의 업체가 GaN RF 반도체 본격 양산을 진행 중이며 방산 고객사 개별 무기체계에 따른 적용 GaN RF 반도체 종류가 다양하기에 방산 산업 파이의 확대에 따라 성장세를 유지할 것이라는 판단
- 전방 산업별 매출액 비중은 방산 산업 85%, 드론/통신 및 기타 15% 수준으로 향후에도 방산 향 비중이 대다수를 차지하지만 2025년부터 드론 향 사업 본격화에 따라 매출 비중 확대가 예상
2. 인도 중심의 방산, 안티 드론 매출 확대 모멘텀 지속
- 웨이비스는 국내 대표 방산 고객사 향 GaN RF 반도체를 납품 중
- 특히 국방 레이다 시스템 내 전력 효율 최적화, 탐지 거리 향상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기에 국방 레이다 향 비중이 높은 것으로 파악
- 국내 방산업체들의 레이다 기술 고도화와 선박 레이다 등 다양화가 지속 진행 중으로 향후에도 동사에게 신규수주 기대감으로 작용할 전망
- 한편 인도 시장 향 방산, 드론 매출 확대가 기대
- 인도 최대 국영 방산 업체인 Bharat Electronics 향 첨단무기체계 프로젝트 수주를 하였으며 2023년 연간 17억원의 매출을 달성
- 글로벌 GaN RF 반도체 수출 통제 기준과 납기일을 고려할 때 인도 및 신규 국가 향 추가 고객사 확보 기대 가능하다. 또한 드론 산업 성장에 따라 안티 드론 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대두되며 인도 ACCORD 향 2023년 연간 12억원 매출을 확보
- 2025년에는 전년도 인도 향 지연되었던 수주 건들이 정상 진행될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드론 향 매출 비중의 성장이 기대
- 1H24 매출액 146억원, 영업적자 -17억원으로 2024년은 드론 매출의 이연과 X-Band 상용화 개발비용 등으로 인해 연간 적자 불가피할 전망
- 그러나 3Q24 기준 수주잔고 384억원 대부분이 2025년 실적에 온기 반영 예정이며 드론 시장 진출 추이에 따라 2025년 흑자 턴어라운드 가능할 것으로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