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증권/에너지소재/윤재성] SK이노베이션: 정유 개선 vs. 배터리 부진
▶️ 보고서: https://bit.ly/3CAExdt
▶️ 실적 하이라이트와 애널리스트 코멘트
- 4Q24 영업이익은 1,599억원으로 컨센을 46% 상회했습니다. SK온/배터리소재/석유화학의 대폭 적자를, 정유의 개선이 상쇄한 덕입니다.
- 1Q25 영업이익은 3,441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개선을 예상합니다. 석유/E&S 추가 개선과 SK온의 적자폭 축소 영향입니다.
- Neutral, TP 13만원을 유지합니다.
- 2025년 석유사업의 회복을 전망합니다. 미국의 제한된 증설, 중국의 러시아/이란 원유 조달 차질과 이에 따른 Teapot 구조조정 가능성 등을 감안하면 정제마진 개선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미국/캐나다 원유 조달 비중의 탄력적인 조절을 통해 원료 조달 측면에서도 우위를 가져갈 수 있습니다.
- 다만, 주가의 상승 트리거는 SK온과 배터리 소재 사업의 적자폭 축소에 달렸습니다. SK온은 2024년 하반기 조지아 SKBA 1~2공장 총 12개 라인 중 9개는 현기차, 2개는 WV, 1개는 Ford로 라인 전환했고 4Q24부터 주요 고객사향 출하량이 소폭 증가 추세에 있어 AMPC 증가와 적자폭 축소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투자의견은 배터리 관련 비즈니스의 흑자전환 가능성이 높아지는 시점에 상향 할 계획입니다.
▶️ 4Q24 영업이익 컨센 46% 상회. 정유의 대폭 개선 덕분
- 석유사업 영업이익은 3,424억원(QoQ +9,590억원)으로 큰 폭 증익. 유가 상승에 따른 재고관련이익 약 900억원 반영
- 석유화학 영업이익 -842억원(QoQ -698억원). PX, BZ 마진 조정 영향. 윤활유 비수기로 QoQ -20% 감익
- SK온은 판매량 소폭 증가에도 불구하고 전분기 높은 기저효과 및 일회성 비용 반영으로 영업이익 -3,594억원(OPM -22.5%) 기록. AMPC는 물량 증대 영향으로 813억원(QoQ +34%)으로 증가
▶️ 1Q25 영업이익 QoQ +115% 증익 전망
- 석유사업 3,967억원(QoQ +16%) 추정
- SK온 영업이익 -3,003억원(OPM -17%) 예상. SKBA의 현기차/Ford향 출하량 증가에 따른 가동률 상승에 따른 고정비 상쇄 효과와 AMPC 965억원(QoQ +19%)으로 증가 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