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1 벤야민 땅 아나톳에 살던 사제들 가운데 하나인 힐키야의 아들 예레미야의 말.
2 유다 임금 아몬의 아들 요시야 시대, 그의 통치 십삼년에 주님의 말씀이 예레미야에게 내렸다.
3 그의 말씀은 유다 임금 요시야의 아들 여호야킴 시대를 거쳐 유다 임금 요시야의 아들 치드키야 제십일년 말까지, 곧 그해 다섯째 달, 예루살렘 주민들이 유배될 때까지 내렸다.
유다에 대한 신탁
예언자의 소명
4 주님의 말씀이 나에게 내렸다.
5 “모태에서 너를 빚기 전에 나는 너를 알았다.
태중에서 나오기 전에 내가 너를 성별하였다.
민족들의 예언자로 내가 너를 세웠다.”
6 내가 아뢰었다. “아, 주 하느님
저는 아이라서 말할 줄 모릅니다.”
7 주님께서 나에게 말씀하셨다.
“ ‘저는 아이입니다.’ 하지 마라.
너는 내가 보내면 누구에게나 가야 하고
내가 명령하는 것이면 무엇이나 말해야 한다.
8 그들 앞에서 두려워하지 마라.
내가 너와 함께 있어 너를 구해 주리라.
주님의 말씀이다."
9 그러고 나서 주님께서는 당신 손을 내미시어 내 입에 대시며, 나에게 말씀하셨다.
“이제 내가 너의 입에 내 말을 담아 준다.
10 보라, 내가 오늘 민족들과 왕국들을 너에게 맡기니, 뽑고 허물고 없애고 부수며 세우고 심으려는 것이다.”
첫 번째 환시와 계시
11 주님의 말씀이 나에게 내렸다. “예레미야야, 무엇이 보이느냐?” 내가 대답하였다. “편도나무 가지가 보입니다.”
12 그러자 주님께서 나에게 말씀하셨다. “잘 보았다. 사실 나는 내 말이 이루어지는지 지켜보고 있다.”
13 주님의 말씀이 두 번째로 나에게 내렸다. “무엇이 보이느냐?” 내가 대답하였다. “끓는 냄비가 보이는데, 그것은 북쪽에서부터 쏟아질 듯 기울어져 있습니다.
14 그러자 주님께서 나에게 말씀하셨다. ”북쪽에서 재앙이 터져 이 땅의 모든 주민 위에 덮칠 것이다.
15 이제 내가 북쪽 왕국들의 모든 족속을 불러들일 것이다. 주님의 말씀이다. 그들이 와서 저마다 제 왕좌를 예루살렘 성문 입구에 차리고, 그 주변 모든 성벽과 유다의 모든 성읍에 맞설 것이다.
16 그러면 내가 그들을 거슬러, 그들이 나를 저버리고 다른 신들에게 제사를 바치며, 자기네 손으로 만든 것들을 섬긴 모든 죄악에 대하여 심판의 말을 내리겠다.
17 그러므로 이제 너는 허리를 동여매고 일어나, 내가 너에게 명령한 모든 것을 그들에게 말하여라. 너는 그들 앞에서 떨지 마라. 그랬다가는 내가 너를 그들 앞에서 떨게 할 것이다.
18 오늘 내가 너를 요새 성읍으로, 쇠기둥과 청동 벽으로 만들어 온 땅에 맞서게 하고, 유다의 임금들과 대신들과 사제들과 나라 백성에게 맞서게 하겠다.
19 그들이 너와 맞서 싸우겠지만 너를 당해 내지 못할 것이다. 내가 너를 구하려고 너와 함께 있기 때문이다. 주님의 말씀이다.“
첫댓글 흔히 구약의 예언자들 가운데 예수 그리스도를 가장 많이 닮았다고 하는 예레미야 예언자는
유다 임금들 가운데서 드물게 주님께 충성했던 요시야 임금 십삼년부터 유다의 마지막 임금 치드키야 제십일년까지 주님의 말씀을 받아 유다 백성에게 전했던 인물이다.
그는 주님의 말씀뿐 아니라 자신의 삶 자체와 상징적인 행동으로도 주님의 메시지를 백성에게 들려주며 계약의 주님께 돌아오라고 설교하였다.
예레미야의 모습은 주님의 말슴에 충실한 이들이 당해야 하는 고통의 의미를 되새기게 해 준다.
(생활성서사 "여정"의 글을 그대로 옮겼습니다.
역사적 상황
예레미야가 예언자의 사명을 수행하기 시작할 때(BC 627년)에는, 세계를 제패하고 있던 아시리아의 세력이 약화되어 가는 가운데 바빌론이 크게 성장하고 있었다.
그러자 바빌론의 팽창을 견제하기 위하여 이집트 임금 느코가 아시리아의 지원에 나섰다. 느코의 의도가 성취되지는 못했지만, 그는 대신 시리아오 팔레스티나를 통제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BC 605년 바빌론의 임금 나보포라사르의 황태자였던 네부카드네자르가 카르크미스 근처에서 이집트 군대를 쳐부수었다. 그 결과 유다 왕국은 아시리아, 이집트에 이어 바빌론의 지배를 받는 처지가 되었다.
유다에서는 요시야 임금이 살아있는 동안 정세가 비교적 안정되었으나, 그가 이집트와의 전쟁에서 전사하자(BC 609년)나라가 불안하게 되었다. 그의 뒤를 이어 세 아들(여호아하즈, 여호야킴, 치드키야)과 한 명의 손자(여호야킨)가 20년 동안 왕국을 다스렸다.
(생활성서사 '여정"에서 옮겨온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