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약초에는 독성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보통 간기능이 안좋거나 위장이 안좋으면
독소 분해 기능이 떨어져 간기능문제와 소화불량
복통 설사 등 장애를 일의키기도 합니다
* 신경계통의 부작용이나 독성 있는 약재
마황, 오두, 인삼, 창이자, 아출, 주사, 고삼, 호장근,
목련, 초과, 부자, 마전자, 남성, 홍화유, 한방기, 단삼,
반묘, 감초, 행인과 도인
마황은 PPA 성분을 갖고 있고, 조증이나 진전(떨림 증상),
경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PPA(페닐프로판올아민) 성분은
뇌출혈을 일으킬 수 있어 2004년부터 식약청에서는
일반의약품에서 이 성분을 제거하도록 조치했습니다.
이 때문에 일부 의사들은 “왜 급여되는 한약처방에 이 성분이
들어있는데도 묵과하느냐”며 항의를 하고 있죠.
인삼도 진전, 두통, 불면, 초조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인삼이 들어간 처방을 복용한 후 두통을 호소하는 환자가
드물게 있다는 사실을 한의사들이 잘 알고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창이자는 호흡을 불규칙하게 하고 둔감해지거나 경련을 일으키게 합니다.
고삼의 matrine 성분은 호흡근과 횡격막을 마비시키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호장근과 목련, 초과는 트롬빈 저해작용을 보이고, 부자는 지각과 운동신경을 마비시킬 수 있습니다.
남성은 피하주사를 맞은 생쥐에게 경련발작을 일으킨 후 사망케 했습니다.
단삼은 근긴장 이상증을 유발합니다.
감초는 일시적인 마비를 유발하거나 약물상호작용에 의해
MAO억제제작용을 증가시켜서 두통과 초조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행인과 도인은 중간대사산물의 독성으로 인해
과량 복용한 중국의 한 아동이 구토와 실신,
경련발작 후 사망한 사건을 유발시킨 바 있습니다.
* 간독성을 보이는 약재
백굴채, 부자, 감수, 대극, 원화, 주사, 시호, 황련, 황금,
대황. 마황, 백선, 포황, 강반하, 상기생, 황단, 창이자, 천련자
백굴채는 특정 성분이 간독성을 일으키는 것으로
간주되지는 않았지만, 면역 매개 손상으로 추정을 하고 있으며,
10여명에게 급성 간손상을 유발시킨 증례보고가 있습니다.
대황은 anthraquinone이 함유되어 있고, 센토사이드 성분이 있습니다.
부자는 아코니틴과 클로로포름 성분을 갖고 있습니다.
창이자는 AA2라는 성분을 0.02% 함유하고 있죠.
주사는 수은이라는 중금속이 있으며, 중금속은 혈액을 따라
이동하다가 표적 장기인 간, 콩팥, 뇌, 뼈 등에 붙어 손상을 야기합니다.
황금의 SCD는 간에 저장된 글루타치온이 30% 이하로 고갈될 때만
독성이 발현되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황련은 7∼9%의 베르베린 알칼로이드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중국산 하수오는 대황과 같이 anthra quinone성분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죠.
일부 책에서는 작약 등의 약재도 간독성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근거가 될 만한 자료가 없었던 경우도 더러 있습니다.
때문에 약물유전체연구나 동물실험 외에도 임상에서 보고되는 부작용사례를
중심으로 추적해갈 필요가 있겠습니다.
첫댓글
인삼의 경우도 몸에 안맞는 사람이 반에 이르기에 이걸 발효시켜 대다수 사람들이 먹을수 있게 변형을 시킨 식품이 "홍삼"이라는데 당연한 말인거겠죠, 약재로 쓰이는 모든 물질에는 과하면 독이 되는 경우들이 있고 안맞는 사람들에게 독이 되는 경우도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