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남금북정맥산줄기이야기
댓글 0
우리산줄기별 이야기 /한남금북정맥
2011. 2. 5.
우리산줄기이야기(한남금북정맥편)
□. 우리산줄기의 이름
아래에 나오는 산줄기 명칭은 백두대간과 정맥은 산경표에서 정의한대로 일치를 시켰으며 19기맥은 100km 이상되는 산줄기와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 산줄기로 산경표의 원리대로 온전한 강줄기의 울타리를 치고 있으면 강줄기의 이름을 사용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대표적인 산이나 지명을 차용하여 내 나름대로 원칙에 충실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여 이름을 지었다
대간이나 각 정맥 기맥에서 분기된 30km이상 100km미만인 산줄기인 지맥과 아래에 나오는 산줄기 명칭은 백두대간과 정맥은 산경표에서 정의한대로 일치를 시켰으며 19기맥은 100km 이상되는 산줄기와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 산줄기로 산경표의 원리대로 온전한 강줄기의 울타리를 치고 있으면 강줄기의 이름을 사용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대표적인 산이나 지명을 차용하여 내 나름대로 원칙에 충실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여 이름을 지었다
대간이나 각 정맥 기맥에서 분기된 30km이상 100km미만인 산줄기인 지맥과 10km 이상 30km미만인 단맥은 어느 하나의 물줄기 가름이 정확하지 않고 여러개의 물줄기를 거치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그 흐름도 산줄기의 이름으로 사용하기에는 미미한 경우나 인지도가 현저히 낮아 주로 대표산의 이름을 차용해 지었으며 특수한 경우 지방 이름을 차용하여 지었다
10km 미만인 여맥은 그 이름을 일일이 나열하기가 너무 번거로워 생략을 하거나 특별한 경우만 00여맥이라고 표현을 하였다
□. 산줄기의 격
대간이나 정맥을 제외한 산줄기에 격을 둠은 모든 산줄기를 단순히 기맥이라고 한다든지 지맥이라고 한다든지 할 경우 산줄기 이름만 들어서는 과연 그 산줄기가 어디에서 분기하였으며 어느 정도의 흐름을 가지고 있는지 도저히 짐작을 할 방법이 없다
산경표에서도 대간 정간 정맥으로 그 산줄기의 부모형제의 관계를 설명하려 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그보다 더욱 복잡하고 천태만상인 기맥 이하의 산줄기를 단순히 하나의 항열로 부른다면 많은 혼란을 초래할 것 같아 그 뿌리를 밝히고 항열을 밝히고자 함이다
그래서 백두대간이나 정맥을 제외한 100km 이상의 산줄기나 어떠한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산줄기를 기맥으로 정의를 하고 그 대간이나 정맥 기맥을 주맥으로 보고 그 주맥에서 분기된 지맥을 표현할 경우 그 조상의 이름을 앞에다 놓아 그 산줄기가 어디서 왔는지 표현하려 했다
예를 들면 경북 문경시에 운달산이라는 그 지방 명산이 있는데 그 산이 속한 산줄기 이름을 지을 경우 우선 백두대간에서 분기가 되었으니 우리산줄기의 조종인 “백두”를 가져오고 그 다음으로 그 산줄기중 가장 유명한 산이 운달산으로 추정이 되므로 “운달”을 가져와 연결해서 부르면 “백두운달지맥”이 되는 원리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즉 “백두대간 대미산에서 운달산으로 연결된 30km 이상 100km 미만인 산줄기구나” 하고 해석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정맥과 기맥에서 분기된 지맥은 백두대간과 정맥과 기맥을 조상으로 생각을 하고 우선 그 백두나 정맥이나 기맥 이름을 앞에다 가져오고 그 다음 그 산줄기에서 가장 유명한 산 이름이나 특수한 경우 지방 이름을 가져온다
예를 들면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천마산 줄기를 이름 짓는다면 우선 조상격인 한북정맥에서 분기했으니 “한북”을 가져오고 다음에 그 산줄기중 가장 유명한 이름이나 특수한 경우 그 지방 이름을 가져온다
그래서 그 산줄기 중 가장 유명한 산이 천마산으로 추정이 되므로 “천마”를 가져와 이름이 “한북천마지맥”이 되는 것이다
즉 “한북정맥에서 천마산으로 연결된 30km 이상 100km 미만인 산줄기구나”하고 해석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특수한 경우를 예를 든다면
한강영월지맥
한강정맥(기맥)이 서진하면서 계방산 가기 전 도면상 1462봉어깨에서 남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니 시종일관 남진하면서 강원도 영월읍에서 동강과 서강이 만나 남한강이 되는 특별한 의미를 줄 수 있는 산줄기
낙동안동지맥
낙동정맥이 칠보산을 거쳐 남하하면서 쇠재에서 깃재(귀재)로 가던중 무명 헬기장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영양의 진산 일월산을 지나 산줄기의 대부분이 안동땅을 지나가며 대한민국의 유수한 바다와 같이 너른 안동호와 임하호를 가르며 안동땅에서 낙동강물이 되는 특별한 의미를 줄 수 있는 산줄기
그 외 호남화원지맥, 호남여수지맥 등이 있다
단맥이라 함은 마찬가지로 대간 정간 정맥 기맥 지맥 모두에서 분기하여 10km이상 30km 미만인 산줄기를 말하며
위와같은 논리로 한북천마지맥 주금산에서 분기하여 축령산으로 뻗은 산줄기를 한북천마축령단맥이라고 이름지을 수가 있는 것이다 즉 “한북천마지맥에서 축령산으로 연결된 10km이상 30km 미만의 산줄기구나” 하고 해석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여맥이라 함은 모든 산줄기에서 분기한 10km 미만인 산줄기를 나타내며 아주 짧은 경우 생략을 하고 분기된 그 산줄기에 있다고 설명을 하였으며 그 산을 특별히 나타내고자 할 경우에 한해 예를 들어 한북천마지맥에서 동쪽으로 분기된 운길산을 위와같은 논리로 이름을 짓는다면 한북천마운길여맥이라 부를 수가 있는 것이다
□. 산줄기의 순서
정맥과 기맥이 대간에서 북에서 남으로 분기된 순서대로 “편”으로 분리하여 이야기를 하고 거기에서 분기된 지맥 분맥 단맥등을 분기점에서 순서대로 기술을 하고 또한 정맥에서 분기된 기맥은 그 분기된 정맥 다음으로 분기점에서 순서대로 기술을 한다
01편. 백두대간
02편. 한북정맥
03편. 한탄기맥
04편. 한북기맥
05편. 소양기맥
06편. 한강정맥(기맥)
07편. 홍천기맥
08편. 치악기맥
09편. 낙동정맥
10편. 팔공기맥
11편. 위천기맥
12편. 비슬기맥
13편. 형남기맥
14편. 내성기맥
15편. 한남금북정맥
16편. 한남정맥
17편. 금북정맥
18편. 금북기맥
19편. 가야기맥
20편. 진양기맥
21편. 금남호남정맥
22편. 금남정맥
23편. 금남기맥
24편. 호남정맥
25편. 영산기맥
26편. 땅끝기맥
27편. 고흥기맥
28편. 낙남정맥
29편. 섬산줄기
단 위의 산줄기의 분류는 아직은 공식적인 잣대가 없으니 내 나름대로의 원칙을 가지고 산경표의 원리에 충실하려고 최대한 노력한 분류방법임을 밝힌다 물론 앞으로 공식적인 기관에서 산줄기 이름을 짓는다면 추후 그 이름을 따를 것이며 이보다 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이 있다면 그에 따를 것이다
산림청 선정 100대명산 높이는 한국의산하에 올라온 자료에 의해 그 높이를 기록했으며 그 외의 산들은 기타 문헌이나 5만분의1지형도에 표기된 높이로 기록했다
산높이가 표시되지 않은 산들은 역시 5만분의1지형도 등고선 평균 높이를 기록하였으므로 다른 문헌이나 인터넷 정보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말씀드리고자 한다
또한 산줄기의 분기점은 변하지 않으나 그 끝나는 지점은 원칙적으로 제일 긴 산줄기를 따라 갔으나 어느 유명한 산이나 천이나 강의 울타리 또는 합수점을 찾아가기 위해서 짧은 줄기를 택한 경우도 있고 고만고만한 산줄기가 여럿 있을 경우 제일 큰 동네로 갔으나 그렇지 않을 경우 내 임의대로 선택을 하였다
□. 참고사항
여기서 산의 격을 구분짓는 00km란 거리는 5만분의1지형도를 맵자로 잰 거리이므로 재는 방법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100km, 30km, 10km와 같은 기맥 지맥 단맥 여맥의 경계선상의 수치는 어느 정도 오차가 발생해 추후 산줄기의 격이 틀려질 수 있다
“00산(◬000, 00/00)”이라함은
00산(삼각점◬높이m, 거리km/거리누계km)를 나타내는 것이다
“00).” 이라는 산줄기 앞의 숫자는 직접 정맥에서 분기한 순서이며 “(00)”이라는 산줄기 뒤의 숫자는 지맥급이나 단맥급 산줄기의 갯수를 나타내는 것임
15편. 한남금북정맥산줄기이야기
한남금북정맥이란?
종주에 필요한 5만분지일 지형도 도엽명 : 안성 장호원 음성 미원 보은 관기 속리
백두대간이 백두산에서 줄기차게 남으로 뻗어오다 중원의 백미인 조령산 대야산 속리산을 빚으며 그 마지막 봉우리인 속리산 천황봉에서 멈칫멈칫하다 대간은 그대로 남으로 흘려 보내고 충청북도를 북서로 달리는 산줄기를 하나 더 만들어 시종 일관 달리다가 경기도로 훌쩍 넘어가 안성 칠장산에서 금북정맥 한남정맥 두줄기를 만들어 금강의 북쪽 울타리와 한강의 남쪽 울타리로 삼고 한남금북정맥은 그 소임을 다하고 흐름을 한남정맥과 금북정맥에게 인계하고 멈추는 약15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우리산줄기로 알아보기 위해
산경표 73, 74, 75頁을 보면
10. 漢南錦北正脈
(七三頁)
俗離山 見上二六頁
01)回踰峙
02)龜峙
03)燕峙 報恩西南 分三歧-1, 2
(74혈)1-含林山 東來 報恩治在南十里
2-車衣峴 西來 報恩西
金積山 東南來 報恩南二十五里
德義山 靑山北五里
己城山 靑山治在東八里
04)皮盤嶺 分二歧-1 懷仁北十五里
1-金方山 西南來 文義東南十五里 分二歧-[1]
(74혈)[1]-栗峙 西北來
壤城山 文義治在南二里
多子山 文義西十七里 西來
八峯山 當龍唐之口東津荊江會其下
九龍山 東來 文義東北十二里 懷仁西北二十五里
墨峴 懷仁西十三里
阿麽山 懷仁治在南二里
05)仙到山 淸州東二十里
06)巨竹嶺 北來 淸州東十里
07)上嶺山 亦名上嶺 淸州東十五里 分二歧-1
1-臥牛山 西來
唐羡山 淸州治在西一里
08)上黨山城 此卽在上嶺山者誤分爲二
09)粉峙 東來 淸州東三十里
10)坐龜山 淸安南十里 分二歧-1
(七四頁)
10)坐龜山 見上 分二歧-1
(75혈)1-淸安峙 北來 山名未詳
11)普光山 北來 槐山南二十六里 分二歧-1
(75혈)1-錦山 東北來 槐山西二里
12)鳳鶴山 一名小馬 槐山西二十五里 (分二歧 누락)
(75혈)1-太原山 槐山治在南一里
13)甑山 西北來
14)麻谷山
15)普賢山 陰城西十九里 分二歧-1
1-叱音山 東北來
炭峴 分二歧-[1]
(75혈)[1]-芙蓉山 北來 忠州西六十一里
車儀山 一名鷲山 忠州西六十一里
元通山 忠州西六十一里
白巖山 元通來漢水民川會于西
迦葉山 陰城治在南八里 又忠州西四十五里
16)小俗離山 忠州西九十里
17)望夷山 忠州西百十里 竹山南二十五里
18)周傑山 西來 竹山南
19)七賢山 一名道宗 竹山南十里 分二歧-1
1-靑龍山 西男來 錦北正脈 見下八0頁
20)白雲山 北來 漢南正脈 見下七六頁
우리산줄기 樹體系圖(族譜式)로 살펴보면
3지맥 1분맥 32단맥과 수많은 여맥으로 이루어진 것을 알수 있다
단위 : km
소계 37 | 3 | 1 | 32 | 839.6 | ||
한남금북정맥 | 158 | 보은 | ||||
새목이재 남측 | 한남금북탄부단맥1 | 18.6 | 보은 | |||
쌍암재 남측 | 한남금북금적지맥1 | 50.5 | 보은 | |||
느티고개 동남측 | 한남금북금적보은단맥2 | 17 | 보은 | |||
장선리고개 서남측 | 한남금북금적용호단맥3 | 13.1 | 옥천 | |||
큰음달산 서측 | 한남금북금적여수울단맥4 | 11.3 | 옥천 | |||
싸리재 동남측 | 한남금북금적삼승단맥5 | 13 | 옥천 | |||
관함봉 북동측→ 한남금북금적삼승만월단맥6 | 11 | 옥천 | ||||
옥천군 청성면 합금리 하금마을 금강변 終 50.5km | 옥천 | |||||
쌍암재 서측 | 한남금북팔봉지맥2 | 46.6 | 보은 | |||
피반령 서남측 | 한남금북팔봉샘봉단맥7 | 17.7 | 청원 | |||
회북터널 남측→ 한남금북팔봉샘봉구리단맥8 | 13 | 청원 | ||||
모재고개 | 한남금북팔봉봉무단맥9 | 16.8 | 청원 | |||
한남금북팔봉망월단맥10 | 14.6 | 청원 | ||||
덕고개 | 한남금북팔봉유모단맥11 | 14 | ||||
팔봉산 | 청원 | |||||
출동산 | 연기 | |||||
연기군 동면 합강리 미호천과 금강 합수점 終 46.6km | 연기 | |||||
선도산 남측 | 한남금북성무단맥12 | 12.6 | 청원 | |||
상당산성 | 한남금북상당단맥13 | 12.9 | 청원 | |||
안둥뱅이 서측 | 한남금북인경단맥14 | 12.6 | 청원 | |||
구녀산 북동측 | 한남금북삼보단맥15 | 21 | 청원 | |||
좌구산 | 한남금북미동단맥16 | 18 | 청원 | |||
좌구산 북측 | 한남금북설운단맥17 | 16.5 | 괴산 | |||
질마재 남측 | 한남금북도토성단맥18 | 13.1 | 증평 | |||
칠보산 북측 | 한남금북대산단맥19 | 19.1 | 괴산 | |||
굴티고개 동남측 1.8km 지점→ 한남금북대산치재단맥20 | 16.1 | 괴산 | ||||
보광산 | 한남금북배실단맥21 | 12.8 | 괴산 | |||
내동고개 서남측 | 한남금북두타단맥22 | 25 | 음성 | |||
보천고개 북측 | 한남금북갑산단맥23 | 22.3 | 괴산 | |||
보현산 | 한남금북부용지맥3 | 45.4 | 음성 | |||
사정고개 북동측 | 한남금북부용가섭분맥1 | 33.8 | 음성 | |||
가섭산 | 음성 | |||||
풍류산 | 괴산 | |||||
괴산군 불정면 하문리 하소마을 달천변 終 33.8km | 괴산 | |||||
수레의산 북동측 | 한남금북부용자주단맥24 | 29 | 충주 | |||
평풍산→ 한남금북부용자주장미단맥25 | 11.3 | 충주 | ||||
원통산 북동측 | 한남금북부용보련단맥26 | 15.8 | 충주 | |||
오갑산 동남측 | 한남금북부용치마단맥27 | 14.4 | 충주 | |||
여주군 점동면 삼합리 청미천과 남한강 합수점 終 45.4km | 여주 | |||||
소속리산 남측 | 한남금북함박단맥28 | 19.1 | 음성 | |||
한태재 남측→ 한남금북함박암솔단맥29 | 11.7 | 음성 | ||||
굴암산 서북측 | 한남금북팔성단맥30 | 14.5 | 음성 | |||
한남금북뒷골단맥31 | 12.5 | |||||
황색골산 서남측 158km | 한남금북백운단맥32 | 14.9 | 음성 | |||
칠장산→ 한남정맥 | 안성 |
01. 한남금북탄부단맥
속리산 천황봉에서 분기한 한남금북정맥이 흐르다 14번군도 속리터널위 새목이재 남측 0.5km 지점 보은군 보은읍, 내속리면, 외속리면의 삼면봉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보은읍과 외속리면의 경계를 따라 오봉암임도-37번국도(3.7)-25번국도(0.8/4.5)-대목도로(3.3/7.8)-
청원~상주간 고속도로( 2/9.8)-도로-나비재-363.3봉-착골임도(2.6/12.4)-
502번지방도로(2.4/14.8)를 지나 논두렁을 타고 보은군 탄부면 구암리 하관말 작은 동산을 넘어 삼가천이 보청천을 만나는 곳(1.8/16.6)에서 끝나는 약18.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1. 한남금북금적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미원 보은
한남금북정맥이 속리산 천황봉에서 분기하여 안성 칠장산으로 가면서 탁주봉 구봉산 지나 구룡산어깨(410)에서 정맥은 서북쪽으로 흘러가고 한줄기를 남쪽으로 분기하여 보은군 회북면과 내북면의 경계를 따라 九龍산(530, 0.5)-△445.9봉-갈티고개임도-느티고개임도-△385봉-
494봉어깨(430, 5.5/6)에서 동쪽으로 한남금북금적보은단맥을 떨구고 서남진한다
446봉-△-수리티재도로(310, 3.6/9.6)-△435.5봉-466봉-
老城산(507, 2.9/12.5)-△503.7봉-501봉-노성리고개 도로(330, 4.5/17)-
△503.8봉(0.8/17.8)에서 남쪽으로 한남금북금적용호단맥을 떨구고 북진한다
575번지방도로 장선리 도로(310, 1.5/19.3)-거멍산(△494.4, 3.9/23.2)-
37번국도 문티재(310, 1.3/24.5)-德垈산(573, 1.5/26)-531봉-614봉-
金積산(△652.0, 3.5/29.5)-건부랑재-358봉 지나
듬치재(정방재, 270, 3.2/32.7)로 내려선다
358봉-큰음달산(425, 1.5/34.2)에서 서남방향으로 한남금북금적여수울단맥을 떨구고 동진한다
370봉-싸리재임도(330, 1.5/35.7)-등고선상470봉(1/36.7)에서 동북방향으로 한남금북금적삼승단맥을 떨구고 남진한다
△404.4봉-377봉-길마재임도(310, 2.7/39.4)-491봉-△472.9봉(2.2/41.6)-구비고개(310, 2.3/43.9)-國師봉(472, 0.7/44.6)-△347(3.4/48) 지나 옥천군 청성면 합금리 보은읍내를 휘돌아 나온 보청천이 금강을 만나 금강물이 되는 곳(90, 0.7/48.7)에서 끝이나는 산줄기이나
그 끝부분이 자연스럽지 않아 산줄기의 흐름에 따라 합수점으로 가지 않고 제일 긴 산줄기를 따라가 보면 합금리 하금마을 금강변(90, 2.5/50.5)까지 연장시킬 수 있다
바로 이 산줄기에 이름이 없어 그 산줄기 중 가장 높은 금적산의 이름을 빌어 한남금북정맥에서 분기하였으니 한남금북금적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우리산줄기로 알아보기 위해
산경표 73, 74혈을 보면
03)燕峙 報恩西南 分三歧-1, 2
(74혈)1-含林山 東來 報恩治在南十里
2-車衣峴 西來 報恩西
金積山 東南來 報恩南二十五里
德義山 靑山北五里
己城山 靑山治在東八里
여기서 한남금북금적지맥과 한남금북팔봉지맥을 한남금북정맥 약2km만 생략을 한다면 같은 곳에서 분기한다고 볼 수가 있다
산줄기종주 원칙중 두개의 산줄기를 연결해서 종주할 시에는 남쪽에서 북쪽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종주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어 금적지맥을 그 끝지점인 옥천군 청성면 합금리 하금마을에서 시작하여 한남금북정맥을 만나 정맥길을 진행하다 한남금북팔봉지맥으로 갈아타고 종주를 하고자 한다
02. 한남금북금적보은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미원 보은
금적지맥이 구룡산으로 분기하여 남하하던중 494봉어깨(430)에서 동쪽으로 보은읍내로 뻗은 산줄기 하나를 분기하여 575번지방도로 밤성골도로(330, 1.7)-△487.9봉-467봉-
까치독재임도(410, 3.3/5)-434봉-노치고개(390)-479봉-
△489.0봉(2.5/7.5)-상초계임도(250, 2/9.5)-△399.7봉-295봉 지나 보은읍 삼산리 금적산이 발원지인 거현천이 보청천을 만나는 곳(150, 7.5/17)에서 끝나는 약1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3. 한남금북금적용호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보은
한남금북금적지맥이 남하하면서 노성산 지나 송정도로로 떨어졌다가 오른 △503.8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444봉-509봉-303봉 지나
도래밤치도로(290, 2.7)로 내려선다
478봉-△464.7봉-499봉(3/5.7)-481봉-△517.5봉(2/7.7)-
양지골임도(210)-306봉-△389.3봉(3.4/11.1) 지나 옥천군 군북면 용호리 금강변(70, 2/13.1)에서 끝이나는 약13.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4. 한남금북금적여수울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보은
한남금북금적지맥이 금적산을 지나 듬치재에서 올라간 큰달음산(425)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여수울산(△361.7, 1)-학촌도로(170, 1.5/2.5)-
311봉-378봉-△365.9봉(4/6.5)-281봉-△225.3봉(3/9.5)-226봉 지나
옥천군 안남면 오대리 오류마을 금강변(90, 1.8/11.3)에서 끝이나는 약11.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5. 한남금북금적삼승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보은 관기
금적지맥이 남하하면서 금적산 큰음달산 지나 등고선상 470봉에서 동북으로 분기하여 지령도로-19번국도 귀골도로(190, 2.5)-冠帽봉(569, 1.8/4.3)-
등고선상 550봉(0.6/4.9)에서 동쪽으로 萬月嶺(490, 단맥)을 떨구고 북진한다
여치(190, 0.5/5.4)-三升산(△574.4, 1.5/6.9)-505봉-453봉-
비오치(270, 3.1/10)-418봉-울미산(△450.6, 2/12) 지나 보은군 마로면 기대리 보청천변(130, 1/13)에서 끝이나는 약1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6. 한남금북금적삼승만월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관기 보은
한남금북금적삼승단맥이 관모봉 지난 등고선상 550봉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435.3봉(2)-436봉-萬月嶺(490, 1.8/3.8)-장영임도(250, 2.5/6.3)-
△402.0봉-도로(210, 0.8/7.1)-358봉(2/9.1) 지나 옥천군 청성면 안임마을 보청천변(90, 1.9/11)에서 끝이나는 약1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2. 한남금북팔봉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미원 청주
한남금북정맥이 속리산 천황봉에서 분기하여 탁주봉 구봉산 지나 쌍암재 지나서 서쪽으로 오른 등고선상 530봉에서 정맥은 북쪽으로 흐르고 서남방향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청원군 가덕면과 보은군 회북면의 경계를 따라 △547.3봉-25번국도 피반령(370, 4.5)에서 올라간 등고선상 430봉(1/5.5)에서 남쪽으로 샘봉산(△461.7, 단맥)을 떨구고 서진한다
임도-장재동도로 능갓고개(130, 3.1/8.6)-청원.상주간고속도로-
509번지방도로 장고개(2.8/11.4)-烽火봉(210)-청원상주간고속도로 문의IC-
32번국지도 방고개(110, 1.5/12.9)로 떨어진다
덕은이임도(110)-무사골임도(4.5/17.4)-12번군도 로즈파크모텔-
청원.상주간고속도로-16번군도 모재고개도로(1.8/19.2)-공덕고개임도-
청원.상주간고속도로-17번국도 밤고개도로(116.4, 2.5/21.7)로 내려선다
龍德산(250)-경부고속도로-18번군도 덕고개(130, 3.2/24.9)-
八峰산(290, 1/25.9)-석실고개-18번군도 구암고개(1.6/27.5)-
594번지방도로(0.5/28) 지나 현암초교(1.4/29.4)-재넘어 집넘어 594번지방도로 큰뜸마을 도로(2.5/31.9)에 이른다
연궁교회-경부고속철도-궁현터널-恩積산(206.3, 1.4/33.3)-
507번지방도로 유두고개-망덕산(176.5, 1.8/35.1)-
507번지방도로 역골도로(70)-마봉산(173.7)어깨-6번군도(2.2/37.3)에 이른다
19번군도 샘재(1.2/38.5)-임도-임도-591번지방도로를 지나
경부선 기차길 수정굴(70, 2.2/40.7)에 이른다
덕고개임도-出東산(148, 1.3/42)에서 서쪽으로 뻗은 산줄기를 따라 露積산(△153.3)으로 가도 아니 될 일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 세를 가지고 있는 산줄기의 물가름을 하고 있지 않고 있어 조금은 망서려지기도 하지만 그리 산줄기의 흐름을 잡았다 해서 틀렸다고는 말 할 수 없다
또 하나의 산줄기로는 출동산 지나 96번국지도(0.5/42.5)-무명봉(1/43.5)-
임도(0.6/44.1)에서 남쪽으로 머리를 돌려 연기군 동면 합강리 합강마을
미호천이 금강을 만나는 곳(2.5/46.6)에서 끝나는 산줄기로 가는 것은 그래도 내 나름대로는 제일 타당성이 있어 그리 지맥산줄기를 잡는 것이 원안이나 나는 黃牛산(196, 0.7/44.8)-임도-용대이산(99.5)을 지나 연기군 동면 백천천이 금강을 만나는 곳(50, 1.8/46.6)에서 끝이나는 산줄기로 흐름을 틀어도 나무랄일은 아닌 것 같다
어디로가던지 간에 바로 이 46.6km의 산줄기에 이름이 없어 이름이 있는 산으로는 제일 높은 팔봉산의 이름을 빌어 한남금북정맥에서 분기하였으므로 한남금북팔봉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07. 한남금북팔봉샘봉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미원 보은
한남금북팔봉지맥이 분기하여 나가다 25번국도 피반령에서 올라간 등고선상 430봉에서 지맥은 서쪽으로 가고 남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499.6봉(3.5)-먹치임도(310, 1.5/5)-△378.0봉-왕재(370)-307봉-
염치재(190)-261봉-샘봉산(△461.7, 5.2/10.2)-265봉(3/13.2)-
216봉(2/15.2)를 지나 청원군 문의면 가호리 대청호(70, 2.5/17.7)에서 끝이나는 약17.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8. 한남금북팔봉샘봉구리단맥
한남금북팔봉샘봉단맥 회북터널 남측에서 사쪽으로 분기하여 시어치임도(3.3)-
324.5봉-구사리임도-509번지방도로(3/6.3)-509번지방도로(1.2/7.5)-구리봉-곰실봉을 지나 청남대 안으로 들어가 묘암천이 대청호를 만나는 곳에 있는 초가정(5.5/13)에서 끝나는 약1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9. 한남금북팔봉봉무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청주 대전
한남금북팔봉지맥이 모재고개 도로에 이르기 전 무명봉에서 서남쪽으로
분기하여 鳳舞산(△346.3)어깨(310, 2)-205봉-열고개도로(150, 3.5/5.5)-
210봉-두무실마을-△345.7봉(2/7.5)-신앙골고개190, 1.5/9)-166봉-
시랑골고개(150)-초막골고개도로(130, 3.2/12.2)-여우고개(110)-
노산리도로(110, 1.9/14.1)-△167.1봉-
17번국도 경부선보래굴(70, 1.6/15.7)-113봉 지나 청원군 현도면 양지리
행정마을 금강변(50, 1.1/16.8)에서 끝이나는 약16.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0. 한남금북팔봉망월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청주
팔봉지맥이 밤고개 용덕산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望月산(△266.3, 2.2)-
세광중학교도로-△163.6봉-모충동도로(110, 3.8/6) 지나 도심을 가로질러 △113.4봉(4.1/10.1)-77봉 지나 청주시 흥덕구 상신동 신대들
고속도로변(30, 4.5/14.6)에서 끝이나는 약14.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1. 한남금북팔봉유모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청주 대전
한남금북팔봉지맥이 팔봉산 정상 직전 덕고개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도로(110, 0.7)-큰말티고개-씨골고개-유모정고개-유모산(4.8/5.5)-
대국터고개-경부고속철도-구절골도로-복두산(281.1, 1.6/7.1)-
96번국지도(1.4/8.5)-老姑봉(△305.1, 1.1/9.6)-
경부선 부강터널 591번지방도로(90, 1.5/11.1)-장고개(2.3/13.4)를 지나 청원군 부용면 금호리 평뜸마을 금강변(0.6/14)에서 끝이나는 약1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2. 한남금북성무단맥
한남금북정맥 선도산 남측 0.5km 지점인 청원군 낭성면 가덕면 청주시 상당구의 삼면 지점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말구리재-335.4봉-미테재-관봉(407, 4)-
성황당고개-성무봉(431.4, 1.6/5.6)-왕암고개-시루봉(387, 1.2/6.8)-
25번국도 분터골고개(2.4/9.2)를 지나 청원군 가덕면 상대리 상대2구 강변도로 상대교 무심천변(3.4/12.6)에서 끝이나는 악12.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3. 한남금북상당단맥
한남금북정맥 상당산성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청원군 내수읍과 청주시 상당구의 경계를 따라 상당1터널-상리터널-245봉(2.2)에서 북동측으로 내수읍내로 들어가 36번국도-신화동 115봉(2.6/4.8)-25번군도 종축시험장(1.8/6.6)을 지나 도로를 따라 17번국도(2.2/8.8) 바이오엑스포장 충북교육문화회관-도로-
두루봉(75.9, 1.6/10.4)-충북선 철로 도로(1/11.4)를 지나 논두렁으로 진행해 무심천제방도로를 만나고 강가로 내려가 청주시 상당구 정상동 무심천이 미호천을 만나는 곳(1.5/12.9)에서 끝이나는 약12.9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4. 한남금북인경단맥
청원군 낭성면 삼산리 한남금북정맥 안둥뱅이마을 안부 동측 0.5km지점인 청원군 내수읍 미원면 낭성면의 삼면지점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미원면과 낭성면의 경계를 따라 2번군도(450, 1.1)-인경산(582)-2번군도 작은한티고개(3/4.1)-440봉-
]임도(390)-451봉(3.6/7.7)-32번국지도(270, 2.6/10.3)-임도를 지나
또 임도(1.5/11.8)에서 산줄기는 끝이나고 논이 물기름을 하며 청원군 미원면 성대리 오정내와 원천 합수점(0.8/12.6) 새마을교에서 끝나는 dir12.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5. 한남금북삼보단맥
한남금북정맥 구녀산 북동측 청원군 내수읍, 미원군, 증평읍의 삼면봉인 등고선상450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303봉-540번지방도로 초정고개(2.6)-202.2봉-
삼보산(273, 2.3/4.9)-임도-성재산(255, 2.1/7)-238.3봉-광암리 도로(1.5/8.5)-
105.1봉-충북선 철로 36번국도(1.6/10.1)-내추리 갱골 효자각-511번지방도로 삼거리(5.5/15.6)-도로-81봉을 지나 화죽들 논바닥 도로(2.2/17.8) 논두렁을 지나 28번군도를 지나 청주시 상당구 외하동 석화천이 미호천을 만나는 곳(3.2/21)에서 끝이나는 약2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6. 한남금북미동단맥
한남금북정맥 좌구산(△657.4)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4번군도 삼흥고개(250, 2.1)-
△422.9봉(2.1/4.2)-안족마을 도로(1.4/5.6)-△484봉-19번국도 열티고개(290, 3.5/9.1)-
△595.6봉(1.6/10.7)-임도-미동산(△557.6, 2.7/13.4)-임도-△332.5봉(3.6/17)을 지나 청원군 미원면 운암리 옥호마을 미원천이 달천을 만나는 곳(1/18)에서 끝이나는 약1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7. 한남금북설운단맥
한남금북정맥 좌구산 북측 약1.8km에 있는 등고선상590봉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안장암임도-임도(1.4)-426.3봉-19번국도 거리고개(6.3/7.7)-
설운산(588, 2.4/10.1)-37번국도 청천고개(2.4/12.5)-379.1봉-도로(1.4/13.9)를 지나 괴산군 청천면 도원리 달천변(2.6/16.5)에서 끝이나는 약16.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8. 한남금북도토성단맥
한남금북정맥 좌구산에서 질마재로 가면서 한남금북설운단맥 분기봉에서 북쪽으로 0.5km 정도 내림능선상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괴산군과 증평군의 경계를 따라 또 다른 질마재 임도(0.7)로 내렸다가 233.6지점-1번군도 고갯마루(3.7/4.4)-149.7봉-
592번지방도로(3.1/7.5)-도로-도로(1.2/8.7)-34번국도(2.4/11.1)-1번군도-도토성산(114.0)을 지나 농로로 내려서(1.4/12.5) 충북선 철로를 지나 낮은 둔덕을 진행해 증평군 도암면 도당리 청안천이 보강천을 만나는 곳(0.6/13.1)에서 끝이나는 약13.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9. 한남금북대산단맥
한남금북정맥 칠보산 북측 1.3km 지점에 있는 586.5봉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임도-515번지방도로 장척고개(310, 3.2)-19,37번국도 굴티고개(310, 3.6/6.8)-
435.8봉-515번지방도로 가골고개(310, 2.6/9.4)-410.6봉-좌솔 임도-
대산(646.5, 4/13.4)-임도 무릉옹달샘-무릉리 내산막임도(2.1/15.5)-외산막임도-
32번국지도(190, 3.2/18.7)를 지나 괴산군 청천면 금평리 점촌마을 압항천변(150, 0.4/19.1)에서 끝이나는 약19.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0. 한남금북대산치재단맥
한남금북대산단맥이 한남금북정맥 칠보산 북측 1.3km 지점에 있는 586.5봉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흐르면서 19,37번국도 굴티고개에서 약1.8km 지난 등고선상350봉에서 대산단맥은 남쪽으로 흐르고 한줄기를 북쪽으로 분기하여 432.7봉(2.9)-
49번국지도 치재터널 위(270, 2.9/5.8)-작은고개(5.1/10.9)-437.3봉(3/13.9)를 지나 괴산군 칠성면 사은리 최남단 달천변(130, 2.2/16.1)에서 끝이나는 약16.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1. 한남금북배실단맥
한남금북정맥 보광산에서 북동측으로 분기하여 괴산군 소수면과 사리면의 rudr계를 따라 배실고개 임도(370, 3)-515번지방도로 화산고개(2.5/5.5)-중모실 도로-
34번국도(4/9.5)-괴산읍 도로(2.3/11.8)를 지나 괴산읍 동부리 성황천이 동진천을 만나는 곳(1/12.8)에서 끝이나는 산줄기를 말한다
22. 한남금북두타단맥
백두대간 속리산 천황봉에서 한남금북정맥이 분기하여 안성 칠장산으로 가면서 지나가는 보광산에서 고리터고개를 지나 내동고개 0.5km전에 서쪽으로 분기하여 음성군과 괴산군의 경계를 따라 379.2봉-
백마산(464.0)-1번군도(3.8)에서 273.3봉으로 올라 경계선을 떠나
서북방향으로 구36번국도-충북선 백마굴을 지나 신36번국도 백마령터널 위를 지나 종지봉(404, 2.5/6.3)-409.5봉(1.5/7.8)-340.8봉(3/10.8)-서낭당베르제고개(0.6/11.4)로 내려선다
두타산(598.3)전위봉(1.5/12.9)-520.5봉(4.4/17.3)-
34번국도 지개태고개(1.8/19.1)-진평증평간 고속도로 초평2터널위를 지나 임도-매봉재(220.8, 2.8/21.9)-5번군도(1.1/23)-태봉산(140.5)-510번지방도로를 지나 증편군 초평면 진암리 여암교 남측 보강천이 미호천을 만나 미호천 물이 되는 곳(2/25)에서 끝이나는 약2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3. 한남금북갑산단맥
보천고개 북측 378.5봉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상노고개-오대산(397)-37번국도 구안리고개(230, 2.2)-국사산(416)어깨-갑산(472.1, 4/6.2)-갑산고개 임도-용고개-
510번지방도 각골고개(4.2/10.4)-부챙이재-안심고개-정지고개 도로(4.6/15)-
갑골재-8번군도 다른고개(3.2/18.2)를 지나 괴산군 불정리 장화마을 인근 신항천이 달천을 만나는 곳(4.1/22.3)에서 끝이나는 약22.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3. 한남금북부용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음성 장호원
충북 음성읍 소여리 한남금북정맥 보현산 전위봉(470m)에서 동진하는 산줄기를 하나 분기하여 37번국도 기름고개(210, 1km)-사정고개(290m, 2.5km/3.5km)-490봉(1/4.5)에서 한남금북부용가섭분맥을 분기하고
부용산(△644.3, 2.5/7)-못고개(190, 2/9)-안골고개(249, 2/11)-
수레의산(△679.4, 2/13)-자주봉단맥 분기점(610, 1/14)-
솔고개(270, 2.5/16.5)-행덕산(△447.7, 1.5/18)-원통산(610, 2.2/20.2)-
질마재-보련단맥 분기봉(570, 1/21.2)-지당리고개(190, 3.5/24.7)-
38번국도 이문고개(150, 1.5/26.2)로 내려선다
오갑산(609.4△, 5/31.2)-해남고개(230, 3.6/34.8)-마골산(250, 1.6/36.4)-
닭이머리고개(150, 1.3/37.7)-중간말고개(150, 3/40.7)-
봉우재(210, 2.2/42.4)-점동면 청미천이 남한강과 만나는 곳(50, 2.5/45.4)에서 남한강물이 되는 도상거리 약45.4km 정도의 산줄기를 말한다
01. 한남금북부용가섭분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음성 충주
한남금북정맥 보현산에서 분기한 부용지맥이 흐르다 부용산 가기전
무명 490봉에서 다시 북동쪽으로 한줄기를 더 분기하여 숯고개(250, 1km)-
迦葉산(△709.9m, 4km/5km)-미타사도로(190, 3.6/8.6)-
36번국도(110, 2.5/11.1)-도로(130, 3/14.1)-御來산(393.2, 2.2/16.3)-
도로(250, 2/18.3)-쇠실고개(250, 1.5/19.8)-485.5봉(△4/23.8)-
산지촌도로(230, 1/24.8)-顧養봉(△525.7, 1.5/26.3)-
대간치(310, 2.5/28.8)-風流산(330, 3/31.8)에서 내려가 달천과 만나는
괴산군 불정면 하문리 하소마을(70, 2/33.8)에서 끝이나는 도상거리 약33.8km 정도의 산줄기를 말한다
우리산줄기로 살펴보기 위해
산경표 74혈을 살펴보면
漢南錦北正脈
.
麻谷山
普賢山 陰城西十九里 分二歧→①
小俗離山 忠州西九十里
.
.
보현산은 음성 서쪽 19리에 있는 산으로 두줄기로 분기를 하는데
한줄기는 그 아래 소속리산으로 한남금북정맥을 이어가고 다른 한줄기가 아래 ①번과 같이 흐른다
보현산은 지금도 여전히 한남금북정맥상 보현산이다
소속리산은 충주 서쪽 90리에 있는 산이다
지금도 여전히 한남금북정맥상 소속리산이다
①→叱音山 東北來
炭峴 分二歧
迦葉山 陰城治在南八里
질음산이 어딘지는 모르겠고(추측을 해보면 부용산과 숫고개로 갈라지는 무명봉으로 추정을 할 수는 있다) 탄현은 지금의 숫고개로 그곳에 탄현이라는 비석이 지금도 서있다 고로 지금의 탄현이라고 할 수가 있는 것이다
가섭산은 남쪽으로 팔리에 있는 음성에서 다스리는 산이란 뜻으로 지금도 같은 가섭산이다
24. 한남금북부용자주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장호원 엄정 충주
한남금북정맥 보현산에서 분기한 부용지맥이 흐르다 수레의산 지나 음성군 생극면 충주시 노은면 신니면의 삼면봉인 등고선상630봉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노은면과 신니면의 경계를 따라 500봉-
웃고개(310, 2.5km)-9번군도 능안고개(270, 1/3.5)-음성~충주간 고속도로-
82번국지도 덕고개(190m, 3.5km/7km)로 내려선다
자주봉산(△483.6, 3.5/10.5)-525번지방도로 솔고개(190, 1.3/11.8)-
햇골산(321)-386.6봉-질마루재(270, 4.1/15.9)-평풍산(△395.6, 1/16.9)-
265.3봉(3.7/20.6)-599번 지방도로(1.5/22.1)-중부내륙고속도로 가금터널위-일곱실고개-△297.4봉(2.7/24.8)-삼봉(276.6, 2.2/27)을 지나 충주시 가금면 창동리 달천이 남한강을 만나는 탄금교(90, 2/29)에서 끝이 나는 도상거리 약29km 정도의 산줄기를 말한다
25. 한남금북부용자주장미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엄정
한남금북부용지맥에서 한남금북부용자주단맥이 분기하여 흐르다 평풍산에서 한줄기를 서북방향으로 분기하여 중부내륙고속도로-82번국지도 노은고개(1.4)-
乙宮산(△394.3, 1.6/3)-쇠골고개-절골산(341)-16번군도(2.2/5.2)-
장미산성(△336.9, 1.6/6.8)-△108.3봉(3.1/9.9)을 지나 신38번국도-구38번국도를 지나 충주시 가금면 가흥리 봉황대교를 지나 한천이 남한강을 만나는 곳(1.4/11.3)에서 끝나는 약11.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6. 한남금북부용보련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장호원 엄정
한남금북부용지맥이 흐르다 원통산에서 내려선 질마재에서 올라친 음성군 감곡면 충주시 앙성면 노은면의 삼면봉인 등고선상570봉에서 지맥은 북쪽 이문고개로 가고 한줄기를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충주시 앙성면과 노은면의 경계를 따라 초지일관 대체적으로 동진하여
승대산(550, 2.1km)-둔터고개(310m, 1km/3.1km)-
국망산(△770.3, 1.3/4.4)-하남현(310, 2/6.4)-보련산(△764.9, 2.2/8.6)-
쇠바위봉(610, 1.2/9.8)-동막고개(250, 1.5/11.3)-국사봉(460, 0.5/11.8)-
무쇠봉(△371.4, 1.5/13.3)을 지나 한포천이 남한강과 만나는 충주시 가금면 봉황대교(50, 2.5/15.8)에서 남한강물이 되는 도상거리 약15.8km 정도의 산줄기를 말한다
27. 한남금북부용치마단맥
한남금북부용지맥 오갑산 동남측 약2km 이문고개에서 올라간 등고선상590봉에서 삼당고개 도로(350, 2)-49번국지도 갈터고개(1.6/3.6)-영산목장405.4봉-
13번군도 영죽현(270, 2.4/6)-치마산(440.5, 1.7/7.7)-홀통고개-
비내고개 임도(150, 1.5/9.2)-서낭고개 임도-새바지산(269)-송이산-
15번군도 조대고개 도로(2.7/11.9)-공수고개-양지말산(232.1, 1.4/13.3)-봉황산 할미바위를 지나 도로로 떨어져 한포천이 남한강으로 합수되는 곳(1.1/14.4)에서 끝이나는 약14.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8. 한남금북함박단맥
한남금북정맥 소속리산 남측 약0.5km 지점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음성군 맹동면과 음성읍의 경계를 따라 꽃동네 내부도로인 한테재 도로(1.2)를 지나 0.8km정도를 남쪽으로 진행하다 그 경계선은 오른쪽 동쪽방면으로 한남금북함박암솔단맥을 분기하여 흐르고 한남금북함박단맥은 경계를 떠나 맹동면내로 들어가 맹동면을 동서로 나누며 신장고개 임도(1.4/2.6)-함박산(339.8, 1/3.6)-입석재-진천 음성 혁신도시 서낭당고개-515번지방도로 술터고개(2.4/6)-말장이고개-193.3봉-
갈티고개(3/9)-해넘이고개-267봉(1.8/10.8)-임도-242.3봉-
34번국도 부창고개(3.4/14.2)-먹뱅이산(210.8)-임도(1.1/15.3)-중부고속도로 지방도 만나는 지점(3.3/18.6)을 지나 진천군 초평면 화산리 초평천이 미호천을 만나는 곳(0.5/19.1)에서 끝이나는 약19.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9. 한남금북함박암솔단맥
한남금북함박단맥이 소속리산 남측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꽃동네인 한테재에서 남쪽으로 약0.8km 정도 진행을 하다 한남금북함박단맥은 계속 남진을 하고 한줄기를 동쪽으로 분기하여 음성읍과 맹동면의 경계를 따라 구진테임도(2.2)-
암솔(322.3, 2/4.2)-515, 516번지방도로 도마치(1.1/5.3)-327.5봉(4.1/9.4)을 지나 516번지방도로(2.1/11.5)를 지나 진천군 초평면 신통리 초평천변(0.2/11.7)에서 끝이나는 약11.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30. 한남금북팔성단맥
한남금북정맥 굴암산 서북측 1.5km 지점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우등산(262.4, 0.8)-마날봉(227)-161.3봉-10번군도 파일도로(3/3.8)-306번지방도로 관말도로(1.1/4.9)-팔성산(378, 1.2/6.1)-노단터고개 도로(3/9.1)-임오산(341)-
진둥고개(3.3/12.4)-333번지방도로 7번군도 삼거리(1.6/14)를 지나 논두렁을 티고 이천시 율면 고당리 한천이 청미천을 만나는 곳(0.5/14.5)에서 끝이나는 약14.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31. 한남금북뒷골단맥
한남금북정맥 망이산 0.4km 전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뒷골산(320)-임도-
2번군도(130, 3)-작은터산(143)-봉천사-삼성면사무소 583번지방도로(2.2/5.2)-
도로-연미실마을-113.9봉(4.4/9.6)-82번국지도-대소면사무소-515번지방도로를 지나 대소면 오산리 삼호들이 시작되는 곳(1.7/11.3)에서 논밭을 지나 성산천이 미호천을 만나는 곳(1.2/12.5)에서 끝이나는
약12.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32. 한남금북백운단맥
한남금북정맥 황색골산 서남측 약1.7km 지점에서 한남금북정맥은 서쪽으로 가고 동남방향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시종일관 대체적으로 남쪽으로 방향을 잡고 음성군 삼성면과 안성시 죽산면의 도계를 따라 썬벨리골프장 동이아울산(255.2)-앞산-백운산(346.4, 2.8)-임도-용머리산(189.4)-구실고개-
매화산(226, 1.7/4.5)에서 도경계선을 떠나 진천군 광혜원면과 음성군 삼성면의 경계를 따라 대체적으로 남진하여 버들말 마을길로 내려선다
133.7봉-2번군도-82번국지도(3.4/7.9)-대소공단-중부고속도로-
도로(3.4/11.3)-대소면 삼호리 연호동마을-중부고속도로 삼호육교(1/12.3)- 논밭 수로 평택~음성간고속도로를 지나 질마고개(1.6/13.9)를 지나 진천군 이월면 사당리 바람붙이 칠장천이 미호천을 만나는 곳(1/14.9)에서 끝이나는 약14.9km의 산줄기를 말한다
한남금북산줄기이야기 完
[신경수님 글]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