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행정구역은 전국을 성(省)·현(縣)·진(鎭)의 세 등급으로 나누고 있다. 그 중에서 성급(省級)에 해당하는 행정구역은 성(省)·자치구(自治區)·직할시(直轄市)·특별행정구이다.
현재 중국에는 대만성을 포함한 23개의 성과 5개의 자치구, 4개의 직할시, 2개의 특별행정구가 있다.
중국의 최상위 행정구역은 직할시(直轄市), 성(省), 자치구(自治區), 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이며, 이 밑에 지방 행정단위로 향(鄕)과 진(鎭)이 있다. 향진(鄕 鎭)은 다음과 같은 지방 행정구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직할시(直轄市) 밑에는 구(區)와 현(縣)이 있고, 구(區) 아래에 진(鎭)이 있고, 현(縣) 아래에 향(鄕)이 있다.
성(省) 밑에는 지급시(地級市)가 있고, 지급시(地級市) 아래에 구(區), 민족구(民族區), 현급시(縣級市), 현(縣)이 있으며, 구(區)와 현급시(縣級市) 아래에 진(鎭)이 있고, 현(縣) 아래에 향(鄕)과 민족향(民族鄕)이 있다.
자치구(自治區)는 성(省)과 동일하나 네이멍구자치구에는 맹(盟)과 기(旗)라는 행정단위가 있는데 이것은 현(縣)과 동급의 행정단위이다. 신장자치구와 시짱자치구는 지급시(地級市) 외에 지급시와 동급인 지구(地區)도 있다.
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는 구(區)로 이루어져 있다.
※ 성과 현 사이에는 몇 개의 전구(專區)로 구분되어 있는 것도 있다. 예를 들면, 하북성에는 석가장전구(石家庄專區)·보정전구(保定專區)·승덕전구(承德專區)·장가전구(張家專區) 등 8개의 전구(專區)가 있다. 그러나 이것은 하나의 행정단위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지 성에서 현을 관리하는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 성(省)아래에는 행정단위구(行政單位區)와 자치주(自治州)라는 행정구역도 있는데 이것은 지급시(地級市)와 동급에 해당한다.
※ 소수민족지구(少數民族地區)의 행정단위로는 자치구(自治區), 자치주(自治州), 자치현(自治縣)이 있으며, 내몽고자치구의 경우에는 지구(地區)와 현급(縣級)으 행정단위로 맹(盟)과 기(旗)가 있다.
2. 중국의 인구와 민족구성
(1) 중국의 인구
2006년 말 현재 중국의 총인구는 13억 1,448만 명이며, 행정구역상으로는 뚱베이지방이 1억 817만 명이며, 화베이지방이 1억 5,326만 명, 화둥지방이 2억 9,764만 명, 화중지방이 2억 5,766만 명, 화난지방이 2억 5,198만 명, 씨부지방이 2억 5,284만 명이다.
그 중 도시인구는 5억 7,706만명(43.9%), 농촌인구는 7억 3,742만명(56.1%)이며, 이 중 남성인구는 6억 7,728만 명이고, 여성인구는 6억 3,720만 명으로, 여성 100명당 남성의 인구는 106.29명으로 남성의 인구비율이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연간 출생인구는 1,584만명으로 출생률이 12.09%이며, 연간 사망인구는 892만명으로 사망률은 6.81%, 인구의 자연증가율은 5.28%이다.
또한 출생인구의 성별비율을 보면 여자 100명당 남자의 비율은 119.25로써 극심한 남초현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것은 중국인의 전통적인 남아선호 사상과 함께 중국정부의 1가구 1자녀 갖기 정책에 따른 성비의 불균형으로 나타난 현상으로 보인다. (2002년에 실시한 전국인구 표본조사에 의하면, 중국의 성비는 여아100명당 남아 비율이 123.6명으로 사상 최고의 불균형을 기록한 바 있다.)
연령별로는 0-14세가 2억 5961만명으로 전체인구의 19.8%를 차지하고 있으며, 15-59세 사이의 경제활동인구는 9억 0586만명으로 전체인구의 68.9%를 차지하고 있고, 60세 이상 인구는 1억 4901만명으로 전체의 11.3%를 차지하고 있다. 65세 이상의 노령인구는 1억 0419만명으로 전체의 7.9%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의 인구문제는 장기적으로 보아 낮은 출산율에 따른 노동력 부족현상이 대두될 것이며, 1가정 1자녀 가족계획 정책의 강행으로 극심한 성비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2020년에는 배우자를 찾지 못하는 독신 남성의 숫자가 3천만 내지 4천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인구의 노령화 문제도 심각하여, 서구 선진국의 경우에는 소득수준이 1만 달러 수준에서 시작되었으나, 중국은 국민 1인당 소득수준이 불과 800달러 수준에서 이미 시작되어, 노령인구에 대한 사회보장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
인력자원의 개발과 관련하여, 15세 이상 인구 중 약 1억 8,000만 명이 문맹이며, 초등교육의 보급률이 68% 정도에 불과하여 매년 약 500만 명의 학력아동이 학교 진학을 못하고 있다.
<표 6- > 중국의 2006년 말 현재(일부는 2006년 중) 행정권역별 인구 (단위: 만명)
자료: http://china.org.cn
(2) 중국의 민족구성
중국의 민족구성을 보면, 총 56개 민족이 있으며, 한족이 전체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5년 현재 중국정부의 조사에 의하면, 소위 55개 소수민족의 인구는 총인구의 9.44%인 1억 2333만명으로, 이 중 인구가 100만명이 넘는 소수민족은 18개이며, 가장 인구가 많은 소수민족은 좡족(壯族)으로 1,617만 8,800명이며, 인구가 가장 적은 소수민족은 뤄바족(珞巴族)으로 인구가 겨우 3,000명에 불과하다.
장(티베트)족의 경우, 시장자치구의 인구는 281만 명이지만, 주변의 칭하성 등에 거주하고 있는 인구수까지 합하면 541만 6,000명에 이르고 있다.
조선족의 인구는 192만 1,500명으로 주로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에 거주하고 있다.
<표 6- > 중국의 민족구성, 인구수 및 주 거주지역
자료: www.china.org.c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