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두대간(白頭大幹) 이란 무엇인가? - 1
한반도의 뼈대를 이루는 산줄기
01. 백두산에서 남으로 맥을 뻗어 낭림산·금강산·설악산·오대산을 거쳐 태백산에 이른 뒤 다시 남서쪽으로 소백산·월악산·속리산·덕유산을 거쳐 지리산에 이르는 한국 산의 큰 줄기를 망라한 산맥이다. 즉 한반도 산계의 중심이며, 국토를 상징하는 산줄기로서 함경도·평안도·강원도·경상도·충청도·전라도에 걸쳐 있다.
02. 산경표 山經表〉에 보면 한국의 산맥은 1개 대간(大幹), 1개 정간(正幹), 13개 정맥(正脈)의 체계로 되어 있고, 이러한 산경개념은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 잘 표현되어 있다. 선의 굵기 차이로 산맥의 규모를 표시했는데 제일 굵은 것은 대간, 2번째는 정맥, 3번째는 지맥, 기타는 골짜기를 이루는 작은 산줄기 등으로 나타냈다.
03. 정맥과 정간의 차이는 산줄기를 따라 큰 강이 동반이 되느냐에 따라 강이 있으면 정맥, 없으면 정간이 되는데, 유일한 정간은 바로 오늘날의 함경산맥에 해당하는 장백정간(長白正幹)이다. 산맥을 대간·정간·정맥의 체계로 이해하는 전통적 산맥분류법은 오늘날의 그것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04. 백두대간을 오늘날의 개념으로 말한다면 마천령·낭림·부전령·태백·소백 산맥을 모두 합친 산맥이 된다. 근대적 산맥명은 일제강점기 때 일본 지질학자 고토[小藤文次郞]가 14개월 동안 한반도를 둘러보고 난 후 'An Orographic Sketch of Korea'란 글에 한반도의 산맥을 발표한 데서 기원한 것이다.
05. 그러나 이것은 인간의 삶과는 무관한 지질학적 관점에서 도출된 산맥이며, 해발고도라든가 교통·물자교류 등 사람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산줄기의 존재에 대한 관점은 결여되어 있다. 산이 높고 봉우리가 조밀한 줄기가 산맥으로 인정되지 않고 오히려 산맥으로서 잘 드러나지 않는 낮은 구릉이 지질구조 때문에 산맥으로 인정되는 경우도 있다.
06. 산맥의 연결성을 살피는 데는 전통적 산맥체계가 더 나은 것이 사실이다. 우리 고유의 산에 대한 관념과 신앙의 중심에 자리하며, 두만강·압록강·한강·낙동강 등을 포함한 한반도의 많은 수계의 발원처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백두대간은 한반도의 자연적 상징이 되는 동시에 한민족의 인문적 기반이 되는 산줄기이기도 하다.
07. 산을 생명이 있는 나무에 비유하여 큰 줄기와 작은 가지를 나누어 국토 전체를 유기적으로 조망하는 시각은 풍수적 관점에서 기인한 것이다. 풍수적 관점에서 한국 지기(地氣)의 발원처는 백두산이며, 백두대간을 타고 내린 기(氣)가 정맥을 타고 다시 나누어지고 각 정맥들에 맥을 댄 지맥들에 의해 바로 우리들의 삶이 어우러지는 마을과 도시로 지기가 전달된다. 그래서 전국토는 백두산의 정기를 받아 숨쉬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것은 풍수의 기본이기도 하다.
08. 통일신라 때 선승(禪僧)이며, 한반도 풍수지리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 도선국사(道詵國師)도 "우리나라는 백두산에서 일어나 지리산에서 마치니 그 세는 수(水)를 근본으로 하고 목(木)을 줄기로 하는 땅이다"라고 하여 일찍이 백두대간을 국토의 뼈대로 파악하고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지질학적이고 비인간적인 그리고 외세에 의해 붙혀진 산맥 이름보다 백두대간적인 산맥 인식의 중요성은 그것이 국토의 고유성과 유구한 생명력, 사람과 자연의 일체화를 지향하는 유기체적 산맥관으로서, 우리의 지리관·산맥관에 뿌리를 댄 한국적 산맥론의 표상이다.
참고문헌 : 백두대간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 김정호, 1861
대동지지(大東地志) : 김정호, 1864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홍문관 편, 1908
▶ 백두대간의 주요 고개 및 도로
고 개 명 | 행 정 소 재 | 도 로 현 황 |
진 부 령 | 고성군 간성읍 - 인제군 북면 | 2차선포장, 46번국도, 간성읍 홀리출장소있음 |
미 시 령 | 고성군 토성면 - 인제군 북면 | 2차선포장, 466번지방도, 휴게소 |
※ 한 계 령 | 인제군 북면 - 양양군 서면 | 2차선포장, 44번국도, 휴게소, 설악산국립공원 |
※ 451번도로 | 인제군 인제읍 - 양양군 서면 | 2차선포장, 451번지방도, 설악산국립공원 |
조 침 령 | 인제군 기린면 - 양양군 서면 | 비포장도로, 노폭 7m |
구 룡 령 | 양양군 서면 - 홍천군 내면 | 2차선포장, 56번국도, 산림문화회관 |
※ 진 고 개 | 강릉시 연곡면 - 평창군 도암면 | 2차선포장, 6번국도, 휴게소, 오대산국립공원 |
대 관 령 | 강릉시 성산면 - 평창군 도암면 | 4번영동고속도로, 휴게소, 기상관측소 |
닭 목 재 | 강릉시 왕산면 대기리 - 왕산리 | 2차선포장, 137번지방도, 농업용창고 있음 |
삽 당 령 | 강릉시 왕산면 송현리 - 강릉시 | 2차선포장, 35번국도, 고개양쪽으로 임도가 나있음 |
백 복 령 | 정성군 임계면 - 동해시 | 2차선포장, 42번국도, 철탑, 통신중계탑 |
댓 재 | 삼척시 미로면 - 하장면 | 2차선포장, 424지방도, 소공원, 간이매점 |
한 의 령 | 삼척시 도계읍 - 하장면 | 비포장도로 노폭 10m, 산신각 |
피 재 | 태백시 적각동 - 황지동 | 2차선포장, 35번국도, 소공원, 간이매점 |
싸 리 재 | 태백시 화전동 - 정선군 고한읍 | 2차선포장, 38번국도, 간이휴게소 |
화 방 재 | 영월군 상동읍 - 태백시 혈동 | 2차선포장, 31번국도, 휴게소 |
금 정 임 도 | 봉화군 춘양면, 고도 970m | 비포장도로, 임업도로, 노폭 10m |
우구치 임도 | 봉화군 춘양면, 고도 900m | 비포장도로, 임업도로, 노폭 7m |
도래기재 | 봉화군 춘양면 | 봉화방면 2차선포장, 영월방면 비포장, 998번지방도 |
박 달 령 | 봉화군 물야면 - 춘양면 | 비포장도로, 노폭 8m, 헬기장, 산신각 |
※ 마 구 령 | 영주시 부석면 | 비포장도로, 노폭 7m, 소백산국립공원 |
※ 고 치 령 | 영주시 단산면 | 비포장도로, 헬기장, 산신각, 소백산국립공원 |
※ 죽 령 | 영주시 풍기읍 - 단양군 대강면 | 2차선포장도로, 5번국도, 소백산국립공원, 휴게소 |
저 수 재 | 단양군 대강면 - 영주시 상리면 | 2차선포장도로, 973번지방도, 휴게소, 주유소 |
벌 재 재 | 문경시 동로면 | 2차선포장도로, 975지방도, 월악산국립공원 |
※ 하 늘 재 | 문경시 문경읍 - 충주시 상모면 | 비포장도로, 597번지방도, 노폭10m, 월악산국립공원 |
조 령 | 문경시 문경읍 - 괴산군 연풍면 | 2차선포장도로, 문경새재 도립공원, 차량통행불가 |
이 화 령 | 문경시 문경읍 - 괴산군 연풍면 | 2차선포장도로, 3번국도, 휴게소, 지하터널공사 |
※ 불란치재 | 문경시 가은읍 | 2차선포장도로, 913번지방도, 속리산 국립공원 |
고 개 명 | 행 정 소 재 | 도 로 현 황 |
눌 재 | 상주시 화북면 | 2차선포장도로, 992번지방도, 농업용 대형창고 |
※ 밤 티 재 | 상주시 화북면 | 2차선포장도로, 기타도로, 속리산국립공원 |
비 재 | 상주시 화남면 | 비포장도로, 노폭 7m |
화 령 재 | 상주시 화서면 | 2차선포장도로, 25번국도, 공원 및 정자있음 |
신의터고개 | 상주시 화동면 | 2차선포장도로, 군도, 소공원 |
지 기 재 | 상주시 모동면 | 2차선포장도로, 군도 |
백학산임도 | 상주시 모동면 | 비포장도로, 임업도로, 노폭 10m |
윗왕실임도 | 상주시 공성면 - 외남면 | 비포장도로, 노폭 10m |
봉산리도로 | 상주시 공성면 봉산리 | 농업도로, 콘크리트포장, 노폭 10m |
큰 재 | 상주시 공성면 | 김천방면포장, 920번지방도, 인성초등분교(폐교) |
작점리도로 | 영동군 추풍령면 - 김천시 어순면 | 2차선포장도로, 지방도 |
추 풍 령 | 영동군 - 김천시 | 경부고속도로, 경부선철도, 4번국도, 면소재지 |
궤 방 령 | 영동군 매곡면 - 김천시 봉산면 | 2차선포장, 977지방도 |
질 매 재 | 영동군 상촌면 - 김천시 부항면 | 김천방면 2차선포장, 579지방도, 매일유업 목장 |
덕 산 재 | 무주군 무풍면 - 김천시 대덕면 | 2차선포장도로, 30번국도, 주유소, 휴게소 |
소 사 재 | 무주군 무풍면 - 거창군 고제면 | 무주방면 2차선포장도로, 1089지방도, 간이매점 |
신 풍 령 | 무주군 무풍면 - 거창군 고제면 | 2차선포장도로, 727지방도, 휴게소 |
육 십 령 | 장수군 장계면 - 함양군 서상면 | 2차선포장도로, 26번국도, 휴게소, 주차장 |
중고개재 | 장수군 번암면 - 함양군 백전면 | 비포장도로, 노폭 6m |
봉화산임도 | 장수군 번암면 - 아영면 | 임업도로, 노폭 7m |
복성이뒷재 | 남원시 아영면 - 장수군 번암면 | 장수번암면 지방도, 남원 2차포장도, 장수 포장공사중 |
사 치 재 | 남원시 아영면 - 장수군 번암면 | 88고속도로, 휴게소 |
유 치 | 장수군 번암면 - 남원시 운봉면 | 2차선포장도로, 기타도로, 마을있음 |
여 원 재 | 남원시 이백면 - 운봉면 | 2차선포장도로, 24번국도, 마을있음 |
고기리도로 | 남원시 주천면 - 운봉면 | 2차선포장도로, 730번지방도, 휴게소 |
※ 정 령 치 | 남원시 주천면 - 산내면 | 2차선포장도로, 기타도로, 지리산 국립공원 |
※ 성 삼 재 | 구례군 산동면 | 2차선포장도로, 861지방도, 휴게소 |
※ 벽 소 령 | 함양군 마천면 - 하동군 화개면 | 비포장도로, 군사도로, 마천방면 소형트럭 이동 가능, 지리산국립공원 |
▶ 백두대간의 행정구역(진부령∼지리산)
도 | 시, 군 | 읍, 면 |
6개도 | 32개시·군(12개시·20개군) | 99개읍면동 |
강원도 | 고성군 | 간성읍, 토성면 |
속초시 | 설악동 | |
인제군 | 서화면. 북면. 인제읍. 기린면 | |
양양군 | 서면 | |
홍천군 | 내면 | |
평창군 | 진부면. 도암면 | |
강릉시 | 연곡면. 사천면. 성산면. 옥계면. 왕산면 | |
정선군 | 임계면 | |
동해시 | 삼화동 | |
삼척시 | 미로면. 신기면. 도계읍. 하장면 | |
태백시 | 혈동. 소도동. 황지동. 화전동. 적각동. 창죽동 | |
경 북 | 봉화군 | 소천면. 신기면. 석포면. 물야면. 춘양면 |
강원도 | 영월군 | 고한읍. 상동읍. 하동면 |
경 북 | 영주시 | 부석면. 단산면. 순흥면. 풍기읍. 봉현면 |
충 북 | 단양군 | 영춘면. 가곡면. 단양읍. 대강면 |
경 북 | 예천군 | 상리면 |
충 북 | 제천시 | 한수면. 덕산면 |
경 북 | 문경시 | 동로면. 문경읍. 마성면. 가은읍. 농암면 |
충 북 | 충주시 | 상모면 |
충 북 | 괴산군 | 연풍면. 칠성면. 청천면 |
보은군 | 내속리면 | |
경 북 | 상주시 | 내서면. 외남면. 화북·서·동·남면. 모서면. 모동면. 공성면 |
김천시 | 봉산면. 대항면. 구성면. 부항면. 대덕면. 어모면 | |
충 북 | 영동군 | 매곡면. 추풍령면. 상촌면 |
전 북 | 무주군 | 설천면. 무풍면. 안성면 |
경 남 | 거창군 | 고제면. 북상면 |
전 북 | 장수군 | 계북면. 장계면. 번암면 |
남원시 | 아영면. 운봉읍. 이백면. 산동면. 주천면. 산내면 | |
경 남 | 함양군 | 서상면. 백전면. 마천면 |
전 남 | 구례군 | 산동면. 광의면. 토지면. 마산면 |
경 남 | 산청군 | 시천면 |
하동군 | 화개면 |
※ 행정구역 순서는 백두대간 마루금(진부령→지리산) 기준임.
▶ 백두대간상의 국립공원 현황
o 총 괄
구 분 | 개 소 | 총면적 | 산림편입면적 | |||
계 | 국 유 | 공 유 | 사 유 | |||
합 계 | 67 | 744 | 438 | 180 | 49 | 209 |
국립공원 도립공원 군립공원 | 20 20 27 | 647 73 24 | 351 66 21 | 171 7 2 | 40 4 5 | 140 55 14 |
※ 국립공원 647천ha : 육지 329천ha(51%), 해상 318천ha(49%)
※ 육상국립공원 95%가 산림
▶ 백두대간상의 국립공원
공 원 명 | 지정일자 | 지정면적 | 산림면적 | % | 국유림 | % |
계 7개 | 221,939 | 210,055 | 94.6 | 113,325 | 54.0 | |
(05) 설악산 | '70. 3. 24 | 37,300 | 35,520 | 95.2 | 29,276 | 82.4 |
(11) 오대산 | '75. 2. 1 | 29,850 | 26,506 | 88.8 | 16,274 | 61.4 |
(18)소백산 | '87.12. 14 | 32,050 | 30,049 | 93.8 | 23,066 | 76.8 |
(17)월악산 | '84. 12. 31 | 28,450 | 26,237 | 92.2 | 5,844 | 22.3 |
(06) 속리산 | '70. 3. 24 | 28,340 | 26,871 | 94.8 | 5,119 | 19.1 |
(10) 덕유산 | '75. 2. 1 | 21,900 | 20,870 | 95.3 | 10,786 | 51.7 |
(01) 지리산 | '67. 12. 29 | 44,049 | 44,002 | 99.9 | 22,960 | 52.2 |
계 2개(도립공원) | 2,274 | 2,202 | 96.8 | 1,386 | 62.9 | |
(20)태백산 | 1,744 | 1,681 | 96.4 | 1,394 | 82.9 | |
(16)문경새재 | 530 | 521 | 98.3 | 2 | 0.4 |
※ 1) 공원명 앞의 번호는 공원지정 순서임.
2) 국유림은 산림청소관 국유림이며, 산림면적중 국유림 비율임.
|
https://cafe.daum.net/yswlsj4812
본문은 Chrome 과 글자 크기 110%에 최적화 돼 있음을 알립니다.
토지사랑 http://cafe.daum.net/tozisarang/
토지투자동호회밴드
(카페회원님들은 같이이용하시면됩니다)
추천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