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색조화장에만 치우쳐있던 파나마 화장품 시장, 스킨케어 제품에도 관심 갖기 시작해 -
- K-Beauty Showcase에서 우리나라 화장품 인기와 수요 확인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향수와 화장수, 뷰티·메이크업·스킨케어 제품, 매니큐어와 페디큐어 제품 포함
ㅇ HS Code: 3303, 3304, 3307.90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중미 국가 중 파나마 화장품 수입액 순위는 2017년 기준 과테말라와 코스타리카의 뒤를 잇는 3위임.
ㅇ 이는 상위 두 국가에 비해 적은 인구와 시장규모를 갖고 있는 파나마 현황을 고려할 때에 매우 큰 거래 규모라고 할 수 있음.
□ 최근 3년 화장품 수입동향 및 최근 2년 상위 5개국 수입동향
파나마 화장품 최근 3년간 수입 규모 / (단위: 천 달러, %)
2015 | 2016 | 2017(9월) |
수입액 | 증감률 | 수입액 | 증감률 | 수입액 | 증감률 |
64,472 | -15.98 | 64,184 | -0.45 | 51,795 | 9.78 |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Hs Code 3303, 3304, 330790합산/현재 기준 최신 자료)
파나마 화장품 상위 10개국 최근 2년 수입동향 / (단위: 천 달러, %)
국가 | 연도(9월 기준) | 증감률 |
2016 | 2017 |
프랑스 | 9,134 | 9,521 | 4.06 |
스페인 | 2,868 | 4,721 | 39.25 |
미국 | 11,251 | 10,868 | -3.52 |
영국 | 1,774 | 2,078 | 14.63 |
콜롬비아 | 5,066 | 4,735 | -7 |
멕시코 | 3,829 | 2,278 | -68.09 |
이탈리아 | 405 | 341 | -18.77 |
중국 | 551 | 623 | 11.56 |
독일 | 764 | 837 | 8.72 |
스위스 | 72 | 114 | 36.84 |
총계 | 37,730 | 38,133 | 1.06 |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Hs Code 3303, 3304, 330790합산/현재 기준 최신 자료)
ㅇ 파나마 화장품 수입동향
- 기존 화장품 수입은 주로 미국, 프랑스, 콜롬비아, 멕시코 등 유럽 및 중남미 지역에서부터 이루어지고 있음.
- 그러나 최근 한국, 중국 등의 아시아 시장으로부터의 화장품 수입이 상승세를 띄고 있음.
- 총 수입 증감률 역시 양수 값으로 이를 통해 시장의 유망성을 다시 한번 확인함.
□ 대한 수입 규모 및 동향
파나마 대한 화장품 수입동향 / (단위: 달러, %)
2016 | 2017 | 2018(9월) |
수입액 | 증감률 | 수입액 | 증감률 | 수입액 | 증감률 |
99,639 | -38.41 | 80,411 | -23.91 | 178,653 | 55 |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Hs Code 3303, 3304, 330790 합산/현재 기준 최신 자료)
ㅇ 파나마 대한 화장품 수입액의 꾸준한 증가
- 해가 지날수록 파나마 대한 화장품 수입액 증감률은 점점 증가하는 모습을 보임.
- 2018년 9월까지의 총 화장품 수입액은 기존 연도의 것을 2배 이상 상회함.
- 이는 다양한 한국 화장품 파나마 국내 수입으로 더 큰 증가를 보일 것으로 추정이 가능함.
ㅇ 파나마 내 한국 화장품의 눈에 띄는 선호도
- I 소셜 미디어를 통해 여러 인플루엔서들이 한국 화장품을 파나마 내에서 판매하고 있고 그 인기 또한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음.
- 한국인들은 여러 기초화장품 등의 세심한 관리로 인해 피부가 좋다는 인식이 파나마 사람들 사이에 크게 자리 잡고 있음.
- 주로 선호되는 한국 화장품으로는 스킨케어 제품, 마스크팩, 주름개선 제품 등이 있음.
- 실제로 K-beauty Showcase를 방문한 바이어에 의하면 한국 화장품은 질 좋은, 무해한 원료를 이용하여 생산되고 그 효과 또한 오래전부터 검증되어 이미 큰 수요가 예상된다고 함.
2018 K-Beauty Showcase Panama 현장 사진

자료원: 코트라 파나마 무역관 직접 촬영
□ 경쟁 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트렌드 변화에 따른 소비자 수요 변화
- 색조화장에 치우쳐 있는 중남미 시장에 최근 피부관리 및 유지를 중요하다는 인식이 생기고 있음.
- 파나마에 현재 진출한 한국 뷰티 제품으로는 Skinfood (화장품 전반 취급), Medytox (보톡스 제품), 엘지화학 (필러 제품 전반)등이 있음.
<(우) Skinfood 로고, (좌) Medytox의 Medytoxin 100U 모습>


자료원: Skinfood, Medytox 브로슈어
ㅇ 중국, 한국 간의 경쟁구도
- 중국인이 불법으로 보건부 등록 없이 수입해 차이나타운 및 온라인으로 한국화장품 판매하고 있고 이는 한국에 판매되는 가격의 약 3배가량으로 집계됨.
- 더불어, ‘무무소’라는 한국 사칭 생활용품 판매장에서 의미 없는 한국 문구로 제품 설명이 쓰인 중국산 화장품이 다수 판매되고 있음.
□ 유통구조
ㅇ 화장품 유통구조
- 대부분 중국, 미국에서 수입해 유통하거나, 중국에 OEM 방식으로 진행하여 파나마 자유무역지대 수입, 중남미 주변국에 수출함.
ㅇ 한국 화장품의 유통
- 한국 마스크팩이 이미 파나마 시장에 들어와 있으며 한국에서 직수입이 아닌 미국 Absolute New York에서 수입함.
- Riba Smith & Metox에서 해당 마스크팩이 현재 판매되고 있음. (골드 마스크팩: $4.85, 브라이트닝: $2.54)
□ 관세율 정보
ㅇ 관세, 부가가치세 및 기타 세금
- 립 제품: 부가가치세 7%, 관세 6% 가 적용됨.
- 셰도우 종류: 부가가치세 7%, 관세 5% 가 적용됨.
- 파우더 종류: 부가가치세 7%, 관세 5% 가 적용됨.
- 그 외 기타 제품 (스킨케어 제품 포함): 부가가치세 7%, 관세6.5%가 적용됨.
□ 수입규제, 인증 절차 및 제도
ㅇ 수입규제
- 샴푸, 화장품의 경우 보건부 등록이 필수적인 상황임.
ㅇ 인증 제도
- 파나마 정부는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의료기기 및 의약품, 식품, 화장품 대상 수입에 앞서 사전제품 등록 및 샘플 분석을 통한 인증 제도를 마련하고 있음.
- 현지 특성상 해당 행정절차에 소요되는 시간이 경우에 따라 크게 지연될 수 있으므로 현지 수입상과 공동으로 진행 또는 OEM 방식으로 진행하는 편이 효과적임.
ㅇ 인증 절차에 필요한 서류
- 자유판매 증명서 원본과 아포스티유 공증 (Certificado de Libre Venta)
- 우수제조관리기준(GMP) 인증서 / 수출업체의 공장이 수출국 정부에서 인정한 GMP인증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증명서 (Certificado de Buena practica),
- Formula 및 제조과정 관련된 서류로 사용된 모든 성분의 기능, 제조과정에 대한 설명, 사용된 모든 성분의 Reference 가 표기되어야 함. (Lista de Ingredientes cualitaiva, quantitativa: Qualitative/ Quantitative Formula)
□ 시사점
ㅇ 불법 시장 단속의 필요성
- 중국에서부터의 한국 제품 가격 왜곡 후 판매를 막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구되는 상황임.
- 실제로 매년 감소하는 파나마 화장품 대한 수입액의 원인에 중국에서부터의 불법 한국 화장품 수출이 무시할 수 없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더불어 ‘무무소’와 같이 한국을 사칭하는 중국산 생활용품 판매 매장 제재가 필요함.
ㅇ 소비자 수요 트렌드 파악 및 선점
- 역동적으로 변하는 파나마 화장품 수요시장의 수요 트렌드를 파악하여 기회를 노려 시장에 진입 및 홍보를 하는 것이 중요함.
- 일례로, 기존에는 색조화장에 치우쳤던 파나마의 화장품 시장이 현재 스킨케어의 중요성 부각으로 인해 기초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는 추세임.
- 특히 기초화장품을 다양하게 보유하고 있고 그 질도 좋다는 평이 우세한 한국산 제품의 활발한 홍보로 새로 변화하는 시장에서의 주도권을 쥐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여겨짐.
자료원: KOTRA 파나마 무역관, Global Trade Atlas, Central America Data의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