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산 (658m)
□ 그 집에 가면 둥근 식탁 곳곳에 산꾼들의 얼굴이 □ 대덕식당 40년 전통 이 집을 모르시면 대구사람 아니지요 □ 나무노래 대구의 지성 덕란 언니네 아지트 □ 고산골할매보리밥 옥호 그대로 보리밥 한 그릇 3,000원 □ 백복수반 미각의 극치 ‘곤드레밥’의 명소 □ 국일따로국밥 대구를 대표하는 음식… 전국적인 명소로 부각 □ 해봉(海峰) 산꾼들의 대구도심 집회장소로 유명
250만 명 대구시민이 즐겨 찾는 앞산(658m)의 본래 이름은 성불산(成佛山)이다. 1832년에 편찬된 것으로 알려진 <대구읍지(大邱邑誌)>에 의하면 “성불산은 대구부 남쪽 십리 안산으로 비슬산으로부터 비롯한다(成佛山在府南十里官基案山自琵瑟山來)”고 되어 있다. ‘관기안산’이란 관청의 맞은편 산을 말함이니, 즉 옛 관청터인 지금의 중앙공원 맞은편 산이라면 바로 ‘앞산’이다.
이를 뒷받침이라도 하듯 1972년에 발간된 <대구·달성지>의 ‘승지편(勝地編)’에는 매우 구체적인 기록이 나와 있다. “성불산은 대구의 안산으로 은적, 안일 두 암자가 있고 옛 성터도 있는데 성터의 석축 둘레는 3051척이다”란 기록을 읽을 수 있다. 지금 우리가 그냥 생각없이 부르는 ‘앞산’의 원래 이름이 ‘성불산’이었다는 것은 더 이상 이론(異論)의 여지가 없다. 그렇다면 이제라도 앞산의 원래 이름?되찾아 주어야만 하겠다.
전국 어느 지방자치단체나 자신들의 고장을 대표하는 산 정상에는 표지석을 세우고 신성시(神聖視)하는 마당이다. 그런데 웅도 대구의 안산은 그 훌륭한 본래의 이름마저 잃은 채 오랜 세월동안 엉뚱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으니 참으로 안타까운 노릇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살고 있는 집에서 보이는 남쪽을 앞이라 생각하고 북쪽을 뒤라고 생각한다. 대구의 ‘남쪽 산’을 굳이 ‘앞산’으로 불러야 한다면, 북쪽을 병풍처럼 둘러친 명산 중의 명산 팔공산은 ‘뒷산’으로 불러야 한다는 난센스 같은 이야기가 성립되는 셈이다.
더욱이 지난해 11월 오랫동안 철조망으로 차단되어 있던 팔공산 정상이 시민의 품으로 돌아왔고 그동안 잘못 불렸던 ‘동봉’ ‘서봉’이라는 봉우리 이름도 원래의 이름 ‘미타봉’과 ‘삼성봉’으로 환원되었다. ‘성불산’을 계속 ‘앞산’으로 불러야 한다면 이것은 대구시민의 명예가 걸린 문제다. 아기를 낳은 부모가 아기의 이름을 제대로 지어 주지 않고 첫 번째 태어난 아기라서 ‘첫째’, 다음은 ‘둘째’‘셋째’로 호적에 등기해야 할 것인지….
‘대구시민의 노래’를 작사한 백기만 선생은 살아 생전 후진 산꾼들에게 “우리는 명예로운 대구의 시민”임을 크게 강조하고 높은 긍지를 지니도록 늘 당부했다. 코앞으로 다가온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 의원 선거 예비후보들의 선거 현수막이 ‘앞산’ 자락 시가지 곳곳, 큰 빌딩 벽면을 장식하고 있다. 대구시민의 명예가 달린 ‘앞산’의 본래 이름을 되찾고 정상에는 표지석을 세우겠다는 예비후보들의 신선한 구호가 걸리기를 기대해본 ‘앞산’ 취재길이었다.
그 집에 가면 둥근 식탁 곳곳에 산꾼들의 얼굴이
-
참으로 신기한 ‘대구식 선술집’이다. 둥근 식탁 11개에 안쪽 구석진 곳에는 20여 명이 함께 앉을 수 있는 직사각형 목로판 식탁 4개가 놓여 있다. 매우 편안한 분위기, 취재길 해거름에 대구산악연맹 성기환 회장과 이 집을 찾아 들어갔는데 앉을 자리가 없다. 놀라웠다. 지난해 연말에 문을 연 업소라는데 이런 성황을 이루다니. 우선 축하부터 하고 싶었다. 그리고 이 주식(酒食)업소가 상법상 등재한 것은 아니지만 작은‘주식회사(株式會社)’란 것을 알게 되니 흥미로운 생각이 들었다.
‘대구산친구들산악회(회장 이용채)’는 유독 술꾼이 많은 산악회로 알려져 있다. 당연히 산행 후에는 술집으로 Go! 질펀하게 걸치고서야 헤어지는 것이 관행이었다. 산행 후뿐만 아니라 평일 저녁에도 회원들이 삼삼오오 모여 시내 술집 여기저기를 전전했다.
어느 날 회원들 사이에서 “이럴 것이 아니라 우리 산악회에서 술집 하나 열자”라는 의견이 나왔고 그 의견에 모두가 공감, 곧바로 실천으로 옮겨 ‘그 집에 가면(053-782-1357)’이 탄생되었다는 것이다.
이용채 회장, 김호용 부회장, 김분숙(여) 부회장, 조명숙 총무 네 사람이 출연(出捐)했다. 업소의 대표는 막내인 조명숙 총무가 맡았다. 소문은 금세 퍼져나갔고 한 차례 크리스마스·연말연시 성수기와 맞아떨어졌다고 한다. 특히 목로판 식탁이 놓인 작은 코너는 예약하지 않고는 자리 차지가 어려웠다고 한다. 이용채 회장의 카리스마와 조명숙 총무의 재치가 주식(酒食·株式)회사 운영의 큰 바퀴가 되어 금방 ‘잘 나가는 업소’로 커졌다는 것이다.
술안주 이름이 재미있다. ‘개복치’에 ‘코다리쪼림’으로, 매우 생소하다. 개복치는 복어목 개복치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다. 우리나라 전 해역에 서식하는 식용 물고기로 몸체의 대부분을 먹을 수 있다.
경골어류 중에서 가장 크고 가장 큰 뼈대를 가진 개복치는 몸무게가 보통 100kg 이상이며 가끔 400~500kg 정도의 큰 놈도 잡힌다고 한다. 몸 길이가 3.3m가 넘는 것도 있다고 한다. 경북 포항 지역에서는 대소사에 귀한 별미로 올리는데 껍질은 수육, 뱃살은 회무침, 머리뼈와 머릿살은 찜요리 등 다양하게 조리되고 맛도 가지가지다. 코다리는 명태를 꼬들꼬들하게 반만 말린 것을 말하는데 ‘그 집에 가면’에서는 ‘찜’과 ‘조림’으로 조리해서 내어놓는다.
업소 측에서는 손님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더치페이를 권하고 있었다. 그 영향일까. 찾아오는 산꾼들은 사전 약속 없이 혼자 이 집에 왔다가 산친구들을 만나게 되고 자연스럽게 합석하지만 자신의 몫은 자신이 치른다는 것이다.
대구산악연맹 부회장직도 맡고 있는 이용채 회장에게 업소가 금방 문전성시를 이루게 된 비결이 무엇이냐고 물어봤다. 뜻밖에도 “뭐 별게 있습니까?” 하면서 ‘공자의 말씀’ 하나를 흰 종이 위에다 적어준다. ‘近者說 遠者來(근자열 원자래)’. 업소를 찾아오신 가까운 분들을 즐겁게 해드렸더니 먼 곳에 계시는 분들도 자연스럽게 찾아 오시더라는 뜻이렸다. 누구나 가슴속 깊은 곳에 새겨 둘 만한 만고의 진리다.
메뉴 오징어전·송이감자전 각 1만 원. 안동문어 1만5,000원. 개복치·코다리쪼림 각 2만 원. 모듬전 2만5,000원. 막걸리 3,000원. 전화번호 [그 집에 가면] 053-782-1357 찾아가는 길 대구광역시 수성구 지산1동 1263-7(동아스포츠 건너편 골목 안 보광원 앞)
대덕식당 40년 전통 이 집을 모르시면 대구사람 아니지요
-
‘앞산먹거리마을’의 대표 주자. 40년 전통 대를 이은 음식점. 이 정도만 하더라도 “대덕식당, 이 집을 모르시면 대구사람이 아니지요”. 대덕식당은 이만큼 유명한 업소로 더 이상 긴 설명이 필요치 않겠다.
창업주 성질분(75) 여사가 문을 연 업소로 지금은 아들이 대를 이어 어머니의 음식맛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대표음식 선짓국은 매일 아침 신선한 선지를 구입해 푹 고은 사골 육수에 마늘·고춧가루·우거지만을 사용, 정성스럽게 끓여낸다. 24시간 영업한다. 아버지의 단골집을 아들도 단골집으로 찾는다니 ‘대덕식당’의 명성은 널리 퍼져 나갈 수밖에 없겠다. 앞산공원, 앞산전망대, 케이블카 승강장 나들목이라 많은 사람으로 늘 붐빈다. 넉넉한 주차공간을 확보해 놓았다.
메뉴 선짓국밥 4,000원. 육개장·갈비탕 각 6,000원. 전화번호 [대덕식당] 053-656-8111 찾아가는 길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9동 552-7
앞산 (658m)
나무노래 대구의 지성 덕란 언니네 아지트
-
‘인생은 나그네’라고 한다. 비단 제 고장을 떠나 객지에서 생활하는 사람만이 아니라 태어난 고장에서 살고 있는 사람도 스스로가 외로운 나그네임을 느낄 때가 많다.
그래서 친구들을 만나고 술잔도 나눈다. 그래봐야 어차피 인생은 ‘홀로’인 것이야 어쩔 수가 없겠지만.
대구 앞산 자락, 수성못에서 멀지 않는 곳 수성구 두산동에 ‘나무노래’라는 맥줏집이 있다. 저녁 7시가 되어야 문을 열고 손님이 있건 없건 상관하지 않고 새벽 2시까지 문을 열어 놓는 집이다.
차분한 분위기, 손님들도 마찬가지로 조용하게 찾아온다고 한다. 대구의 내로라하는 지성인들이 늦은 밤, 술 한잔 마시고 자정을 넘기고야 자리를 뜬다는 것이 업소 측의 설명이다.
외진 곳, 맥주를 마시는 집으로 술값이 비싼 것도 물론 아니다. 업소 측에서도 영리만이 목적이 아님을 강조한다. 찾아오시는 손님의 면면과 업소가 함께 어우러짐으로써 업소의 존재가치를 높여가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 집을 즐겨 찾는 대구의 주선(酒仙)급 산꾼도 많다. 지성미 넘치는 업주 정덕란 여사는 산사람들에게 행운을 안겨다주는 마스코트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업소에서 반대 방향, 멀리 떨어진 팔공산에서 산악단체의 행사가 열리면 꽃다발을 들고 나타나기도 하는 여인이다.
2시를 넘기고도 이야기를 끝내지 못한 산꾼들을 가까운 포장마차로 안내, 날이 밝아오는 시간까지 자신이 술값을 쏘아 올리는 멋까지 지닌 여인이기도 하다. 대구에 이런 조용한 명소, 멋진 여인이 있다는 것은 대구 산꾼들에게는 큰 행복이요, 축복이겠다.
메뉴 맥주·양주 전화번호 [나무노래] 053-784-4553 찾아가는 길 대구광역시 수성구 두산동 729-7 (늘봄예식장 옆)
고산골할매보리밥 옥호 그대로 보리밥 한 그릇 3,000원
-
대구사람들이 앞산에 간다고 하면 ‘해발 658m 앞산’을 오르는 것만 뜻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해발 653m의 산성산’에 오르는 경우가 더 많다고 했다. 그만큼 산성산 산행 나들목 중 한 곳으로 접근성이 가장 쉬운 지점, 고산골은 시도 때도 없이 많은 사람으로 붐비는 곳이다. 이러한 나들목에는 음식점들이 문을 열어 놓고 손님을 기다린다는 것이 당연한 귀결이다. 그런데 이곳은 아주 오래전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정서적으로는 매우 친근감을 느끼게 해주었다.
고산골 입구 첫 번째 집이 ‘고산골할매보리밥집’이다. 이 옥호가 이 업소의 모든 것을 설명해주고 있다. ‘고산골에서 할머니가 보리밥을 차려 내는 집’, 옥호 그대로 참으로 편안하다. 혼자 찾아간 처지에 4인용 식탁 하나를 차지하고 3,000원 받는 보리밥 한 그릇만 주문하기가 민망했다. 보리밥 말고 고등어구이(3,000원) 하나를 더 주문했더니 주인은 의아스러운 표정을 짓는다.
할머니에게 몇 가지 질문을 조심스럽게 던져 보았는데 답변은 한 가지도 듣질 못했다. 할머니 말씀은 “식당에 오신 손님이라면 내가 차려내는 음식만 잘 먹고 가시면 되는 것 아닌교”였다. 사실이 그러하다. 늘 손님이 붐빈다는 사실을 알고 찾아갔지만 할머니가 담근 여러 종류의 장(醬)이 수없이 많이 팔린다는 할머니 말씀에 유독 이 집에 손님이 많은 이유를 금방 알게 되었다.
4인용 식탁 9개, 36명이 함께 앉을 수 있는 규모. 산에서 내려오는 손님이 단체로 많이 이용한다고 홀서빙을 하는 곱상한 여인이 귀띔을 해주었다.
메뉴 보리밥·고등어구이 각 3,000원. 전화번호 [고산골할매보리밥] 053-471-8589 찾아가는 길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 1204-9
백복수반 미각의 극치 곤드레밥의 명소
-
앞산 북쪽 자락은 신천대로(상동교)~상인동을 잇는 앞산순환도로가 달린다. 이 도로와 나란히 달리는 구 도로변에는 20여 개 업소의 ‘앞산먹거리마을’이 형성돼 있다. 이들 음식점 중 ‘백복수반’은 남구청에서 지정한 별미음식점 중 한 곳이다.
아늑한 황토방에 전통적인 아름다움을 살린 소품, 정감 넘치는 분위기에 업주 이정화(李貞花) 여사의 온화한 인상과 인정이 멋진 조화를 이룬다. 더불어 업주의 오랜 요리경력에서 우러나오는 깊은 맛과 정갈함은 이 집을 찾은 손님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것으로 크게 알려져 있다.
이 집의 대표 메뉴 ‘돌솥곤드레밥정식’의 ‘곤드레’는 강원도 산간에서 많이 나는 산나물 ‘고려엉겅퀴’의 속어다. 대구 지방에서는 아주 별난 음식으로 콩나물밥처럼 곤드레를 밥 지을 때 쌀 위에 얹어 함께 익힌다. 감칠맛 나는 양념장에 비벼서 먹는데 ‘백복수반’에서는 갖가지 맛깔스런 반찬과 세월을 묵힌 장아찌까지 곁들여져 나오니 가히 ‘미각의 극치’라 할 만하겠다.
메뉴 돌솥곤드레밥정식·더덕정식 각 1만 원. 게장정식·밴댕이정식·한우불고기정식 각 1만3,000원. 전화번호 [백복수반] 053-656-8848 찾아가는 길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6동 583-2
국일따로국밥 대구를 대표하는 음식…전국적인 명소로 부각
-
대구 시가지 중심부 중앙로 사거리에 있는 ‘대구따로국밥’의 원조집. 1946년에 개점, 64년의 역사가 3대째 내려왔다. 국일따로국밥의 가업은 1대 서동술·김이순씨 내외로부터 7남 서봉준·최영자씨 내외로 이어졌고 지금은 창업자의 손자 서경덕·경수씨 형제에게 체계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늘 가게에서 일하는 서경수씨는 젊은 나이에 가업의 명예를 지키며 보다 훌륭한 업소가 되도록 하겠다는 굳건한 의지를 밝혔다. 대구만이 아니라 전국적인 명소로 크게 알려져 대구를 찾는 많은 내외국 인사들의 식도락 코스가 된 지도 오래다.
‘따로국밥’은 ‘국 따로 밥 따로’에서 생겨난 이름인데 ‘따로 하나’ ‘따로 둘’ 식으로 음식을 주문한다.
메뉴 따로국밥 5,000~6,000원. 전화번호 [국일따로국밥] 053-253-7623 찾아가는 길 대구광역시 중구 전동 7-1
해봉(海峰) 산꾼들의 대구도심 집회장소로 유명
-
어느 지역이나 마찬가지로 산악회 회원이나 회원 가족이 운영하는 외식업소는 산악인들의 집회장소로 늘 이용된다. 산악인구가 많기로 유명한 대구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외식업소로 중구 대봉1동 큰길가에 있는 횟집 ‘해봉(海峰)’을 꼽을 수 있겠다.
횟집이기 때문에 비싼 곳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해봉’은 그렇지 않다는 주장이다. 식자재를 잘 구입하기만 하면 음식값은 얼마든지 낮출 수 있다는 것이다. ‘해봉’을 찾는 많은 산꾼은 업주 유향순 여사를 깍듯이 ‘형수님’이라 부르는데 유 여사의 부군은 교직에 몸담고 있는 이학박사 박지극 선생이다.
식물분류학으로 학위를 받은 골수 산꾼인 유 여사의 부군은 꽃과 나무를 노래한 두 권의 시집까지 펴낸 시인으로 시집에 담긴 시는 아버지가 쓰고 삽화는 딸 미원씨가 그린 것으로도 큰 화제가 되었다. 특히 서울 지역에서 은행나무의 시인으로 크게 알려져 있는 박지극 시인의 ‘용문산 은행나무’는 산꾼들 사이에도 유명하다.
메뉴 초밥·회덮밥·대구탕 각 1만 원, 물회 1만2,000원, 모듬회 5만~8만 원. 전화번호 [海峰] 053-421-8448 찾아가는 길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1동 55-146(대봉동 만리장성~대봉파출소)
/ 글·사진 박재곤 대구시산악연맹 고문 www.sanchonmirak.com
다음 라텍스 카페는 유로 라텍스에서 운영하는 태국산 천연 라텍스침대 매트리스 베개 등을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 할 수 있는 정보 제공 카페입니다. - 다음 라텍스 카페 가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