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국제사진페스티벌(SIPF) 2006
기간 : 2006년 9월13일~9월26일(14일간)
장소 : 인사동 일대 토포하우스, 관훈갤러리, 인사아트센터 B1, 갤러리쌈지, 갤러리나우, 갤러리룩스, 김영섭사진화랑, 갤러리카페 브레송(충무로), 덕원갤러리 등
구성 : ‘울트라 센스’ 주제로 한 본전시 / ‘포토루덴스’, ‘영 포트폴리오’, ‘명예의 전당’, ‘하이브리디즘’, ‘포토인터페이스’전 등 특별전시 / 포토페어, 포트폴리오 리뷰 등 부대행사
2006 대구사진비엔날레
기간 : 2006년 10월19일~10월28일(10일간), 기자재전(10월22일까지)
장소 : 대구 EXCO, 대구문화예술회관, 시민회관 등
구성 : ‘다큐멘터리 사진 속의 아시아’ 주제로 스티브 맥커리의 특별 전시와 아시아 주제로 한 일반 전시로 나뉜 주제전 / ‘사진속의 미술&미술속의 사진’, ‘대구사진의 역사 산책, 1970~80년’ 등 특별전 / 사진영상기자재전 / 부대행사 / 대구지역 화랑의 기획전 등
기고 | 현장에서 본 서울페스티벌과 대구비엔날레
차린 음식은 많지만, 먹을 음식은?
글 김영태(현대사진포럼 대표, kyt6882@hanmail.net)
지난 9월13일, 1회 서울국제사진페스티벌의 개막식이 열린 서울 인사동의 관훈갤러리 주변에는 진기한 풍경이 펼쳐졌다. 개막식이 시작되기를 기다리는 동안에 초대받은 원로 사진가들에서부터 젊은 사진가들까지 사진계 인사와 그밖에 문화예술계 인사들이 전시장 근처 골목 여기저기 모퉁이에서 쭈그리고 앉아 있는 모습이 연출된 것이다. 한국사진이 국제적인 행사를 치룰 수 있을 만큼 역량이 커졌지만, 수도인 서울에 대규모 사진전을 개최할 만한 사진미술관이나 박물관이 하나 없어 생긴 촌극이다. 그 광경을 지켜본 필자는 슬픔이 밀려오는 것을 느꼈다.
기획에 충실한 실험적인 작품, 관람객 배려는 아쉬워
안타까운 감정을 누르고 전시장으로 들어가 보자. 서울국제사진페스티벌은 본 전시 제목인 ‘울트라센스’와 특별전시 제목인 ‘포토루덴스’라는 단어의 느낌 그대로 참가 작가 대부분이 젊은 사진가들이었다. 그리고 실제 전시작품들도 감각적이고 매체실험적인 작품들이었다. 그래서 전통적인 사진작품이라기보다는 탈장르적이고 미술과의 경계가 허물어진 현대사진의 단면을 보여주는 등 전시 컨셉을 명료하게 반영하고 있었다. 새로운 신인 작가들을 발굴하기 위해 마련된 ‘영 포트폴리오’전도 전시 작품의 과반수 이상이 실험적인 작품들로 채워졌다.
아쉬운 점은 이번 서울국제사진페스티벌이 대중들과 함께 하는 행사를 표방했음에도 사진에 전문적인 지식을 갖지 않은 일반 관람객들에게 전시작품 및 작가 등을 설명해 작품의 이해를 돕도록 하는 도슨트 제도를 채택하지 않은 점이다. 전시된 작품들 상당수가 대중들이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작품들이 아니라 난해하고 실험적인 작품들이었기 때문에 전시작품을 설명하는 도슨트는 더더욱 필요했었다.
서울페스티벌에서 돋보인 중국작가와 비교된 우리작가
본 전시에 전시된 작품들 중에는 영국, 독일, 이탈리아, 중국, 대만 등 외국작가들의 작품이 많았고, 주로 인사아트센터 지하 1층에서 전시되었다. 그중 중국작가들의 완성도 높은 작품들은 많은 관람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작품의 내용과 표현양식이 서로 잘 조화를 이루었고, 프린트 퀄리티도 뛰어났다. 그들의 표현양식은 특별한 것이 아니었지만,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는 명료하며 독특하고 개성적이었다. 그러면서도 자신들의 정서와 문화를 잘 반영하고 있었다. 이에 비해 일부 국내작가들의 작품은 스토리 텔링(story telling)도 명료하지 못하고 최종 프린트의 퀄리티도 떨어져 안타까운 마음을 감출 수 없었다. 국내작가들도 좀더 깊이 있는 이론 공부와 철저한 실기교육을 바탕으로 작품의 완성도를 더욱 높여야겠다는 점과 그럴 때에만 해외 사진계로의 진출도 모색해볼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특별전으로 개최된 ‘영 포트폴리오’전의 전시작품들 중에는 전시제목과 어울리지 않게 진부한 표현양식과 내용으로 제작된 작품들도 전시돼 관람객들을 의아스럽게 만들었다. 그리고 김영섭사진화랑에서 열린 ‘명예의 전당’전에 전시된 원로사진가 김한용선생의 전시작품은 디지털로 프린트해 톤이 전체적으로 일관되지 못하는 등 전시작품의 품격을 떨어뜨렸다. 원로사진가에 대한 세밀한 배려가 아쉽게 느껴지는 전시회였다.
서울국제사진페스티벌
디스플레이, 프린트에서 기본 못 지킨 대구행사
대구에서 10월29일까지 개최된 1회 대구사진비엔날레는 주제전으로 ‘다큐멘터리 사진 속의 아시아’를, 특별전은 ‘사진 속의 미술, 미술 속의 사진’을 각각 주제로 개최되었다. 대구 EXCO 3층 전시장에서 개최된 주제전은 전시작품들 대부분이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다큐멘터리 혹은 포토저널리즘 작품이었다. 하지만 일부 작품은 다큐멘터리라기보다는 순수사진에 가까워 다큐멘터리 사진의 경계를 어디에서부터 어디까지 정해 작품과 작가를 선정하였는지 궁금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관람객들의 동선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전시장에 작품이 걸려 편안하게 작품을 감상할 수 없었다. 작가간의 구분도 쉽지 않았다. 작가마다 작품 내용이 비슷하였을 뿐만 아니라 일부 국내작가들을 제외한 외국작가들의 작품은 인화된 작품을 반입하지 않고 디지털 데이터를 받아 국내에서 일괄적으로 엡슨 프린트용지에 디지털 프린트해 프린트 톤이 비슷한 등 작가마다 고유의 작품분위기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분산 개최로 불편함 커, 사진미술관 절실히 요구돼
사진영상기자재전은 주제전이 열린 대구 EXCO 1층에서 열려, 마치 기자재전이 부대행사가 아닌 사진비엔날레의 본 행사처럼 느껴졌다. 지난해 기자재전 위주로 열린 대구이미징아시아와 이번 비엔날레 사이에 차별이 느껴지지 않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기자재전이 다른 공간이나 또는 주제전이 열린 3층과 장소를 바꿔 전시됐더라면 행사의 취지와 훨씬 더 잘 어울렸을 것 같다. 특히 기자재전은 일반 관람객들이 많은 관심을 보이는 행사로, 비엔날레 행사기간 중에 미리 끝나 아쉬워하는 관람객이 많았다. 그리고 행사장에서 상품을 바로 구입하는 것도 불가능해 더더욱 아쉬웠다.
특별전은 주제전이 열린 대구 EXCO와 대중교통으로 1시간여 걸리는 대구문화예술회관에서 열렸다. 전시작품의 완성도와는 관계없이 디스플레이가 감상하기에 편했고 세련되게 느껴졌다. 그런데 일부 작품을 제외하고는 이미 오래전에 여러번 발표된 작품들이 대부분이어서 진부하게 느껴졌다. 그리고 작품들 상당수가 일반 관람객이 이해하기에는 난해한 작품들이 많아 작품설명이 절실히 필요했지만, 서울사진페스티벌과 마찬가지로 도슨트가 없어 일부 관람객들에게서는 관람료가 아깝다는 푸념이 들리기도 했다.
특히 주제전이 열리는 전시장과 거리가 멀어 지리를 잘 모르는 외지에서 온 관람객들은 많은 불편함을 겪었다. 그외에 다른 전시장과도 서로 너무 떨어져 있어 관람객들이 하루 만에 모든 전시를 관람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해, 아쉬운 마음으로 관람 일정을 중단하고 돌아가는 관람객도 상당수 볼 수 있었다.
이번 두 행사를 지켜보면서 필자가 특히 안타까웠던 것은 사진미술관 하나 없어 행사를 한 장소에서 모두 진행할 수 없었다는 점과 이로 인한 불편함이 너무 컸다는 점이다. 그리고 전시회만 있었지 국내 젊은 사진가들을 외국으로 진출시킬 수 있는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행사가 없었다는 점도 아쉽게 느껴졌다. 국제적인 사진행사를 짜임새 있게 개최하기 위해서는 사진미술관은 꼭 필요하다. 그리고 관람객들을 세밀하게 배려하는 것도 무엇보다 중요하다. 내년과 2008년에 다시 열릴 두 행사가 좀더 성숙된 모습으로 기획돼 한국 사진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국제적으로 명성을 떨치기를 기대한다.
대구사진비엔날레
첫댓글 월간 사진 12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