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김형수 한전 부·울지역본부 수요기획 차장 |
해마다 하절기 전력수급에 대한 관심이 높다. 정부는 돌릴 수 있는 발전기는 총동원해 공급능력을 확충할 계획이라 한다. 또 시간대별로 전기요금을 차등적용, 냉방온도 규제건물을 확대하는 등 절전방안도 강구중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론 국민적인 절전이 가장 실효성이 높다 하겠다.
요즘 냉난방 분야에서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온실가스를 절감할 수 있는 대안으로 히트펌프 산업이 주목받고 있다. 국가 차원의 에너지 절감과 이산화탄소 감축을 가져 올 수 있다는 측면에서 새로운 신재생에너지원으로도 가능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와 같은 기류에 따라 한국전력공사는 심야 히트펌프보일러 보급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심야 히트펌프보일러는 심야전력(23시~익일 09시)을 활용해 히트펌프 실외기로 고온수를 만들어 축열조에 저장했다가 난방에 활용하는 시스템이다. 기존 심야전기 보일러에 비해 소비전력을 50% 이상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심야전기보일러 효율이 90~95% 수준인데 반해 히트펌프보일러의 효율은 240% 수준으로 4년 동안의 개발과 실증을 거쳐 안정적인 난방성능과 연간 50% 이상 전기요금 절감효과를 검증 받았다고 하니 그 의미가 더욱 각별해 보인다. 기존 심야전기보일러를 사용하던 주택에 고효율 히트펌프보일러를 설치해 심야전기보일러 대비 난방성능과 전기요금 절감효과를 사용 고객을 통해 직접 검증한 것이라고 하니 가히 성공적이었다는 평가를 받기에 손색이 없다. 이에 따라 올 해는 7,000대를 보급 지원할 예정이며 향후 지속적인 보급 확대를 통해 2025년까지 17만 대를 교체할 계획이다.
한전은 교체하는 고객의 초기투자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설치지원금 일부를 지원해 주고 있다. 계약전력 10kW이하 고객은 200만 원, 10kW~15kW이하 고객은 250만 원으로 예상된다. 현재 심야 히트펌프보일러 제조업체는 경동나비엔, 귀뚜라미, 대성히트펌프, 오텍캐리어, LG전자, 삼성전자, MTS 등 총 7개사로 한전과 보급계약을 체결했으며 각 지역에 판매시공대리점을 두어 제품 판매를 하고 있다. 절전은 국민의 공감과 적극적인 동참 없이는 성공할 수 없다. 한국전력공사의 심야 히트펌프보일러 보급 지원사업에 더많은 주민들의 관심과 참여가 필요한 것도 이와 같은 연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