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통일 사상 및 원리 강론 인용.
A. 통일 사상 인용 ( I ).
2중 목적과 2중 욕망.
* 요약 :
* 성상 (생심 )에도 전체 목적(가치 실현욕)과 개체 목적(가치 추구욕)이 있고,
* 형상 (육심)에도 전체 목적 (가치 실현욕)과 개체 목적 (가치 추구욕)이 있다.
< 통일 사상. P. 296. 하. 5 초 ~ P. 297. 상. 11 말. >
* 그림 4 - 1 . 욕망, 목적. 가치의 2중성.
< 통일 사상. P. 299. 중간 >
B. 통일 사상 인용 ( II ).
창조 목적 ( 피조 목적 )에는
성상적 목적 형상적 목적이 있으며,
이 각각의 목적에는 다시
전체 목적과 개체 목적이 있다.
< 통일 사상. P.567. 상. 7 말 ~ 상. 9 중. >
C. 원리 강론 인용.
그리고
성상적인 목적은 전체를 위한 것이고,
형상적인 목적은 그 자체를 위한 것이어서 ~ . . .
< 원리 강론. 2006. 42쇄. P.45. 상. 8 초 ~ 상. 9 중. >
2. 위 인용 본문의 창조 원리적 분석.
A. 위 인용 본문의 요약.
a. 통일 사상 ( I. II. )
성상에도 개체 목적과 전체 목적이 있고
형상에도 개체 목적과 전체 목적이 있다.
b. 창조 원리.
성상적인 목적은 전체를 위한 목적이고,
형상적인 목적은 자체를 위한 목적이다.
B. 위 두 요약의 대조 비교와 그 개념의 상충.
a. 창조 원리에서는
성상적인 목적을
전체를 위한 목적이라고 정의 하고,
형상적인 목적을
자체를 위한 목적이라고 정의 한다.
b. 통일 사상에서는
성상적인 목적에도
전체 목적이 있고 자체 목적이 있으며
형상적인 목적에도
전체 목적과 자체 목적이 있다고
정의 하여 설명 한다.
C. 통일 사상 개념 정의 비판.
통일 사상에서 정의 한 개념에
창조 원리의 개념을 대비 하자면
다음과 같다.
즉
성상적인 ( 전체 ) 목적에도
성상적 ( 전체 ) 목적과 형상적 ( 자체 ) 목적이 있으며
형상적인 ( 자체 ) 목적에도
성상적 ( 전체 ) 목적과 형상적 ( 자체 ) 목적이 있다는
설명이 되어서,
통일 사상의 개념에는
성상적 목적과 형상적 목적의 개념 정의가
혼동 되어 혼용 하고 있음을
인지 할 수가 있다.
3. 결론.
창조 원리에 의하여 정의 한
개념인
* 전체 목적을 성상적 목적이라 정의 하고,
* 자체 목적을 형상적 목적이라고 하는 정의에 따르는 것이
위 통일 사상의
혼동 된 개념과
혼용이라는 모순을
치유 할 수가 있다는 것이
증명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