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싱가포르 청소기 시장동향
- 소비자의 니즈를 반영한 청소기 시장의 트렌드 변화-
- 청소를 더욱더 손쉽고 빠르게 하고자 하는 소비자-
□ 상품명: 진공 청소기(HS코드: 8508)
□ 시장규모 및 동향
○ 모든 이의 필수 가전 제품
- 청소기라는 품목 특성상 시장 포화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해서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이는 다양한 소비자의 니즈에 발맞추어 계속된 품질 개선 및 개발에 의한 것으로 보여짐.
- 2017년 기준 약 17만 7천대의 청소기가 팔리며 전년 대비 3%의 성장률을 보임.
싱가포르 청소기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1천대,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시장규모 | 성장률 | 시장규모 | 성장률 | 시장규모 | 성장률 |
163.3 | 9.2 | 171.3 | 4.9 | 176.5 | 3.0 |
자료원: Euromonitor
○ 다양해지는 청소기, 깐깐해지는 소비자
- 기술력 발전에 따라 청소기 역시 발전을 거듭함. 기능적인 측면뿐 아니라, 외관상의 멋도 현대 소비자에 맞추어 변화 하는 중.
- 한국의 대표주자, 삼성과 LG 역시 깔끔한 디자인과 향상된 기능의 청소기들을 출시하면서 소비자의 이목을 끄는데 주력.
○ 청소기 트렌드
- 유선의 무거운 진공청소기 본체를 끌며 청소를 해야 했던 과거와 달리 현 트렌드는 무선 기능에 작아진 사이즈, 사용자의 몸에 맞춘 길이, 그리고 ‘2 in 1’ 형식의 다목적 핸디 청소기가 대세.
- 작고 가벼워지되 흡입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노즐에도 별도의 모터를 달고, 어두운 좁은 공간 청소가 용이하도록 LED 기능을 추가 하는 등 기능적인 부분 강화 추세.
- 이 외에 사회생활 등으로 바쁜 1~2인 가구를 타깃으로 한 로봇청소기 시장도 뚜렷한 성장세를 보임. 아직 시장규모는 여타 청소기에 비하여 미미하나 2017년 기준 약 18%의 폭발적인 성장률을 보임.
카테고리 별 청소기 판매량
(단위: 천 대, %)
카테고리 | 카테고리 가치 | 2017년 성장률 | 연평균 증가율(2012년~2017년) | 연평균 증가율(미래예상 량) |
실린더형 진공 청소기 | 103.5 | 2.3 | 2.5 | 0.5 |
핸디형 진공 청소기 | 8.1 | 1.1 | 1.0 | -0.2 |
스틱 진공 청소기 | 45.0 | 3.8 | 23.9 | 7.7 |
스팀 진공 청소기 | 5.7 | 1.6 | 1.6 | 1.2 |
건조식 물 청소기 | 8.2 | 1.8 | 4.0 | 1.4 |
전체 진공 청소기 | 170.5 | 2.6 | 6.1 | 2.6 |
로봇 청소기 | 6.0 | 18.2 | 48.5 | 12.4 |
자료원: Euromonitor
○ 유선 진공 청소기
- 유선 진공 청소기는 지금까지도 꾸준한 수요가 있는 제품으로써 크기가 크고 유선인 만큼 가장 흡입력이 뛰어나고 시간에 제약이 없어 사랑 받고 있음.
- 유선 모델도 꾸준한 개발을 통하여 개량이 되고 있는 추세임. 예를 들어 LG에서는 기존 실린더 청소기 크기의 몸체에 센서 기능을 추가하여 주인을 따라 다닐 수 있게 하고 전기코드를 없앰으로써 크기와 파워는 기존 유선 청소기에 버금가지만 무선청소기인 모델을 개발 출시.
□ 수입규모 및 동향
○ 꾸준히 성장세를 이어가는 싱가포르 청소기 시장
- 2017년 기준 싱가포르는 총 1,291만 달러의 수입규모를 보였으며 전년대비 약 123%의 폭발적인 증가율을 보임.
- 2017년 기준, 말레이시아가 수입국 1위로써 절반 이상인 약 65%의 청소기가 수입되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중국이 약 15%를 차지.
○ 5위 수입국인 한국
- 2017년 기준 한국으로부터의 수입규모는 약 19만 2천 달러임.
- 매년 소폭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2017년 기준 약 31.48%의 증가율을 보임.
싱가포르 진공청소기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HS코드 8508 기준)
(단위: US$천, %)
순위 | 국가 | 수입규모 및 성장률 | 점유율 |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1 | 말레이시아 | 17,456 (-54.60) | 13,971 (-19.96) | 83,914 (500.63) | 27.83 | 24.17 | 64.98 |
2 | 중국 | 11,589 (2.21) | 17,735 (53.03) | 19,621 (10.63) | 18.48 | 30.68 | 15.19 |
3 | 미국 | 11,877 (-0.12) | 8,325 (-29.90) | 7,888 (-5.25) | 18.93 | 14.40 | 6.11 |
4 | 독일 | 5,250 (-33.96) | 5,799 (10.46) | 6,498 (12.06) | 8.37 | 10.03 | 5.03 |
5 | 대한민국 | 1,275 (-28.05) | 1,463 (14.81) | 1,924 (31.48) | 2.03 | 2.53 | 1.49 |
6 | 헝가리 | 1,652 (-7.99) | 1,595 (-3.45) | 1,569 (-1.60) | 2.63 | 2.76 | 1.21 |
7 | 이탈리아 | 1,924 (-8.06) | 1,344 (-30.15) | 1,425 (6.07) | 3.07 | 2.32 | 1.10 |
8 | 대만 | 429 (-30.65) | 338 (-21.09) | 695 (105.31) | 0.68 | 0.59 | 0.54 |
9 | 영국 | 2,194 (-47.62) | 1,355 (-38.25) | 653 (-51.79) | 3.50 | 2.34 | 0.51 |
10 | 베트남 | 1,060 (-35.38) | 338 (-68.08) | 638 (88.35) | 1.69 | 0.59 | 0.49 |
전체 | 62,724 (-31.61) | 57,804 (-7.84) | 129,140 (123.41) | 100.0 | 100.0 | 100.0 |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 해외브랜드의 각축전인 싱가포르 청소기 시장
- 자국 브랜드 파워가 미미한 싱가포르 청소기 시장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제조사는 영국의 Philips Electronic사의 Philips 브랜드와 BSH Appliances 사의 BOSCH 브랜드 제품인 것으로 나타남.
- 시장 1위인 Philips, 6위인 Dyson사를 포함 총 2개의 업체가 영국계 업체로 저력을 과시하고 있지만, 톱10 리스트에 가장 많은 이름을 올린 국가는 독일로써, Bosch, Karcher, Miele, Rowenta 등 4개의 업체가 포진되어 있음.
- 한국 대표 기업인 LG와 Samsung도 점유율은 미미하나 9위와 11위로 각각 이름을 올림.
○ Philips Electronics Singapore
- 싱가포르 시장 내 진공 청소기 점유율 1위 기업으로써, 2017년 기준 약 32.6%의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는 영국계 거대 다국적 기업임.
-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로는 브랜드의 가격 포지션과 용이한 접근성인 것으로 보임.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으며 가격은 타사의 비해 높지 않게 책정이 되어있고 어디서든 손쉽게 Philip 브랜드의 진공 청소기를 찾을 수 있음.
- 제품군으로는 크게 “먼지주머니가 있는 타입,” “먼지주머니가 없는 타입,” “다목적 무선 진공 청소기,” 그리고 “로봇 청소기” 등으로 구분이 됨.
자료원: Philips
○ Robert Bosch GmbH
- 현지 진공 청소기 시장 점유율 2위를 기록하고 있는 기업으로, ‘Bosch’ 라는 브랜드를 앞세워 2017년 기준 약 15.8%의 점유율을 보유 중.
- 1886년도에 설립을 하여 지금까지 약 132년간의 노하우를 가지고 있는 기업으로써 청소기뿐 아니라 전동 공구로도 많이 알려진 기업임.
- 출시된 무선 진공 청소기는 배터리 교환이 가능한 모델로써 여타 내장형 배터리보다 긴 청소시간을 보증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어필
자료원: Bosch
○ Electrolux SEA Pte Ltd
- 현지 시장에서 점유율 3위를 기록하고 있는 기업으로써 브랜드명인 Electrolux로 유명세를 떨치고 있음.
- 1919년부터 창립되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 가전 브랜드로써, 싱가포르 브랜드별 시장 점유율 순위권 내 유일한 스웨덴 기업임.
- 2017 년 기준으로 약 10.8%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함.
자료원: Electrolux
○ LG & Samsung
- 2017년 기준 현지에서 각각 9위, 11위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LG(0.7%)와 삼성(0.4%)의 점유율을 보유.
- 스마트 폰이나 여타 가전제품과는 달리, 타사에 비해 두 업체의 청소기 시장 파워는 아직까지는 미미한 수준.
자료원: LG & Samsung
싱가포르 진공 청소기 브랜드별 시장 점유율
(단위: %)
순위 | 브랜드 | 기업명 | 국적 | 시장점유율 |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1 | Philips | Philips Electronic Singapore | 영국 | 32.7 | 32.5 | 32.6 | ||
2 | Bosch | BSH Home Appliances | 독일 | 15.7 | 15.7 | 15.8 | ||
3 | Electrolux | Electrolux SEA | 스웨덴 | 11 | 11 | 10.8 | ||
4 |
| Kärcher South East Asia | 독일 | 10.6 | 10.7 | 10.5 | ||
5 | Panasonic | Panasonic Asia Pacific | 일본 | 6.3 | 6.0 | 5.8 | ||
6 | Dyson | Dyson Singapore | 영국 | 5.7 | 5.7 | 5.7 | ||
7 | Miele | Miele&Cie KG | 독일 | 2.2 | 2.1 | 2.0 | ||
8 | Rowenta | Group SEB Singapore Pte Ltd | 독일 | 2.3 | 2.1 | 2.0 | ||
9 | LG | LG Electronics Singapore Pte Ltd | 대한민국 | 0.7 | 0.8 | 0.7 | ||
10 | iRobot Roomba | iRobot Corp | 미국 | 0.5 | 0.6 | 0.7 | ||
11 | Samsung | Samsung Asia Pte Ltd | 대한민국 | 0.3 | 0.4 | 0.4 |
자료원: Euromonitor
□ 유통구조
○ 청소기 시장은 오프라인 유통이 강세
- 약 2%의 인터넷 판매망을 제외하면 약 98%의 청소기 유통이 오프라인 채널을 통하여 이루어짐.
- 약 53%인 전자제품 전문매장이 가장 다수의 청소기가 판매되는 유통망인 것으로 보여지며, 그 뒤로 가전 및 가든 전문상점(22%), 대형마트(11%) 등임.
- 싱가포르 내 전자제품 전문매장으로는 ‘Harvey Normal,’ ‘Courts,’ ‘Best Denki,’ ‘Challenger’ 등이 있음.
- 이는 청소기 품목 특성상 기능성 확인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므로 제품을 직접 보고 시연을 한 뒤 구매가 이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짐.
진공 청소기 유통구조
(단위: %)
자료원: Euromonitor
□ 관세율·수입규제·인증
○ 관세율
- 자유무역을 지향하는 싱가포르는 주류, 담배제품, 차량, 석유제품을 포함한 4가지 제품 외에는 관세를 부과하고 있지 않음.
- 싱가포르에서 판매되는 모든 품목에 적용되는 부가가치세 성격의 GST(Goods and Services)가 7% 부과됨.
○ 수입규제 및 인증
- 싱가포르에서는 전기, 전자, 가스 가전제품 및 부속부품 등 33개 제품군을 통제 물품으로 분류해 관리하고 있음.
- 청소기도 전기 가전제품에 속하며 저, 중, 고 위험군중 중에 속하는 품목으로써 “IEC 60335-2-2: 2002” 안전 인증을 받은 후 이 품목을 수입하고자 하는 수입업자가 Enterprise Singapore에서 싱가포르 안전 인증마크를 부여 받아 부착해야만 비즈니스가 가능.
싱가포르 안전인증 예시
자료원: Enterprise Singapore
□ 시사점 및 전망
○ 생활 습관의 변화
- 싱가포르 대형가전/전자제품 매장인 H사의 직원에 의하면 현지인들의 생활 패턴이 매 주말마다 청소를 했던 생활방식에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오염이 눈에 보이는 즉시 청소를 하는 패턴으로 변화를 하고 있어 기존 실린더 청소기처럼 크고 무거운 청소기가 아닌, 컴팩트한 사이즈에 흡입력이 강하고 선이 없는 등 다목적, 다기능 제품을 선호 하는 경향이 뚜렷해 지고 있음.
- 대표적인 예로, 하이앤드 청소기 시장의 강자 다이슨 사의 최근 발표에 의하면 이제부터는 실린더 형식의 유선 진공 청소기는 개발을 멈추고 모든 역량을 무선 청소기에 투자를 하겠다고 밝힘.
○ 블루오션인 로봇 청소기
- 세계적으로 스마트 기기 등의 발달이 가속화 되고 있는 가운데, 그 중심에 있는 스마트 폰, 스마트 와치 등의 기기와 접목이 가능한 로봇 청소기 시장의 성장이 기대됨.
- 스마트폰으로 외부에서도 로봇 청소기 조종이 가능하며, 카메라를 통하여 청소기의 사야 확인이 가능 하는 등 상생 가능성이 높은 시장임.
○ 트렌드 리더가 되어라
- 대형가전전문업체 C사에 의하면 지금의 시장은 젊은층을 중심으로 트렌드 변화가 빨라, 조금이라도 제품 개발이 뒤쳐지게 되면 낙후될 여지가 높음.
- 고객과의 소통을 늘리는 등 고객의 니즈를 빠르게 파악하여 제품개발에 적극적으로 반영해 경쟁력을 높여야 함.
-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짧은 배터리 시간, 주기적인 교체일, 부족한 흡입력 등 고질적인 문제를 어느 업체가 더 빠르게 보완을 하느냐가 중요.
○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
- 대형가전전문업체 H사에 의하면 소비자에 따라 우선시 하는 사항이 다른 것으로 나타남. 크게는 흡입력, 소음, 배터리 지속력, 사은품으로 오는 다용도 노즐의 개수 등으로 파악 됨.
- 이렇듯 다양한 니즈를 파악하여 제품개발의 중점을 정확한 방향으로 맞추는 것이 중요. 예를 들면, 다이슨의 경우 흡입력과 디자인, 그리고 타 업체와 차별화된 가정방문 A/S 등으로 고가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고 함.
자료원: Euromonitor, Global Trade Atlas, Enterprise Singapore, KOTRA 싱가포르 무역관 자료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