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수요 증가에 멸종위기 몰려
중국의 굴기가 생물종에게는 재앙이 되고 있다.
중국 중산층의 성장으로 각종 생물종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먈종 등의
위기에 처한 종들이 하나 둘 속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5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막을 내린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
17차 당사국회의는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회의에서는 180여개 국 대표들이 500여종의 동식물과 관련한 62개 규제안을 심의했는데
이들 중 상당수가 중국에서의 수요 증가와 맞물려 있다.
대표적인 것이 장밋빛 때문에 가구나 악기용 목재로 사랑받고 있는 '로즈우드'다.
회의에서 각국은 300여종의 로즈우드를 국제 거래 단속 대상인 부속서 2항에 포함시키는데 합의했다.
남벌에 따른 피해가 심각해 보호 필요성이 대두했기 때문이다.
UN마약범죄사무국에 따르면 로즈우드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밀매되는 야생천연물로,
압수물의 가치로 따졌을 때 코끼리 상아, 천산갑 코뿔소 뿔, 사자, 호랑이를 합친 것보다도 규모가 크다.
동남아시아는 무차별적인 벌목으로 상당 부분 황폐화됐고, 이제 아프리카나 중앙아메리카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전 세계 로즈우드 무역량은 최근 10년 새 65배나 뛰어 한 해 22억 달러12조4000억 원에 이르렀는데
중국의 수요가 폭증한 탓이 크다.
중국에서 로즈우드는 앤티크한 가구의 재료로 이용되는데 최근 중국 경제 성장으로 인테리어 수요가 커졌기 때문이다.
미국 환경단체 포레스트 트렌드(Forest Trends)에 따르면 중국이 아프리카로부터 로즈우드를 수입한 양은
2010년에서 2014년 사이 7배나 뛰어 한 해 수백만 그루에 달하는 양을 수입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회의에서 부속서 1항에 포함돼 상업적 거래가 전면 금지된 천산갑(Pangolin) 역시 중국인의 눈에 들었다는
이유로 멸종위기까지 몰린 생물종이다.
천산갑은 몸 윗부분이 딱딱한 비늘로 덮여있고 혀로 곤충을 핦아먹는 포유류로, 일부 아시아 국가에서 식재료로 활용하고
중국에서는 정력제 등 전통 약재로 쓴다.
이에 천산갑은 2000년 이후 100만 마리 이상의 불법으로 거래되는 동물이 됐으며,
중국 정부도 보호동물로 지정할 정도로 멸종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졌지만 밀 거래가 횡횡하고 있다.
회의에서 거론되지는 않았지만 아프리카에서는 당나귀가 중국인들의 보약으로 쓰이면서 씨가 마르고 있다.
중국에서 당나귀 가죽은 가믹부터 불면증에 이르기까지 여러 질병을 다스리는 고가 보약인 아고판의 재료다.
중국은 산업화로 자국의 당나귀 수가 줄자 아프리카 국가들로부터 당나귀를 수입하기 시작했는데,
이제는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수요가 커지자 니제르, 부르키나파소 등이 쵝근 당나귀 수출 금지령을 내렸다.
중국-아프리카 프로젝트 기구의 공동 창립자인 에릭 올랜더는 '중국의 수요량이 떄로는 너무 많아
단일 자원을 고갈시킬 우려가 있다'며 '국가는 단일 자원일 경우 고갈돼 자국민에게 부담되지 않도록
무역 규제를 해야 할 의무가 있다'라고 지적했다. 김성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