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식료+화장품: 선진 시장으로 도약하는 “K”
[키움 음식료/유통 박상준, 화장품/의류 조소정]
1) 미국 시장 내 인지도가 만든 기회
- 한류 열풍을 등에 업고 미국 시장에서 인지도를 확보한 K-Food와 K-Beauty의 유럽 시장 진출 본격화
- 디지털 전환 이후 소비재 마케팅 환경의 변화로 속도감 있는 신규 시장 침투가 용이해지고 있는 점이 긍정적
2) 선진 시장으로 가는 K-Food & Beauty
- 음식료: K-Food의 미국/유럽 시장 내 수요 증가에 힘입어 ‘25~27년 주요 식품 업체들의 국내외 공격적인 Capa 증설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
- 화장품: 미국 시장으로 나아갔던 K-Beauty가 이제는 유럽으로 향하는 중. 온라인 채널의 활성화로 K-Beauty 브랜드의 선진 시장 진출이 비교적 용이해진 덕분
3) 음식료+화장품 업종 투자전략
- 음식료 업종 최선호주로 판매량 성장세를 이어갈 삼양식품, 차선호주로 내수 소비심리 회복과 올리브영/푸드빌의 구조적 성장 모멘텀이 주목 받을 수 있는 CJ를 제시
- 화장품 업종은 유럽으로 성장 모멘텀을 이어갈 수 있는 브랜드 사에 주목하여 최선호주로 아모레퍼시픽, 차선호주로 에이피알을 제시
★ 보고서: bbn.kiwoom.com/rfCI5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