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대륙 조선사 연구회
 
 
 
카페 게시글
역사토론방(출처있는글) 중국(中國)의 원 뜻은... 동국(東國)일까 합니다.
홍진영 추천 0 조회 848 08.09.15 11:25 댓글 32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8.09.15 11:40

    첫댓글 한문은 뜻글자 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뜻 글자가 다르다는 것은 의미가 서로 다르다는 것 아닐까요?..

  • 08.09.15 11:44

    그러나, 홍선생님 주장을 뒷바침 해줄 만한 사실을 하나 덧 붙여 드린다면, '단군'이라는 단어에서 찾을 수 있다고 봅니다. 단군의 '단'자는 '박달나무'라는 뜻입니다. 군은 물론 임금이라는 뜻이죠. 박달>밝달>배달.... 즉 한문을 통한 의미상의 기원으로 본다면 이 박달나무 숲이 있는 곳이 단군의 초기 기원이 되는 위치가 되는 셈입니다. 놀라운 것은, 이 박달나무가 있는 곳은 전세계에서 한국,일본,만주의 동북아시아만 해당된다고 하는 군요... 유럽에는 자작나무가 있습니다. 박달나무가 자작나무과(속?)에 속한다고 합니다.. 이 부분을 한번 규명해 보시면, 단군과 배달의 기원을 알 수 있지 않을까요?...

  • 08.09.15 11:46

    참고로, 백제의 2번째 수도인 '웅진'은 '곰나루'라는 뜻이라는 군요.... 전 웅진을 찾아보고 있습니다. 곰나루는 한강유역의 중심을 고구려에 빼앗기고 임시로 거주하던, 천혜의 요새라고 합니다만.... 나루터라는 것으로 물과 가까이 있었던 듯 싶습니다..^^..

  • 작성자 08.09.15 12:15

    곰나루는...순진한 발상들이라 봅니다...웅진의 웅"...환웅의 "웅"은...몽골족을 뜻하는 "훙"...융족(서이)를 뜻하는 "융"에 있다 봅니다...웅은...음을 받아 적은 수단일 뿐이요...그 훙족이 곰 토템이란데 착안한 대입인듯 합니다.

  • 작성자 08.09.15 12:17

    환국의 환(황)...돈황의 황(한)...완안의 왕(王)...환웅의 "웅"..모두 시대와 왕조만 다른 같은 뜻들로 보입니다.

  • 작성자 08.09.15 12:26

    고마(가미,거문)...말 그대로 검단 뜻이며...검은 쇠(무쇠=金)를 뜻하고...고대엔 쇠(무쇠=金=거문=감=가미)를 지닌(만드는)자들이 신성한 황제족이였다 보입니다...참고로 밝게 빛나는 金은...백금...황금..쇠(새=신(新)=스틸)이라 하겠습니다...신라가 금(金)인 이유입니다...거무(곰,감,金)은...해(캐,캐.긔.고)가 없단 뜻 같습니다...물론 후대의 金은...없다는 "무"자를 빼고...해(캐,코,고)의 약칭으로 쓰였다 뵈고여...무"자가 무쇠란 뜻이 된다 보입니다.

  • 08.09.15 12:50

    순진한 발상이 아니구요.... 백과사전에 나와있습니다..^^... 고마도 나와있습니다...고마와 웅 모두 '곰'을 토템으로 보는 '곰의 부족'으로 설명하던데요... 홍선생님은 '쇠'로 보시는 군요... 고마(가마)가 '검다는 뜻'이라는 것은 어떤 것을 근거로 말씀하시는 지요?...

  • 08.09.15 12:57

    단군은 '신단수' 아래에서 제사를 지냅니다.. 이것의 단자도 역시 박달나무라는 뜻입니다. 박달나무는 물에 가라앉는 유일한 나무라고 하는 군요... 그만큼 단단하여, 쓰임새 또한, 다듬이 방망이 부터, 마차바퀴를 만드는 곳까지, 고대로부터 많이 사용되어 왔다고 합니다..

  • 08.09.15 13:00

    역사가 쓰여지기 위해서는 전쟁이 발생해야 합니다. 평화로운 곳은 기록으로 많이 남길 일도 없는 것이죠... 고대로부터 전쟁의 근원은 서로다른 부족의 차이 때문에 발생한 것입니다. 대표적인 차이가 '인종의 차이'가 됩니다... 그 인종의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나는 곳들이 고대로부터 전쟁이 빈발하는 곳이고, 새로운 역사와 왕국들이 만들어 지는 곳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상대적으로 동쪽지역은 그만한 갈등들이 없었지 않을까 생각하구요... 유일하게 근세 이후에 발생한 것들이 임진왜란, 청일전쟁 등이 아니었을런지?....

  • 08.09.15 13:18

    이 곰과 어둠에 대해서 좀더 숙고하여 보면, 북극의 흰곰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곰은 검은색이 되네요... 특이한 것은 곰의 종류중에 '반달 가슴곰' 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앞가슴에 초승달 모양의 무늬가 있는 종류가 되는데... 밝음에는 해가 있어야 하고, 어둠에는 달이 있어야 합니다. 이런 의미에서 곰의 부족이란, 어둠의 부족이 되고, 달을 숭상하는 부족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 그것을 대표적으로 나타내 주는 동물이 반달가슴곰이 되네요..^^..

  • 08.09.15 13:20

    그런 의미에서 '웅진'은 중조의 왼쪽에 있었다라는 또 하나의 주장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만... 개성과 마찬가지로, 바다와 가까운 곳에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 작성자 08.09.15 13:55

    서쪽은 오른쪽이라 해야 맞습니다...북(배,뒤)를 등지고 보면...앞이 남쪽(음누=읍루?)이고여...곰이 대부분 검기에 검(金)자를 붙인건 맞아 보입니다...상고대엔 언어발달이 지극히 단순한 연관계계로 이어진다 봅니다,..웅(熊,雄)이라 했을 때도...곰족의 윗(토탈) 조상인 훈(환)족을 이른다 예상됩니다.

  • 작성자 08.09.15 14:03

    엄밀히 보면...서이,북이 등...단군조선과 삼국도 "동이"라고 간단하게 통칭했던 걸 보면...東"자가 상고대엔 꼭 왼쪽(동쪽)만을 의미한 단어같진 않습니다...중요한 건 이겁니다...동쪽의 東개념은...후대에나 도입된 것이다...파미르 이서도 東"자는 붙일 수 있다...허나,동자를 가장 즐겨 사용했던 곳은...또 그 유적유물이 자주 나오는 곳...역사가 말한 해동에 있단 동이의 "東"자..그 곳의 원고장은...현 만주일대와 천진,하남성,하북성..산동이다.

  • 08.09.15 19:54

    동쪽은 해가 뜨는 곳이 동쪽이죠, 서쪽은 해가 지는 곳이고요... 동쪽은 해가 상징이 되고, 서쪽은 달이 상징이 되겠죠....

  • 08.09.15 19:56

    본인의 의견과 학설을 관철시키기 위해서 무리수를 두게 되면, 스스로의 권위에 문제가 생기고, 괴변이 늘게 됩니다... 그것이 지나치게 되면, 다시, 이사람의 의도가 무엇인가?라는 의심을 받게 됩니다...

  • 작성자 08.09.15 20:14

    곰나루의 곰=고마...수도없이 들었던 나름대로 재야사학의 정설격인 얘기지만...물론,곰(熊)도 상징하지만...저는 금(金)나루에 더 확률을 둡니다...물에다가 곰탱이의 이미지는 뭔가 맞지도 않습니다...금수강산,금강,금자,금녀...뭔가 매끈하지 않습니까...?..또한 물은 검푸릅니다.

  • 08.09.15 20:22

    웅진의 웅은 곰을 상징하는 것이 맞습니다... 재야와 강단과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당연한 얘기를 한것입니다. 당연한 상식을 거부하시는 의도는 무엇인가요?... 본인이 마음에 안들면 받아들이지 않는 독선의식의 근원이 무엇인지 분석해 보고 싶은 욕망이 솓구치는 군요.... 예전부터 느끼는 것이지만, 저는 황덕표님보다 홍진영님이 더 관심이 갑니다...^^...

  • 08.09.15 20:24

    이 부분은 정신과적 질환이 분명하고, 철저히 본류와 사실을 거부하고 기괴한 animation들을 양산하는 '왜인'의 근성입니다... 스스로의 왕국을 만들고 싶어하는 내재된 욕구일 수 있습니다...

  • 08.09.15 21:52

    이제는 저한테도 모잘라서 홍진영님한테도 그런 말투를 쓰는군요. ^^;

  • 08.09.15 18:40

    震旦 그리고 東勝神洲 가 산동성을 말하는 것이고 주역에서는 帝出乎震 "제는 진단에서 나온다" 했으므로 산동성 과 하북성이 존경받는 지역 이었을 겁니다

  • 08.09.15 19:57

    특히 제가 관심을 가지는 지역이 티벳의 승려들이 모여 있는 곳들입니다....

  • 작성자 08.09.15 20:10

    최선생님께선...산동과 하북성을 이르신 겁니다.

  • 08.09.15 20:20

    저의 관점에서 보면, 산동은 티벳의 승려들이 있는 그곳이 맞습니다.^^.. 서로 의견은 달라도, 서로의 의견속에서 찾을 수 있는 좋은 정보들이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논쟁이 필요한 것이죠...

  • 작성자 08.09.15 21:35

    그 곳은 궂이 갖다 붙이자면... "영동"이 맞지 않을까 합니다...총령(파미르)의 동쪽...산보단 "산맥,령"등이 더 거대한 이미지가 연상됍니다.

  • 08.09.15 20:34

    제가 말하는 산은 천산입니다...

  • 08.09.15 20:35

    창조적인 글 보다는 지속적인 댓글로 소모성 논쟁을 끌고 가지 않았으면 합니다... 아직도 의견 개진할 것들이 저는 '무궁무진'합니다... 이제, 겨우, 역사의 진면목을 살며시 느끼게 되었는 것을요.... 그것을 거의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는 해당되지 않겠지만요....

  • 작성자 08.09.15 21:36

    네...제 나름의 짐작으로도...천산도 파미르 동쪽(령동)입니다.

  • 작성자 08.09.15 21:39

    소모적인 논쟁이라 하시니..섭섭합니다...김선생님...어느 댓글에선...갑론을박의 의견개진 중...진실에 다가가신다고 명언을 해 놓으시고선여...

  • 08.09.15 21:46

    선생님과의 논쟁은 진실에 다가설 수 없는 논쟁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고, 저의 역사연구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진실이나 사실 또한 고문의 근거가 나오는 것도 아니라서요... 상대방의 비판을 수용하는 것은 본인의 발전을 위해서 입니다. 그러기에 그 비판이 날카로와야 합니다.... 선생님의 비판은 날카롭다기 보다는 '장~황~하~다~~~'라고나 할까요...

  • 작성자 08.09.15 21:46

    인정합니다.

  • 08.09.15 21:46

    한얘기 또 하고, 그얘기 version up하여 또 하시고... 전 새로운 얘기에 귀를 기울이고 싶습니다...

  • 작성자 08.09.15 21:54

    지금 새로운 얘기 작성중입니다...잠시 기다려 주십시오...감선생님.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