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낸이 "光은 있을까?" <
1. 대 예언서에 대해 논하라
이사야(대예언서)
66장으로 구성
제1이사야(1-39장) : 여러 가지 주제와 상황에 대한 이사야 예언자의 설교
- 유다와 예루살렘이 어찌 될 것인지(1,1-12,6)
- 이방민족들이 거꾸러지리라(13,1-23,18)
- 심판의 그 날이 오면(24,1-27,13)
- 오직 하느님께 의지하는 것만이(28,1-35,10)
- 아시리아 침략을 받아(36,1-39,8)
제2이사야(40-55장) : 메시아에 관한 예언
- 광복의 기쁜 소식을 전하라(40,1-48,22)
- 고난받는 야훼의 종(49,1-55,13)
제3이사야(56-66장) : 메시아 도래에 대한 갈구 - 만민에게 동 터올 새시대(56,1-66,24)
예레미야(대예언서)
40년간 난세(亂世)의 위기에 처할 국가의 운명에 대한 예언
새 계약에 관한 예언
52장으로 구성
예루살렘은 멸망하리라(1,1-25,38)
하느님 심판과 새로운 계약(26.1-35,19)
예루살렘 함락과 예레미아의 수난(36,1- 45,5)
하느님 주권은 뭇 민족에 향하고(46,1-51,64)
하느님의 말씀은 이루어지고(52,1-34)
에제키엘! (대예언서)
이스라엘의 잘못에 대한 꾸짖음
새로운 계약을 통한 구원의 약속
새 계약의 조건
48장으로 구성
내가 너를 파수꾼으로 세운다(1,1-3,27)
야훼의 영광이 성전을 떠나다.(4,1-24,27)
이방 민족에 대한 심판을 예언하다(25,1- 32,32)
새 마음과 새 기운을 불어 넣어 주리라(33,1- 39,29)
야훼, 여기계시다(40,1-48,35)
2. 소 예언서에 대해 논하라
1. 구조
호세아에서 말라기서 까지의 소예언서를 가장 먼저 하나의 예언서로 취급하고 있는 것은 JesusSirach서 이다(주전 180, Sirr 44,1-50,24). 12 소예언서의 숫자에 대한 의미를 여기서는 야곱의자손들에 대한 구원과 희망을 말한다.(49,10) LXX-Dodekapropheton 역시 한 권으로 취급하고있다. 불가타는 소예언서라고 불렀고, 이는 각 단편들을 모두 더했을 경우 이사야서 분량이다.
지난 200년간 학자들은 이러한 점에 주의를 기울이지 못했다.
최근에 들어 12소예언서를 전체로 보는 연구들이 일어났으며, 각 예언서들의 구성과 그 구조 그리고 연결시키고 있는 단어들에 대한 연구인 공시적 연구와, 또한 그! 것들의 성장과 편집사에 대한 통시적 연구들이 이에 대해 문제제기를 일으켜 주었다. 각 예언서들의 현재순서 배열은 그 연대기적으로 배열되어있다. 8세기(호세아-요엘-아모스-오바댜-요나-미가), 7세기(나훔-하바국-스바냐), 6세기(학개-스가랴-말라기) 이런 연대기적 배열은 실제로 연대기별로 또한 각 책들의 생성시기별로 구성되어 있지는 않다. 특히 이는 요엘, 오바댜, 요나 그리고 말라기서이다. 이 예언서들은 역사 예언자들이 아니라 오히려 문서 예언자 또는 문학 예언자에 가깝다. 성서의 12소예언서의 연대기보다 더 후대의 것들이다. 8세기의 요나서는 왕하 14,25의 여로보암 2세때인 (호 1,1; 암1,1) 아밋대의 아들 요나와 관련시킨 것이다. 요나서는 4세기 때의 것이다. 요엘서의 경우는 그의 앞,뒤로 있는 호세아서와 아모스서에 대한 하나의 해석서이다. 오바댜서는 앞의 아모스서의 에돔 민족에 대한 연결 이야기이다. 말라기서는 스가랴서를 이어서 쓴 것이다. 12소예언서들의 배열에 있어서 그 표제어들이 곧 연대별로 나타나 있음을 볼 수 있으며, 야훼의 말씀, 또는환상, 계시 등의 공통적 표제어를 지니고 있다. 특히 각 책들이 연결고리 ! 단어들로써 서로를 연결시키고 있다.(참고 J.Nogalski, Literary Precursors 21-57) 호세아와 말라기서는 처음과 끝이다. 그 서로는 구조적으로 그리고 해석학적인 기능을 가진다.
호세아서는 특히 역사신학을 강조하고 있다. 이스라엘의 초기과정으로 야곱; 출애굽, 광야방랑,땅점령. 이는 12소예언서를 심판과 구원선포의 구조의 신학적 지평을 보여준다. 자기 백성인 이스라엘을 향하신 야훼의 영원한 사랑을 자신의 분노와 함께 끝내는 구원으로 이끈다. 호11장은중반부의 결론장이며 14장은 호세아서 전체의 최종 결론장이다. 특히 마지막절인 14,10은 자기백성인 이스라엘과 열국에 대한 야훼의 전역사의 마지막을 장식하는데 이는 의인과 불의한자를골라내는 심판이다.(참고: 그렇다면 이는 말라기서의 마지막 주제와 일치하며 성문서 처음인 시편1편과도 통일성을 이룬다) 이스라엘에 대한 야훼의 사랑은 의인과 불신실한자를 가르는 역사이다. 바로 이 관점이 말라기서에 나타난다. 말 1,2f,- 호 11,1; 14,5 에돔 관련: 요엘, 암, 옵) ?말라기서의 마지막 단락인 3,13-21은 12소예언서의 주요주제인 야훼의 날이 바로 의인을 구원하고 불신실한자를 심! 판하기 위해 오고 있음을 말한다. 호 14장과 말 3장은 구원의 길이 바로 '돌아감(회개)'이다. 이는 아모스에서 스가랴서의 내적 주제인 돌아오라는 예언자들의 선포를 호세아서와 말라기서가 앞.뒤로 감싸고 있는 것이다. 말3,22-24은 12소예언서의 결론일뿐만 아니라 예언서 전체의 결론이다.
2. 생성과 중심 신학
12소예언서에 대한 연구는 무엇보다도 그 생성시기에 있다. 여기 두가지의 방법론적 문제가 있다. 1) 각 예언서들내에서 볼 수 있는 여러 층들이 전반적으로 각 예언서 각각의 개정/편집으로돌려볼 것인가? 2) 각 예언서들에서 특히 처음과 끝에서 하나의 본문 덩어리를 만들려는 의도가있다는 간접증거들이 있는가?
다음과 같은 결과들을 얻게 되었는데, 1) 늦게 잡아도 포로기에 호세아, 아모스, 미가, 스바냐서는에언서들 1편으로 함께 연결되었다 (유다의 멸망으로 인한 절망적 상황의 경험과 포로기를 거치 면서) 2) 포로기 이후 초기에 학개와 스가랴 1-8장이 예언서들 2편 (성전재건과 사회.종교적 사 황 속에서 주민-성전-공동체) 3) 이 두편의 복합으로 요엘, 오바댜, 요나, 나훔, 하바국 그리고 스가랴서의 연재로 스가랴서 9! -11장과 12-14장 그리고 말라기서가 4. 3세기에 연결 (이방 열국에 한 이스라엘의 상황과 역사에 대한 종말론화가 중점 내용)예언서의 최종 형태는 스가랴 14장과 말라기가 이스라엘과 열국간의 상황에 대한 관점으로 Steck 를 따르면 주전 240에서 220년으로 본다. 그 이유로 프톨레미우스 3세와 셀루키스 2세간의 평화 협정기간.
12소예언서의 최종구성에 있어서 구조적으로 또한 주제에 있어서 역시 이사야서의 최종구성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이는 이사야서에서 말라기서까지 교차배열적 구조를 보인다. 그 둘은 시온중심과 우주적 마지막 환상의 내용을 갖고 있다.
3. 이사야에 대해 논하라.
'이사야'라는 이름은 히브리어의 '예사야후'(yesayahu = 야훼는 구원이시다. 야훼가 구원이시다. 야훼의 구원에서 나온 것으로 그의 메시지를 상징하기도 합니다. 이사야는 기원전 765년경 귀족출신 아모스(예언자 아모스가 아님)의 아들로 태어났습니다(22, 15 - 23). 기품이 당당하고 관용과 지혜가 출중하며 확고부동한 신앙을 가졌던 이사야는 기원전 740년경 하느님의 부르심을 받고 혼란했던 시대에 40년간 예언자로 활약하였습니다. 이사야는 하? 윱纛?부르심을 받고 이의를 제기하다가 순종하는 다른 예언자들과는 달리 사명과 파견을 제안하시는 야훼께 압도되어 자발적으로 응답합니다(6장). 이사야는 야훼 하느님의 위대하심과 거룩하심을 강조하면서 지도층에게 하느님을 신뢰하고 신앙에 바탕을 둔 올바른 정치를 하도록 권고합니다. 그리고 다윗의 후손 중에서 약속된 메시아가 탄생할 것이며 그날 은총의 새시대가 시작될 것이라는 희망을 불어넣어 줍니다. 이사야는 결혼을 했었으며 그의 아내도 예언자였습니다(8, 3). 그에게는 두 아들이 있었는데 그 이름은 '마헤르 살랄 하스 바스'("노략품을 속히", "전리품을 재빨리" : 8, 3)와 '스알야숩'("남은 자가 돌아올 것이다" : 7, 3)입니다. 이 이름들도 상징적인 예언으로 이사야가 민족에게 준 메시지의 두 가지 큰 주제를 말해주고 있습니다. 첫째 이름은 이스라엘이 우상숭배와 죄에서 돌아서기를 거부한다면 하느님께서 그 벌로 어떤 민족으로 하여금 그들을 정복케 하시고 오랫동안 남의 나라에서 포로생활을 하게 하신다는 것입니다. 둘째 이름은 하느님께서 이스라엘을 벌하신 후 포로생활에서 돌아오게 하실 것이나 그 기회는 남은 자에게만! 주어질 것임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탈무드 전승에 의하면 이사야는 히즈키야의 아들인 폭군 므낫세에 의해 톱으로 잘려 순교했다.
4. 예언자들의 성공비결
5. 한국의 예언자. 세계의 예언자. 예언자로서의 나. 교수님
한국의 예언자: 설총, 이고, 남사고, 최제우
세계의 예언자:
6.예언서 연구에 대해 배운점. 강의 제안
솔찍히 잘 모르겠다. 그러나 예언으로 통해 우리가 행하고 있는 것들이 주께 부합되지 않게해야 겠다는 생각뿐이다. 강의는 정말 재미있어서 앞으로도 그렇게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