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동당은 여유가 되면, 교육문제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 주었으면 한다.
<신문기사> 25일 헌법재판소에서 "사범대 졸업자 등에게 부여해온 가산점 제도가 위헌이라는 결정이 난 만큼 불이익을 본 응시생을 구제하는 방안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에 따라 소송 청구기간이 남아 있는 해당 탈락자의 관련 소송이 잇따를 전망이다.
<사범대학의 존립 문제> 사범대 89년 임용고시 제도 도입 이후, 또 한번 데모가 기다리고 있다. 문제의 핵심은, 왜 사범대학을 만들어 놓았는가이다. 사범대 입학한 학생들은 당연히 가산점에 대해서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인다. 사범대학 학생들이 이수해야 하는<교육학/교육방법> 관련 학점과 일반 대학에서 공부한 학생들이 이수해야 하는 학점숫자를 객관적으로 비교해야 하는 것이 문제의 핵심이다. 만약에 <교육학/교육방법>관련이 선생으로서 자격조건에 별 필요가 없다면 결론이 있으면, 사범대 출신이나 비-사범대 출신이나 별 차별이 없겠다. 하지만, <교육학/교육방법론>자체 학습이나 연구계발이 교육에 아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면, 문제는 달라진다.
<민주노동당의 대안 제시> 민주노동당은 민주노동당의 당 강령과 그 정신에 맞는 원칙을 세워서, 이러한 사회갈등 문제에 대해서 신속한 입장을 발표했으면 한다.
거시적으로 사범대학 (초-중-고 교사 배출)을 대신할 제도가 있는가? 일반대학 출신들이 예를들어서, 30학점 (10개 과목 이상)에서 60학점 (20과목), 시간으로는 1년, 혹은 2년간 사범대학에서 배우는 내용을 이수를 하면, 지금 사범대학 출신자들에게 주어지는 '가산점'을 받을 수 있게 하던가?
아니면, 사범대학을 폐지하고, 초-중-고등학교 교사 자격을 위한 전문 코스를 만들던가 (4년제 졸업자들이, 교육대학원 형식으로 1년 혹은 2년, 1년 반, 더 다니게 하는 방식: 즉 5학년-6학년 제도)?
<교육 문제와 사회정의>
민주노동당에서 이런 사범대학의 문제를 해결할 대안들을 제시해야 하는 이유는, 지금 도시-농촌간의 교육 여건 격차가 아주 커지고 있다는 것을 실제로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를 민주노동당이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의 사범대학, 교육대학 등이 도시-농촌 간의 격차를, 그리고 대도시 핵심-주변부의 차이를 더 크게 만들고 있는 부분이 있다면 어느 부분인가를 밝혀야 한다는 것이다. 모든 문제들을 뭉뚱그려 사교육시장의 문제다라고 해서는 곤란하기 때문이다.
<학원 선생들의 공교육으로 유입>
시론적이나마 대안을 제시하라고 한다면, 지금 사교육에 종사하는 학원 선생들이 공식적인 교사 자격증을 받을 수 있도록, 현행 사범대학내 1년, 혹은 2년 (5학년, 6학년 과정) 교육학 과정을 마련하고, 이를 이수하면 학원이 아닌, 공립/사립 학교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지금 중요한 것은, 학생 숫자: 선생 숫자의 비율을 줄이고 (이미 인구 감소로 이뤄지고 있는 곳도 있지만, 선생:학생 1:20 혹은 1:15 수준으로 낮춰야 함) 교사의 행정업무를 줄이고, 교사들이 자체 연구시간을 가지도록 재정적 지원과/연구시간을 늘리고, 배려해줘야 한다는 것이다. 민주노동당은 중-장기적으로 입시관련 학원 강사들을 공-교육으로 흡수할 수 있는 정책들을 계속해서 계발해야 한다.
아울러, 지방 자치에서, SOC 사회간접자본과 산업을 비롯한, <교육> <보건> <경찰> <공무원> 이 분야는 민주노동당에서 중장기적으로 신경을 써야 하고, 그 해당 담당자들을 발굴해야 한다.
결론을 말하자면, 이번 <헌법 재판소>의 판결, 형평성 문제는 이해가 가지만, 제도적 장치를 만들지 않고서 형식적 형평성 문제만을 논하는 것은, 실제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본다. 사범대 존립 문제와 <전문 교육대학원 설치> 혹은 학부 과정에서부터 5학년제도를 도입하던가 하는 등 실질적인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