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세계 고속철도 보유국 (우리나라가 세계 5번째 고속철도 보유국이 됨)
-세계 최초 : 1964 : 일본 신간센 ( 도쿄 - 오사카를 당시 세계 최고 속도 시속 210km, 도쿄 올림픽 개막 10일전 개통) 515.4km
1981 : 프랑스 테제베(TGV) : 파리 - 리용 426km
1991 :-독 일 이체 (ICE) 뭰헨-함부르크(신선: 하노버- 버츠부르크) 327km
1992 : 스페인 아베
2004 :- 한국 KTX 개통
2010 . 11. 1 : KTX 2 (산천) 운행 (최고속도 시속 300km 전용선은 시속 350km 설계됨) 417.5km
*. 총공사기간 20여년 , 총사업비 20조7282억원 투입, 현장투입연인원 1200여만명
- 건설 경위
- 1987년 12월 노태우 민정당대통령 후보가 대선공약
- 1992년 4월 고속철도건설공단 출범하고, 6월에 착공식 (천안-대전간의 34.4km 시험선 4개공구 구간의 첫공사 실시)
*> 건설논의는 1970년초 박정희 정권시절 국가 물류망의 기본축인 경부고속도로의 수송력 한계를 극복하기위하여
구상 하였으며, 당시에는 서울 -부산 간이 아니라, 서울 -대전 구간 이였고,
박정희 대통령은 서해안 지역에 있는 로켓기지 근무자들이 서울을 쉽게 왕래 할수 있도록 서울 -대전구간을 구상했다
- 경부고속철도는 노선. 설계변경논란, 차량의 선정의혹, 부실공사파문으로 잡음이 끊이지 않았으며,
- 고속철도 건설경험이 없어 많은 시행착오와 건설기간동안 성수대교 와 삼풍백화점붕괴, 외환위기(IMF)가 닥쳤으며
- 김영삼정권에서 김대중 정권으로 교체되는 시기에는 백지화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 2003 년2단계 사업구간인 원효터널의 경우 노선 재검토로 9개월 지연
*. 원효터널 (13. 28km )은 원효산, 천성산, 정족산 등 3개의 산을 관통하며
,사회적 큰 이슈가 된 승려 지율의 단식투쟁
- 지율승려의 천성산 도료룡 살리기 환경운동 문제로 공사가 일시 중단됨
- 차량선정에 대한 기술이전 검토
- 당시 독일의 지멘스사의 이체가 가장 최신차 이였고,유도 전동기 방식을 채택하고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효율면
에서도 우수한 최첨단이였고,
- 일본의 신칸센은 한국의 지형과 인구밀도가 비슷하고 여러가지 유리한점이 많앗으나,민족 감정으로 최대 단점이였음
-프랑스의 알스톰사의 테제베가 동기전동기 방식 으로 엎치락뒤치락 경합 끝에 선정됨
또한 강화도 에서 약탈해간 문화재(조선실록 및 의궤 등)를 반환 해 줄듯이 인심도 썼으나 , 아직까지 미해결
* 당시 일본의 신칸센이나 독일의 이체는 시속 300km 고속열차를 운영해본 경험이 없고, 프랑스 테제베는
시속300km를 안전하게 운행 중이 였음
- 향후 해외 기술수출 추진
- 새로 개통되는 대구 -부산구간은 선로에 자갈이 아닌 시멘트로 깔았으며,
- 현재 건설중인 대만고속철도 6개공구중 3개에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우건설 등 우리업체가 국내경험을 바탕으로진출
- 중국의 고속철도 건설에 참여 가능
- 향후 ,미국고속철도에 우리나라 기술 경험이 진출예상되며 , 켈리포니아주와 MOU 체결
-, 대륙간 횡단철도 건설 참여 가능 검토 필요:
TKR(한반도 종단철도), TSR (시베리아유라시아횡단철도),
TGR((몽골횡단철도) TMR(만주횡단철도) ,TCR (중국횡단철도)
- 차세대 자기부상열차 연구 중 ( 조만간에 인천공항에 시험선 개통예정
-브라질 지우마호세프 의 친한파가 대통령에 당선되므로 상파울루에서 리오데자네이루 까지 연결하는 고속철도
건설사업에 한국. 중국 .독일 .일본이 경합중에 우리나라가 유리한 고지에 있음
첫댓글 와!!! 조회수가 너무많다..... 관심들이 대단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