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뮬라시옹 시뮬라크르 Simulation Simulacra 仿象 虚拟
아내를 살해한 누명을 쓰고 쫓겨다니는 코브(디카프리오)에게 흥미로운 제안이 들어왔다. 사이토의 제안은 세계적인 독점기업의 후계자인 피셔 스스로 기업을 분할하도록 만들라는 것이다. 피셔의 생각을 바꾸게 만드는 방법은 그의 꿈속으로 들어가서 생각을 심어놓는 인셉션(inception)이다. 정교하게 꿈을 설계한 코브 일행은 비행기에 동승하여 사투 끝에 피셔의 생각을 바꾸었고, 그 대가로 코브는 아이들에게로 돌아간다. 세계영화사에 특별한 이름을 남긴 놀란(C. Nolan) 감독의 2010년 작품 <인셥션>은 가상과 현실의 문제를 다룬 철학적인 영화다.
이 영화에서는 무엇이 사실이고 무엇이 비사실인지 불확실하다. 현실보다 더 현실적이고 극적이며, 역동적인 가상현실이 현실을 지배하기까지 한다. 일찍이 장자는 <호접지몽>에서 꿈과 현실이 구분되지 않는다고 말한 바 있고, 플라톤은 본질인 이데아의 세계와 동굴벽에 비치는 허상을 나누었으며, 한유는 <도원도>에서 ‘세상이 사실인지 거짓인지 어찌 알리오(世俗寧知僞與眞)’라고 쓴 바 있다. 이런 사유는 장 보드리야르(J. Baudrillard 1929 - 2007)와 움베르또 에코를 비롯한 포스트모더니즘 철학자들에 의해서 가상과 현실이 구분되지 않으며 가상이 실재라는 특별한 시각으로 진화했다. 한편 들뢰즈는 차이 그 자체가 중요한 것이고, 차이야말로 내적 유사성을 넘어서는 실재*라고 보았다.
보드리야르는 대중매체를 부정적으로 대했으나 대중매체의 발달에 주목하면서 시뮬라시옹이라는 단어에 특별한 개념을 부여했다. 시뮬라시옹은 자동차 가상 설계나 컴퓨터의 3D 작업과 같은 원리인데 보드리야르는 사실, 실재, 현실, 존재와 연결되어 있는 ‘유사한 재현’이라는 의미로 쓴다. 시뮬라시옹은 유사성(similarity)의 시뮬라크르가 작용하는 것으로 ‘가상의 재현’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그 재현은 실재를 복사한 것이 아니고 그 자체로 독립적인 시뮬라크르의 하이퍼리얼(hyperreal)이다. 또한 그는 사실성의 충실한 반영, 사실성의 개입, 사실인 것처럼 보이는 것, 시뮬라크르의 하이퍼리얼 등 네 단계로 구분하면서 이들은 모두 구조와 관계 속에서 의미를 획득한다고 주장했다.
시뮬라크르는 가상이지만 현실과 같으면서 현실보다 더 현실적인 실재다. 또한 존재하지 않지만 존재하는 것과 같고 현실보다 더 생생하게 인식된다. 보드리야르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인간은 실재보다 더 실재적이고, 현실보다 더 현실적이며, 사실보다 더 사실적인 세상에서 살게 되었다고 말한다. 이제 현대인들은 답답하고, 척박하며, 재미없는 현실보다 디즈니랜드와 같은 환상적이고 화려하며, 황홀하고 자극적인 가상의 시뮬라크르를 더 좋아하게 되었다. 또한 현대인들은 상품이 아닌 광고를 소비하는 한편 미디어의 욕망을 사고 파는 것처럼 실재와 무관한 이미지인 시뮬라크르가 현실을 대치해 버렸다. 비록 보드리야르가 영화 <매트릭스>의 가상현실은 자신의 시뮬라시옹과 무관하다고 말했지만, 적어도 감독은 그의 이론을 토대로 상상력을 발휘했다는 것만은 분명하다.
한마디로 무엇을 그대로 재현하지 않고 다르게 재현된 것이 바로 시뮬라크르다. 가령 신은 실재하는지 증명할 수는 없을지 모르지만 인간의 지각 속에서 실재하는 것과 같은 원리다. 현실의 실재를 넘어서는 또 다른 실재가 있다는 보드리야르의 이 이론은 사실주의자 또는 현실주의자로부터 거센 비판을 받는다. 인간이 살고 있는 ‘지금 여기의 현실’이 실재하는데, 그 실재를 호도(糊塗)하고 왜곡한다는 이유 때문이다. 특히 기호학, 후기구조주의, 포스트모더니즘은 현실을 왜곡하여 이론화함으로써 사람들에게 건강하고 정직한 현실인식을 가로막는다는 것이다. 이 비판처럼 현실 그 자체도 존재하지만 가상과 가상이 창조하는 또 다른 현실과 실재도 존재한다는 것을 부정하기 어렵다.
- 끝 - (충북문화예술연구소장 / 충북대교수 김승환)
목요학습 171 Thursday Study 星期四学习 2011년 2월 10일(목)
*참고나 인용을 했을 경우에는 출처를 밝혀야 합니다. 표절은 범죄입니다.
*참고문헌 Jean Baudrillard, Simulacra and Simulation, trans. Sheila Faria Glaser, (Ann Arbor :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4).
*Gilles Deleuze, Difference and Repetition, trans. Paul Patton. (Columbia : Columbia University Press, 1968), pp.298-300.
*참조 목요학습 147 <증강현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