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수원대학교 교수협의회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연재소설 및 에세이 생명탈핵 실크로드 방문기 4 - 스탈린의 고려인 강제이주
무심거사 추천 0 조회 278 19.10.07 08:40 댓글 6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9.10.08 08:21

    첫댓글 1937년 당시 소련거주 고려인들의 강제이주는 오늘날 우리에게도 참 슬픈 이야기입니다.
    사진: 블라디보스톡 근교 한인촌 20세기초

  • 19.10.08 08:45

    - 1930년대 독일의 유명한 근대건축가 브루노 타우트는 모스코바에서 망명생활을 하던 중 일본 건축학회의 초청으로 일본 방문길에 한반도를 종단한 적이 있습니다. 그는 일기에 시베리아철도 종착역인 블라디보스톡에서 며칠 쉬면서 한인촌을 방문해서 받은 인상을 이렇게 적었습니다.

    ‘그들이 사는 골목과 집들이 너무 단아해서 눈물이 날 지경이었다.’

  • 19.10.08 08:21

    강제이주 요인 3가지 가운데 소련 입장에서 일본첩자의 침투를 방지한다는 주장이 공식문서에 근거하면서 가장 설득력 있다고 합니다.
    사진: 소련거주 고려인 1930년대

  • 19.10.08 08:24

    사진: 강제이주당한 고려인가족 1937

  • 19.10.08 08:27

    관련문헌을 찾는 중 4번째 요인을 발견했습니다. 일본과 소련이 공동이해관계에 따라 양자가 합의해서 실행한 조치라는 주장입니다.
    1937년 10월 25일 17만명이 넘는 고려인 강제이주를 완료했다고 공식 보고했고, 그 이후 11월에는 캄차카에 거주하던 고려인 어부와 심지어 사업상 일시 체류하던 고려인까지 추가로 이주시킨 사실도 있다고 합니다.
    곰곰이 생각해 보니, 일본의 입장에서 대한독립운동의 기지로서 중요한 역할하고 있던 접경지역인 만주와 연해주 지역에 대한 대책에 부심했을 것입니다.

    사진: 러시아 거주 독립군 1925년경.

  • 19.10.08 08:25

    접경지역 소수민족이었던 우리 한민족을 대할 때, 당시 중국과 소련은 동일한 공산당 지배체제이었지만 상반된 선택을 한 셈입니다. 그 이전 두 나라는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에서 모두 일본에 패하면서 자칭 대국으로서의 체면을 크게 훼손당했다는 점도 유사합니다. 당시 제국주의 일본과의 대립상황에서 중국은 조선인과 손잡고 항일투쟁을 한 반면에 소련은 고려인을 배제시켰습니다.

    참고사진: http://www.koryosaram.net/photos/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