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Rail+ 철도동호회
 
 
 
카페 게시글
ⓐ 철도외 공공교통 만약 여수공항을 확장하여...
불국사역 추천 0 조회 472 13.05.31 19:32 댓글 10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3.06.01 03:46

    첫댓글 설령 그랬다고 해도 국제선 편수는 무안과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겁니다. (당장 대구만 보아도)

  • 작성자 13.06.01 08:38

    그래도 주변에 수요도시가 많이 분포하기에 가능하지 않았을까요
    대구는 김해공항과 빠른시간대의 KTX때문에 한계가 있었다고 봅니다
    여수공항주변으로 순천,광양,광주,목포,진주,남원 조금 멀리 전주까지 수요지로 볼수 있지요
    호남고속선을 대전경유 논산,전주,정읍,광주,순천으로 했다면 무안경유 이런소리 안했겠죠
    KTX타고 인천공항가면 되지 하지만 국제편이용도 저가로 가려하는 세상입니다
    인천공항까지 2시간 반 더 걸리죠 요금도 적은게 아닙니다. 외국단거리요금반값수준입니다
    저가항공사들어오고 가깝고 저렴한 경비를 무기로 한다면 호남권 주요공항발전가능성 있다봅니다
    교통이 빠르고 편리하면 제주수요 전주,진주까지도 땡기죠

  • 13.06.01 10:43

    그런 논리라면 애초에 무안, 양양등이 망할이유가 없는 거지요.
    수요지가 문제가 아닙니다.
    수요자가 얼마나 있느냐가 중요한거죠.

  • 13.06.01 11:02

    국내 다른 공항의 사례로 볼 때 여수, 순천, 광양 외에는 수요처라고 주장하기엔 민망합니다.
    전주 이북은 편수도 많고 선택권도 훨씬 다양한 인천을 이용할테고, 진주도 김해를 갔으면 갔지 여수를 갈 이유가 없습니다.

  • 작성자 13.06.01 17:08

    비행기타러고 공항 무작정가서 타는것도 아닙니다
    어디로 갈지 정해지면 네트워크를 통해 전국 공항 항공편을 알아보고 준비합니다
    요즘은 비교적
    1.가까운공항
    2.편리한 교통
    3.저렴한 항공료
    4.시간적 편리성이 우선이죠
    경유항공편도 유치할수도 있으테구요
    양양,무안처럼 예전에 지역이기주위로 경유를 해도 자기동내가 마지막 시종착점 이여야한다는 억지로 결국 유령공항처럼 만든거지만 타협하면 가능성 있다봅니다
    국제노선이 생기면 지역 여행사가 먼저 움직이고 수요를 이끌기도 하죠
    광양항이라는 대형국제무역항만도 있기에 무역의 빠른 시간싸움에도 유리하다봅니다
    부산도 그런 이유로 신항 가까이 신공항유치를 추진한거죠

  • 13.06.01 10:58

    여수에 저가항공사? 그게 가능이나 할까요. 아무것도 안 하고 있는 것 보다는 낫겠습니다만...

    탑승률을 높게 유지해야 이익이 나는 저가항공사가 여수 '따위' 에 관심을 둘 것이라 기대하는 것도 어불성설이고,
    설령 그만한 수요가 있다고 하더라도 기회비용, 기재 로테이션 등 다양한 이유로 실제로 들어 갈 확률은 매우 낮습니다.

    오히려 외항사 한두 곳이 관심을 가질라나요? 물론 중국동방항공 이외에는 딱히 떠오르는 데가 없네요.

  • 13.06.01 10:55

    전 개인적으로 호남권의 대표도시인 광주공항을 확장하기를 바랬으나 소음문제 및 군공항이라는 것 때문에 실현되지 못하고 무안에 공항을 지었죠.
    그런데 장기적으로 보면 무안공항이 나중엔 성공할 수 있으리라고 봅니다. 호남고속철도 개통되면 자연스럽게 국내선은 무안으로 이전될것이고, 광주무안간 ktx 개통 및 공항 접근성이 향상되고 전라남북도의 관문으로 자리매김한다면 성적이 좋아지리라 봅니다.

    지금 무안공항 망했다고 보기에는 아직 이르지 않을까요?

  • 13.06.01 11:15

    서울 노선은 없어지겠지만 제주 노선이 하루 수 편을 운항하기에 충분한 바, 광주공항 폐쇄 와 같은 인위적인 방법을 취하지 않는 이상 항공사들이 자발적으로 광주를 떠나고 무안으로 향할 가능성은 없습니다.

    무안에 KTX가 뚫리느니 마니 보다 더 중요한 문제는 광주공항의 이전인데
    (역시 위에서 언급했던 기재 운용 문제 - 제주 노선이 광주에 비해 매우 취약해 국제선을 운항하기가 쉽지 않음)
    광주공항의 존재 목적 중 하나가 군공항 피해에 대한 보상 차원인 것도 있어서 민항기능만 무안으로 옮기는 것도 현실적으로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전라남도 역시 입장이 강경하여 뾰족한 수가 보이진 않는군요.

  • 13.06.01 18:50

    불국사역 님 께서는 항공운송산업의 특성에 대해서 조금 더 공부를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1, 2, 3, 4번은 현실의 예 몇 가지만 찾아 보셔도 본인의 주장이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이해하실 수 있을 겁니다.
    (ex. 부산에서 가깝고 교통 편리하고 싸고 빠른 김해공항 놓고 인천까지 가서 베이징을 가는 사람이 직항보다 더 많은 이유?)

  • 13.06.01 19:14

    경유편에 대해서 언급하자면...
    항공운송은 선박운송과는 다르게 국제 운송을 할 때 '운수권' 이란 법적 권한이 필요합니다. 이 운수권은 노선의 당사국이나 항공기의 소속 국 정부가 외교적으로 협상해 얻어내는 권리입니다.
    경유편의 경우 각종 운수권 들 중에서 '제 5자유' 라는 운수권이 핵심적인데, 이 5자유 운수권은 중간 경유국과 최종 목적국 간의 여객운송을 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때문에 경유국과 목적국의 항공시장에 새로운 경쟁자가 등장하는 셈이고, 이는 시장 개방 개념과 맞물려 외교적으로 쉽지 않은 문제입니다.

    댓글로 말씀드리기에는 다소 길고 어려운 내용이라 직접 찾아 보시는 것을 권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