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올투자증권 반도체/소부장 고영민, 김연미]
반도체(1Q25 대형주 Preview)
- 업황 개선? or 수요 교란?
💡 핵심 주제 & 아이디어 요약
"관세 불확실성으로 상반기 실적 모멘텀 극대화가 예상됩니다. 다만, 이는 업황 조기 개선보다 수요 교란으로 판단합니다.
연간 레거시 수요 레벨 상향 단서 포착 전까지는 최근 동향과 무관하게 펀더멘털 중심(AI) 전략이 중요하며,
현 시점은 매크로 변동성 구간이라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SK하이닉스에 대한 최선호주 의견을 유지하며, 삼성전자는 저점 레벨 우상향 측면의 좁은폭 트레이딩 접근이 유효할 전망입니다."
▶️ 1Q25 컨센서스 상회 전망 - 중국 정책효과 및 관세 불확실성 Pull-in
» 1Q25 요약
- 삼성전자 OP 4.9조원(컨센서스 5.3조원), SK하이닉스 OP 7.2조원(컨센서스 6.3조원) 전망
- 중국 이구환신 및 관세 불확실성에 따른 선제적 재고 확충 수요 발생
→ 레거시 ASP 반등은 2월 이후 부각, 2분기 중 가장 강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
» SK하이닉스 중심 강한 서프라이즈
- 배경 1) DRAM, HBM이 견고한 가운데 레거시 제품 가격 낙폭 축소로 믹스 효과 지속
- 배경 2) NAND, 고용량 eSSD는 여전히 SK하이닉스가 메인 M/S로 공급 → Pull-in 효과 쏠림 추정
▶️ 연간 ASP 전망 - 총 수요는 동일, 궤적은 상반기와 하반기의 스위칭
- 근본적 레거시 수요 회복은 온디바이스 효과와 함께
- 온디바이스 효과는 25년보다 26년 본격화 유력
→ 기존 전망 대비 25년 연간 수요 레벨 변동 X
- ASP 궤적: 2분기까지 반등 이후 추가 수요 효과 부재시, 3분기 중 일시적 재고 조정 속 주가 재하락 가능성
▶️ 세부 목차
Ⅰ. 체크 포인트① 중국 정책효과(재고 소진) 및 관세 불확실성(재고 축적)
Ⅱ. 체크 포인트② 연간 수요 흐름 및 분기별 가격 전망
Ⅲ. SK하이닉스 - AI 제품 경쟁력이 만든 수요 쏠림
Ⅳ. 삼성전자 - 1분기 실적 저점 가능성 확대
📑 자료: https://buly.kr/CLyuQc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