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8월 18일 연중 제20주일
제1독서
<내 빵을 먹고 내가 섞은 술을 마셔라.>
▥ 잠언의 말씀입니다.9,1-6
1 지혜가 일곱 기둥을 깎아 자기 집을 지었다.
2 짐승을 잡고 술에 향료를 섞고 상을 차렸다.
3 이제 시녀들을 보내어 성읍 언덕 위에서 외치게 한다.
4 “어리석은 이는 누구나 이리로 들어와라!”
지각없는 이에게 지혜가 말한다.
5 “너희는 와서 내 빵을 먹고 내가 섞은 술을 마셔라.
6 어리석음을 버리고 살아라. 예지의 길을 걸어라.”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제2독서
<주님의 뜻이 무엇인지 깨달으십시오.>
▥ 사도 바오로의 에페소서 말씀입니다.5,15-20
형제 여러분, 15 미련한 사람이 아니라
지혜로운 사람으로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잘 살펴보십시오.
16 시간을 잘 쓰십시오. 지금은 악한 때입니다.
17 그러니 어리석은 자가 되지 말고, 주님의 뜻이 무엇인지 깨달으십시오.
18 술에 취하지 마십시오. 거기에서 방탕이 나옵니다.
오히려 성령으로 충만해지십시오.
19 시편과 찬미가와 영가로 서로 화답하고,
마음으로 주님께 노래하며 그분을 찬양하십시오.
20 그러면서 모든 일에 언제나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하느님 아버지께 감사를 드리십시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내 살은 참된 양식이고 내 피는 참된 음료다.>
✠ 요한이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6,51-58
그때에 예수님께서 군중에게 말씀하셨다.
51 “나는 하늘에서 내려온 살아 있는 빵이다.
누구든지 이 빵을 먹으면 영원히 살 것이다.
내가 줄 빵은 세상에 생명을 주는 나의 살이다.”
52 그러자 “저 사람이 어떻게 자기 살을
우리에게 먹으라고 줄 수 있단 말인가?” 하며,
유다인들 사이에 말다툼이 벌어졌다.
53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이르셨다.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가 사람의 아들의 살을 먹지 않고 그의 피를 마시지 않으면,
너희는 생명을 얻지 못한다.
54 그러나 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사람은 영원한 생명을 얻고,
나도 마지막 날에 그를 다시 살릴 것이다.
55 내 살은 참된 양식이고 내 피는 참된 음료다.
56 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사람은 내 안에 머무르고,
나도 그 사람 안에 머무른다.
57 살아 계신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셨고 내가 아버지로 말미암아 사는 것과 같이,
나를 먹는 사람도 나로 말미암아 살 것이다.
58 이것이 하늘에서 내려온 빵이다.
너희 조상들이 먹고도 죽은 것과는 달리,
이 빵을 먹는 사람은 영원히 살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와신상담(臥薪嘗膽)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한자를 풀이하면 장작 위에 눕고 쓸개를 맛본다는 뜻입니다.
그러나 이 안에는 ‘복수’가 담겨 있습니다.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오와 월이라는 두 나라는 서로 다투며 원한을 주고받았는데,
먼저 월의 왕이 급습해서 오나라의 왕을 죽인 것입니다.
아버지를 잃은 오나라의 새 왕은 장작더미 위에서 잠을 자며 복수를 맹세하지요.
시간이 지나 월을 공격한 오나라는 월나라를 철저하게 파괴합니다.
이후 월나라 왕은 곰의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했고,
결국 오나라를 쳐서 복수에 성공합니다.
와신상담 끝에 복수에 성공해서 남는 것이 무엇일까요?
복수에 성공했을 때는 순간의 만족과 기쁨이 있었겠지만,
결국 아픔과 상처만을 남기고 또 다른 복수를 만들 뿐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피해는 힘없는 사람들에게 더 크게 다가옵니다.
역사 안에서 전쟁은 결국 모두 망하는 길임을 보여줍니다.
그래서 평화를 쫓아야 합니다. 평화만이 모두를 살리는 길입니다.
하지만 자기만족만을 위해 복수를 다짐하고
실행하면서 어리석은 길을 가고 있는 것이 아닐까요?
예수님께서 강조하신 사랑의 길은 모두를 위한 길이었습니다.
특별한 사람만이 아닌, 죄인이나 의인이나 상관없이 함께
살아가도록 하는 그래서 구원의 길로 나아가는 길이었습니다.
그런데 이 주님의 뜻에 반대되는 모습이 내 안에서
그리고 우리 주위에서 너무나 자주 보입니다.
국가 간의 전쟁도, 또 개인 간의 원한도,
또 스스로를 사랑하지 못하는 모든 모습이 망하는 길로 가는 것이었습니다.
과연 어떤 길을 선택해야 지혜로운 사람이라 할 수 있을까요?
제1독서의 잠언은 “어리석음을 버리고 살아라.
예지의 길을 걸어라.”라고 우리에게 말합니다.
순간의 만족만을 위한 삶은 어리석음의 길을 가는 것입니다.
지혜로운 삶은 순간의 만족이 아닌 영원한 만족을 따라야 합니다.
그래서 예수님은 당신 자신을 하늘에서 내려온 살아 있는 빵이라고 하시면서,
이 살을 먹고 피를 마시지 않으면 영원한 생명을 얻지 못한다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물론 당시의 유다인은 “저 사람이 어떻게 자기 살을
우리에게 먹으라고 줄 수 있단 말인가?”라면서 말다툼을 벌입니다.
하지만 예수님께서는 직접 살과 피를 먹고 마시라는 것이 아닌,
성사적 표지로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 그리고
생명을 주고받는 그분의 신비에 참여하라는 것이었습니다.
미사 때마다 우리는 주님의 성체를 모십니다.
단순한 먹거리로 우리에게 주시는 것이 아닙니다.
제2독서에 바오로 사도는 “주님의 뜻이 무엇인지 깨달으십시오.”라고 하십니다.
당신을 받아 모신다는 것은 주님과 함께한다는 것입니다.
즉, 사랑의 삶을 살면서 우리의 구원을 위해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순간의 만족이 아닌, 영원한 만족을 좇을 수 있는 우리가 되어야 합니다.
주님을 받아 모시면서 더 사랑하며 살아야 합니다.
사랑의 길만이 우리 모두를 위한 길입니다.
오늘의 명언:
군자는 마음이 평안하고 차분하다,
소인은 항상 근심하고 걱정한다(공자).
사진설명: 내 살은 참된 양식이고 내 피는 참된 음료다.
첫댓글 요셉 형제님 늘 ~~~~ 감사합니다
주님의 은총이 충만하시기를 빕니다.
댓글에 감사드려요~^*^
더운 날씨에 건강하시기 바람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