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 월별 개화 시기
산에서… 들에서…
얼음 뚫고 올라오는 꽃이 전하는 말
“봄이다~~”

처녀치마. 산지 그늘 습기 많은 곳에 서식 잎이 땅바닥에 사방으로 흩어져
그 모습이 치마와 비슷해서 명명
야생화들이 봄기운을 전한다.
겨우내 움츠리게 했던 음기운은 서서히 수그러들고,
기지개를 펴게 하는 양기운이 세상을 덮칠 기세다.
얼음을, 눈을 뚫고 나오는 복수초에게서 생명의 경외감을 느낀다.
복수초를 시작으로 산수유, 매화, 벚꽃 등
봄의 전령들이 일제히 나를 보란 듯 화려한 얼굴을 내민다.
세상을 화려하게 수놓는다. 그렇게 봄은 시작된다.
야생화와 계절이 맺은 인연 따라 매월 다른 꽃들이 핀다.
또 다른 세상의 얼굴이다.

산수유. 층층나무과의 낙엽교목 전남 구례, 경기 이천 등서 서식
술과 차, 한약 재료로 사용
2月 복수초, 매화, 너도바람꽃, 산수유

복수초. 얼음 뚫고 올라오는 ‘봄의 전령’ 고유 이름은 수복초,
일본 이름 차용 전국 산지나 숲에서 서식하는 다년생 초본

얼레지. 백합과 여러해살이풀 잎에 핏빛 무늬 있어 유래 가재무릇이라고 하며,
꽃말은 ‘질투’
3月 생강나무, 얼레지, 금붓꽃, 노랑붓꽃, 변산바람꽃, 진달래, 유채꽃, 꽃다지, 쇠별꽃, 노루귀, 히어리, 꿩의바람꽃, 목련, 박태기나무, 솜나물, 개별꽃, 앉은부채, 깽깽이풀, 솜방망이

변산바람꽃. 변산에서 채집한 한국특산종 햇빛 잘 드는 습윤한 산지서 서식 마이산·지리산·한라산 등지서도 자라

노랑제비꽃. 노란색 꽃이 피는 제비꽃 노랑오랑캐·단화근채·소근채라고도 북한·도봉산이 노랑제비꽃 보고
4月 벚꽃, 제비꽃, 둥근털제비꽃, 꿩의바람꽃, 산벚나무, 현호색, 수달래, 은난초, 각시붓꽃, 광대나물, 섬초롱꽃, 애기똥풀, 홀아비바람꽃, 조팝나무, 애기나리, 은난초

꿩의바람꽃. 꽃잎이 꿩 날개같이 생겨 유래 숲속에서만 서식
한국, 중국, 러시아 등지 분포

노랑무늬붓꽃. 우리 특산식물 다년생 초본 오대산·대관령·태백산 등지 서식
음습하고 비옥한 토양서 자라
5月 왜현호색, 호랑버들, 철쭉, 피나물, 노랑무늬붓꽃, 노루오줌, 산마늘, 금강봄맞이, 때죽나무, 애기도라지, 홍가시나무꽃, 술패랭이꽃, 기린초, 터리풀, 지리터리풀, 하늘나리

호랑버들. 제주·울릉 제외한 전국 산지 분포 암수 딴 그루로
잎보다 꽃이 먼저 피어 주로 축축한 산기슭에 서식

금강애기나리. 높고 깊은 산 속에 서식. 침엽수림 주변 자생.
잎은 둥글레와 애기나리와 비슷
6月 벌깨덩굴, 병꽃나무, 금강애기나리, 산딸나무, 범꼬리, 노각나무, 털쥐손이, 백당나무, 비비추, 개불알꽃, 털종나리, 산수국, 어리연꽃, 옥잠난초, 가는장구채, 솔나물, 긴산꼬리풀, 선말나리, 찔레꽃

큰개불알풀. 중부 이남서 자라는 2년생 초본. 모양이 개 불알 같아 명명.
어린 순은 식용, 주로 관상용

문주란. 수선화과 다년생 초본. 햇볕 잘 드는 모래땅에서 서식.
잎은 약재로 주로 관상용
7月 소귀나무, 자귀나무, 자주꿩의다리, 탐라산수국, 갯패랭이꽃, 문주란, 원추리, 참나리, 벌개미취, 대홍란, 갯쑥부쟁이, 해국, 갯강활, 가시연꽃, 나도생강, 말오줌때, 갯까치수염, 접시꽃, 범꼬리, 부레옥잠

참나리. 한국 산야에 흔히 서식. 꽃잎이 뒤로 말렸다 해서 권단이라고도 불러.
식물 유전자원 보호가치 높아.

사위질빵. 산과 들에 흔한 덩굴식물. 굵은 줄기도 잘 끊어져.
줄기와 뿌리는 한약재로 사용식물 유전자원 보호가치 높아.
8月 증증잔대, 사위질빵, 개연꽃, 쑥부쟁이, 둥근잎택시, 무릇, 송장풀, 수까치깨, 익모초, 자귀풀, 좀비비추, 물질경이, 참나리, 섬쑥부쟁이, 큰뀡의비름
쑥부쟁이.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양지바르고 물기 많은 곳 서식.
한방에서 해열제와 이뇨제로 사용.

큰꿩의비름. 생명력 있게 어디서나 잘 자라. 어린 새순은 나물로 먹어.
꽃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도 재배.
9月 야고, 차나무, 둥근잔대, 바늘엉겅퀴, 양하, 석산, 좀어리연꽃, 거지덩굴,
고마리, 꿩의비름, 눈괴불주머니, 금목서, 송악, 백양꽃, 구절초,
말오줌때, 좀작살나무, 수까치깨

구절초. 음력 9월 9일에 꺾이는 풀이라는 데서 유래.
구일초·선모초라고도 불러. 부인병 약재로 활용

산부추. 이름 그대로 산에서 자라는 부추. 산기슭이나 양지 초원에 두루 서식.
꽃이 폭죽 같아 눈길 끌어
10月 털머위, 갯사상자, 바위떡풀, 송이풀, 주금조개풀, 하수오, 한라개승마, 한라돌쩌귀, 산비장이, 쇠서나물, 큰용담, 섬기린초, 개쑥부쟁이, 남구절초, 산부추

개쑥부쟁이. 쑥부쟁이와 모양 달라 ‘개’ 붙어.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한국 특산식물로 전국 분포.
11月 동백꽃, 눈개쑥부쟁이, 바위솔, 뀡의비름

눈개쑥부쟁이. 한라산 1,200~1,500고지 서식. 척박한 토양, 경사면 바위서 자라. 번식력 뛰어나 인공 재배 가능

동백꽃. 겨울에 꽃 핀다 해서 동백. 중국에서는 해홍화라 불려.
수분 도울 곤충 없어 새가 대신 역할
12月 수선화, 왕개쑥부쟁이

수선화.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 그리스 신화 나르시스서 속명 유래.
꽃말은 ‘자기주의’ 혹은 ‘자기애’

왕개쑥부쟁이.이름처럼 쑥부쟁이류 중 꽃이 가장 크다.
남부지역에서 꽃은 가장 늦게 피며 제주에서는 12월에 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