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는 많은 나라가 존재하고 그 나라들 마다 각기 사용되는 화폐또한 참 다양한데요, 오늘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화폐단위와 환율정보를 공유해 보고자 합니다~
국가(통화단위)
통화명
매매기준율
환가료율
미화환산율
미국 USD
US 달러
1142
2.1065
1
일본 JPY 100
엔
1487.37
2.1187
1.3024
유로통화 EUR
유로
1536.45
3.174
1.3454
영국 GBP
파운드
1792.71
2.7043
1.5698
스위스 CHF
스위스 프랑
1241.3
2.005
1.087
캐나다 CAD
캐나다 달러
1106.59
3.1225
0.969
호주 AUD
호주 달러
1132.86
6.64
0.992
뉴질랜드 NZD
뉴질랜드 달러
859.13
4.825
0.7523
홍콩 HKD
홍콩 달러
146.62
2.195
0.1284
스웨덴 SEK
스웨덴 크로네
167.67
4.325
0.1468
덴마크 DKK
덴마크 크로네
206.29
2.995
0.1806
노르웨이 NOK
크로네
196.19
4.815
0.1718
사우디 SAR
사우디 리얄
304.5
2.405
0.2666
쿠웨이트 KWD
쿠웨이트 디나르
4134.69
2.725
3.6206
바레인 BHD
바레인 디나르
3029.18
2.975
2.6525
아랍에미리트 AED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310.92
2.425
0.2723
태국 THB
바트
36.71
5.465
0.0321
싱가포르 SGD
싱가포르 달러
878.53
2.345
0.7693
인도네시아 IDR 100
루피아
12.65
6.975
0.0111
남아프리카 ZAR
랜드
138.09
7.385
0.1209
러시아 RUB
루블/코페이카
36.77
8.255
0.0322
헝가리 HUF
포린트/필러
5.01
8.195
0.0044
폴란드 PLN
즐로티
346.59
6.515
0.3035
터어키 TRY
터키 리라
620.65
14.275
0.5435
카자흐스탄 KZT
텡게
7.72
1
0.0068
체 코 CZK
코루나
60.17
0
0.0527
카타르 QAR
카타르 리얄
313.63
0
0.2746
인도 INR
루피아
22.02
0
0.0193
말레이지아 MYR
링깃
358.78
0
0.3142
파키스탄 PKR
루피
13.11
0
0.0115
방글라데시 BDT
타카
14.92
0
0.0131
필리핀 PHP
페소
26.37
0
0.0231
중 국 CNY
위안
179.53
6.8982
0.1572
이집트 EGP
이집트 파운드
190.94
0
0.1672
멕시코 MXN
멕시코 페소
82.38
4.972
0.0721
브라질 BRL
레알
639.44
10.802
0.5599
브루나이 BND
브루나이 달러
880.56
0
0.7711
대만 TWD
신 타이완 달러
37.76
0
0.0331
이스라엘 ILS
셰켈
306.58
0
0.2685
요르단 JOD
요르단 디나르
1612.99
0
1.4124
베트남 VND 100
동
5.44
0
0.0048
[2011.11.21 17:54 (58회차)현재, 외환은행 고시 환율]
위와 같이 다양한 유통화폐 속에 우리나라의 화폐단위 "원" 도 있습니다. 그럼 우리나라 돈은 세계에서 얼마나 인정받을까요?
여기서 "환율"이라는 가치평가를 통해 외국과 거래가 가능해 지는데, 환율이란 외환의 가격으로 외화 1단위를 얻기 위해 지불해야 하는 자국통화의 양으로서, 한 나라 통화의 대외가치를 나타내는 자국통화와 외국통화의 교환비율을 말합니다.
환율은 물가 감안 여부에 따라 명목환율과 실질환율, 외환의 수도(受渡) 시기에 따라 현물환율과 선물환율, 환율의 표시방법에 따라 지급환율(자국화 표시법)과 수취환율(외화 표시법)로 나뉘어 집니다. 이 때 지급환율을 기준으로 1달러가 1,000원에서 1,500원으로 상승하면, 명목환율이 상승했기 때문에 외국화폐를 얻기 위해 더 많은 원화를 지급해야 하므로, 우리나라 원화의 대외가치가 외국통화에 비해 하락했다는 의미로, 원화가 평가절하(depreciation)되었다고 하고, 반대로 500원으로 환율이 하락하면 원화의 대외가치가 상승했으므로 평가절상(appreciation)되었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여기서 빠진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금(은)! 국제거래에서 금(은)은 일반적인 교환수단으로써, 상품형태를 대신하여 일반적인 부의 이동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할 경우 이 금(은)은 세계화폐가 된다고 합니다. 이때의 금은 지금(地金)형태로 돌아가 중량명(重量名)으로 유통됩니다. 세계통화로서의 금은 단순한 유통수단으로서가 아니라 국제거래 차액의 지불수단으로, 원시적인 구매수단, 부(富)의 이전수단 등 아주 다양한 경우에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세상에는 많은 나라가 존재하고 그 나라들 마다 각기 사용되는 화폐또한 참 다양한데요, 오늘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화폐단위와 환율정보를 공유해 보고자 합니다~
국가(통화단위)
통화명
매매기준율
환가료율
미화환산율
미국 USD
US 달러
1142
2.1065
1
일본 JPY 100
엔
1487.37
2.1187
1.3024
유로통화 EUR
유로
1536.45
3.174
1.3454
영국 GBP
파운드
1792.71
2.7043
1.5698
스위스 CHF
스위스 프랑
1241.3
2.005
1.087
캐나다 CAD
캐나다 달러
1106.59
3.1225
0.969
호주 AUD
호주 달러
1132.86
6.64
0.992
뉴질랜드 NZD
뉴질랜드 달러
859.13
4.825
0.7523
홍콩 HKD
홍콩 달러
146.62
2.195
0.1284
스웨덴 SEK
스웨덴 크로네
167.67
4.325
0.1468
덴마크 DKK
덴마크 크로네
206.29
2.995
0.1806
노르웨이 NOK
크로네
196.19
4.815
0.1718
사우디 SAR
사우디 리얄
304.5
2.405
0.2666
쿠웨이트 KWD
쿠웨이트 디나르
4134.69
2.725
3.6206
바레인 BHD
바레인 디나르
3029.18
2.975
2.6525
아랍에미리트 AED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310.92
2.425
0.2723
태국 THB
바트
36.71
5.465
0.0321
싱가포르 SGD
싱가포르 달러
878.53
2.345
0.7693
인도네시아 IDR 100
루피아
12.65
6.975
0.0111
남아프리카 ZAR
랜드
138.09
7.385
0.1209
러시아 RUB
루블/코페이카
36.77
8.255
0.0322
헝가리 HUF
포린트/필러
5.01
8.195
0.0044
폴란드 PLN
즐로티
346.59
6.515
0.3035
터어키 TRY
터키 리라
620.65
14.275
0.5435
카자흐스탄 KZT
텡게
7.72
1
0.0068
체 코 CZK
코루나
60.17
0
0.0527
카타르 QAR
카타르 리얄
313.63
0
0.2746
인도 INR
루피아
22.02
0
0.0193
말레이지아 MYR
링깃
358.78
0
0.3142
파키스탄 PKR
루피
13.11
0
0.0115
방글라데시 BDT
타카
14.92
0
0.0131
필리핀 PHP
페소
26.37
0
0.0231
중 국 CNY
위안
179.53
6.8982
0.1572
이집트 EGP
이집트 파운드
190.94
0
0.1672
멕시코 MXN
멕시코 페소
82.38
4.972
0.0721
브라질 BRL
레알
639.44
10.802
0.5599
브루나이 BND
브루나이 달러
880.56
0
0.7711
대만 TWD
신 타이완 달러
37.76
0
0.0331
이스라엘 ILS
셰켈
306.58
0
0.2685
요르단 JOD
요르단 디나르
1612.99
0
1.4124
베트남 VND 100
동
5.44
0
0.0048
[2011.11.21 17:54 (58회차)현재, 외환은행 고시 환율]
위와 같이 다양한 유통화폐 속에 우리나라의 화폐단위 "원" 도 있습니다. 그럼 우리나라 돈은 세계에서 얼마나 인정받을까요?
여기서 "환율"이라는 가치평가를 통해 외국과 거래가 가능해 지는데, 환율이란 외환의 가격으로 외화 1단위를 얻기 위해 지불해야 하는 자국통화의 양으로서, 한 나라 통화의 대외가치를 나타내는 자국통화와 외국통화의 교환비율을 말합니다.
환율은 물가 감안 여부에 따라 명목환율과 실질환율, 외환의 수도(受渡) 시기에 따라 현물환율과 선물환율, 환율의 표시방법에 따라 지급환율(자국화 표시법)과 수취환율(외화 표시법)로 나뉘어 집니다. 이 때 지급환율을 기준으로 1달러가 1,000원에서 1,500원으로 상승하면, 명목환율이 상승했기 때문에 외국화폐를 얻기 위해 더 많은 원화를 지급해야 하므로, 우리나라 원화의 대외가치가 외국통화에 비해 하락했다는 의미로, 원화가 평가절하(depreciation)되었다고 하고, 반대로 500원으로 환율이 하락하면 원화의 대외가치가 상승했으므로 평가절상(appreciation)되었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여기서 빠진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금(은)! 국제거래에서 금(은)은 일반적인 교환수단으로써, 상품형태를 대신하여 일반적인 부의 이동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할 경우 이 금(은)은 세계화폐가 된다고 합니다. 이때의 금은 지금(地金)형태로 돌아가 중량명(重量名)으로 유통됩니다. 세계통화로서의 금은 단순한 유통수단으로서가 아니라 국제거래 차액의 지불수단으로, 원시적인 구매수단, 부(富)의 이전수단 등 아주 다양한 경우에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