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k cost, relevant cost 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았는데요
sunk cost는 매몰비용으로 이미 발생되어 변경될수 없는 원가를 뜻합니다
relevant cost는 의사결정과 관련되어 있는 원가로 선택대안이 무엇인가에 따라 그 비용이 변경될수 있습니다
책에서 sunk cost는 objective function과 관련이 없다고 했는데 그 이유는 목적함수에서 알고자 하는것은
standard bag과 deluxe bag의 판매이익이였고 판매이익은 수익에서 비용은 차감한 값인데 sunk cost는 앞의
개념에서도 설명되었듯이 이미 발생되어진 비용(변경되지 않는)이기 때문에 판매이익과는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하지만 relevant cost 의 경우 어떤 의사결정을 하는가에 따라 그 비용이 달라지기 때문에 판매이익 즉, objective function과
관련이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것에 관해 한가지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제가 지금 책이 없는 관계로 임의로)
한 공장에서 가방을 생산하는데 시간, 노무비, 생산비, 재료비 등등의 여러가지 제약 조건이 있습니다.
그 공장은 본래 직원들에게 최대 200시간의 일을 시키는 것이었는데 방침이 바뀌어 201시간으로 늘린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방침을 시행함으로써 10달러의 이익이 발생할것으로 예상합니다. (참고로 시간당 노무비는 5달러 소요)
이를 위해 새로운 인력을 투입해야 하는데 한 노동자가 공장을 찾아와서 12달러에 일을 해주겠다고 합니다.
이 노동자를 채용 할지 안할지에 대한 문제는 이 노무비가 sunk cost, relevant cost에 따라 달라집니다.
우선 노무비가 sunk cost의 경우 어차피 노무비는 이미 발생된것이고 시간을 늘린다고 해도 더이상 추가적인 것은 없습니다.(임의로 정한것이기 때문에 현실과는 거리가 먼것 같지만..)
그렇기 때문에 노동시간 1시간이 늘어남으로써 발생하는 10달러의 이익은 순전히 이익 그 자체(?)이므로 12달러를 요구하는 노동자를 채용할수 없습니다.
앞에서 말한것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여기서 판매이익:100달러와 수익:150과 비용:50은 임으로 책정)
판매이익 = 수익 - 비용(sunk cost), 100 = 150 - 50
노동 1시간 추가후 100 +10(1시간 추가후 발생하는 이익) = 150 - 50 즉, 온전한 10달러라는 이익이 발생
다음으로 노무비가 relevant cost의 경우 의사결정에서 노동 시간을 1시간 늘림으로써 비용은 시간당 5달러 더 소요하게 됩니다.
그 비용 5달러를 감수한 판매이익이 10달러 증가한다고 했으니 이는 단순한 10달러가 아닌 비용5달러의 프리미엄을 가진 15달러라고 할수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12달러를 요구한 노동자를 채용하더라도 3달러의 이익이 있기때문에 이 노동자를 채용할수 있는 것입니다.
이것도 수식으로 표현하자면
판매이익 = 수익 - 비용(relevant cost), 100 = 150 - 50
노동 1시간 추가후 100 + 10(1시간 추가후 발생하는 이익) = 150 - 50 - 5( 추가 시간당 발생하는 노무비)
100 + 10(1시간 추가후 발생하는 이익) + 5(추가 시간당 발생하는 노무비 프리미엄값) = 150 - 50
즉, 10달러의 이익 발생과 5달러의 노무비 프리미엄 총 15달러만큼의 이익 발생
sunk cost, relevant cost에 대한 제 해석은 이런데요 수식을 이용한건 글로만 써져 있는 것을 보니 개념이 잘 안잡혀서 어떻게 할까 고민을 하다가 수학적으로는 맞지는 않겠지만 제가 생각한 개념과 잘 부합된다 생각해서 이렇게 적어 봤어요.
제가 이해한걸 남들에게 설명하는게 참 쉬운일이 아닌걸 새삼 깨닫게 되네요.
제대로 된건 아니지만 다른 분들에게 이것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또 혹시나 제가 틀리게 이해하고 있거나 잘못 생각한 개념들에 대해서는 지적해 주셨으면 좋겠어요 ^^
첫댓글 이개념이 젤 좋구나~ 전개된 수식은 좀 혼란이 올 수 있지만..만약 특정자원 1시간 추가취득으로 최대화 목적함수식에 10달러 증가되었다면 (즉 dual price=10) sunk cost일 경우는 목적함수식에 반영 안되기에 추가 10달러 증가는 그 비용이 공제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고, 따라서 증가된 10달러 그자체가 특정자원 1시간 추가 획득을 위한 최대 지불액이지만, 만약 relevant cost면 추가 수익증가는 목적함수식에 그 정상획득 비용이 공제되어 반영된 후 10달러의 추가 증가가 되었다고 해석되기에 증가된 10달러는 특정자원을 1시간 획득하는 정상비용에 더 얹어서 추가획득을 위해 프리미엄으로 지불할수 있는 최대금액이란다~ *^^*
보기도 좋고 쉽게쉽게 정리 하셔서 이해도 잘되네요 ㅋㅋㅋ멋져염
공보경 학우님..짱인데요?
우와 언니 진짜 ㅠㅠ 멋잇어요
보탱 ㅋㅋㅋㅋ참고할께 짱짱
생각보다 반응이 좋아서 ... 신나는데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깔끔하게 정리 잘했네요 와우
굿,ㅋㅋ 이해가 잘되는데요,ㅎㅎ
우와 뒤늦게 들어온 보람이 있네요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