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숭겸 장군 생애와 업적
신숭겸(~서기 927년)은 태봉 말기 및 고려 초기의 무신으로, 고려의 개국공신이다. 원래 이름은 능산(能山)이며, 시호는 장절(壯節), 평산 신씨의 시조이다. 몸이 장대하고 무용이 있었다.
신숭겸은 전라도 곡성 출신이라 전해지기도 하고 광해주(춘천) 출신이라 전해지기도 한다. 그러나 현재 신숭겸의 묘가 춘천에 있는 것으로 미루어보면, 신숭겸의 조상은 곡성 출신인지 몰라도 신숭겸은 춘천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일찍이 숭겸이 태조를 따라 삼탄에 사냥갔을 때 마침 세 마리의 기러기가 나는 것을 보고 태조가 말하는 대로 셋째 놈의 왼쪽 날개를 쏘아 맞췄다. 태조가 크게 칭찬하고 평주(平州 : 평산)라는 본관을 주고 기러기를 쏜 근방의 밭 3백 결(結)을 주어 자손 대대로 조(租)를 받게 하였으니 이 땅을 궁위(弓位)라 불렀다
신숭겸은 원래 궁예의 장수였으나 918년 복지겸, 배현경, 홍유 등과 모의하여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을 추대하여 고려의 개국공신이 되었다
927년(태조 10) 공산 전투에서 김락, 전이갑·전의갑 형제와 함께 태조를 구하고 전사하였다. 이 싸움에서 태조는 견훤이 이끄는 후백제군에게 포위되어 위험하였다. 신숭겸이 "제가 대왕과 외모가 비슷하오니 제가 대왕으로 변장하면 대왕께서는 무사히 탈출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말하며 왕건의 옷을 빼앗아 입고, 태조 왕건이 일반 군졸로 변장하여 포위를 뚫고 탈출하였다. 태조 왕건이 포위망을 빠져나가는 동안 신숭겸은 태조 왕건의 행세를 하며 군대를 통솔하다가 태조 왕건이 무사히 빠져나간 이후 전사했다.
이후 신숭겸의 시체를 발견한 태조 왕건은 크게 슬퍼하여 송악으로 철수할 때 참수되어 머리가 없던 신숭겸의 시신에 금으로 만든 머리 모형을 끼워 넣어 장사지내고 장절(壯節)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또한 그의 아우 능길(能吉)과 아들 보장을 원윤으로 삼았고, 지묘사(智妙寺)를 새로 세워 그의 명복을 빌게 하였다. 대구에는 아직도 파군재, 독좌암, 왕산, 안심, 해안, 반야월, 백안, 연경, 살내 등의 많은 지명이 남아있어 당시의 격전지임을 알 수 있다. 현재 강원도 춘천시에는 신숭겸 장군의 묘역이 조성되어 있으며 묘역에는 묘와 묘비, 신도비, 사당, 영정, 동상이 있고, 묘에는 봉분이 세 개가 있어 특이한 형태로 되었다. 1805년에 김조순이 비문을 짓고, 신위가 글씨를 쓴 신도비에 의하면 봉분이 3개가 있는 데 대하여 두가지 설이 있으니 그 하나는 신숭겸이 전사하자 견훤의 후백제군들이 목을 베어 갔으므로 고려 태조는 순금으로 두상(頭像)을 만들어 시신과 같이 매장하고 어느 것에 시신이 있는지 분간하기 어렵게 하여 도굴을 방지하려 하였다고 하고, 다른 하나는 신숭겸의 부인 묘라고 전해지는데 그 사실 여부는 알 수 없다고 기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