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제품명 |
주요 기능 |
가격대(위안) |
|
고급 원목침대 (红木床) |
향균, 알레르기 방지 |
8,000~20,000
|
|
기능성 베개 (太空记忆枕) |
인체공학제품, 경추를 숙면에 적합한 각도로 유지 |
30~500 |
|
천연 양털이불 (羊毛被) |
향균, 아토피 예방, 숙면 유도 |
130~600 |
자료원: 타오바오
○ 숙면유도 제품
- 중국시장에서 유통되는 숙면유도 제품에는 전자숙면유도장치와 숙면을 돕는 향초 등이 있음.
중국 숙면 유도 주요 제품
사진 |
제품명 |
주요 기능 |
가격대(위안) |
|
숙면유도기 (睡眠仪) |
숙면 유도 고주파로 뇌파를 안정, 숙면을 유도함. |
30~600 |
|
수면유도양초 (助睡眠蜡烛) |
향기, 숙면 유도 |
20~200 |
자료원: 타오바오
○ 의약품류
- 중국 내에서 유통되는 수면환경개선에 관한 의약품으로는 코골이 방지, 신경안정제 등이 있음.
중국 수면 의약품 주요 제품
사진 |
제품명 |
주요 기능 |
가격대(위안) |
|
호흡기 이완제 (呼噜消) |
수면 중 호흡기를 이완시켜 숙면 유도 |
20~120 |
|
수면유도제 (舒睡宁) |
신경 안정, 숙면 유도 |
30~160 |
자료원: 타오바오
□ 세계 수면환경시장
○ 미국의 수면환경시장
- 미국은 수면제, 침구, 수면용 기구 등 수면경제 규모가 2008년에 이미 200억 달러를 넘어섰고, 2011년 시장규모 230억 달러를 돌파했음.
- 수면제 시장은 2004년 중독성 없는 수면제 ‘엠비엔’이 출시돼 사업 규모가 약 200억 달러 수준에 이르렀고, 수면제 복용자의 숫자도 해마다 증가함.
- 수면연구소도 1977년 처음 개설돼 2007년 기준 3500~4000개로 확대됐고, 수면전문클리닉은 전국에 1200여 개가 운영 중임.
○ 일본의 수면환경시장
- 일본은 최근 10여 년의 불황에도 수면환경용품은 지속적으로 성장세를 보임. 불황기에 사람들의 ‘잠이라도 편하게 자고 싶다’ 는 욕구가 더 커졌기 때문으로 보임.
- 일본의 수면환경산업도 불면증 치료용 수면제로부터 시작됐음. 일본의 ‘에스에스제약’은 2003년 최초로 처방전이 필요 없는 수면제 ‘도이메루’를 개발해 한해 매출액을 훨씬 뛰어넘는 4억 엔의 사전 예약 주문을 받음.
- 그 밖에 대표적인 수면환경제품 성공 사례로 일본의 화장품업체 ‘화왕(花王)’의 숙면을 돕는 화장수와 입욕제 등이 있음.
□ 한 발 앞선 한국 수면환경시장
○ 한 발 앞선 기술력
- 한국은 2006년 대한수면학회의 수면환경에 대한 연구가 시작됐고, 2011년 수면환경산업협회가 발족돼 수면환경산업이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했음.
- 2005년 서울 논현동에 처음 수면장애 전문 클리닉이 문을 연 이후 대형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전국에 이미 50여 곳의 수면장애 전문 클리닉이 있음.
- 국내 침대업계 1위 에이스침대는 ‘이동수면공학연구소’ 라는 프로그램을 운영, 개인의 특성에 맞게 최적의 침대를 골라주는 서비스를 제공함.
- 국내 침구업계의 대표기업 이브자리에서는 향균, 정전기방지, 아토피 완화 등 다양한 기능성 제품개발로 숙면을 돕는 기능성 침구제품 개발에 힘을 쏟고 있음.
- LG전자는 2000년부터 수면환경연구를 시작해 스마트 온도조절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 숙면을 돕는 기능성 가전제품들을 출시해 시장으로부터 큰 호응을 얻음.
○ 국제 수면환경산업 박람회
- 2011년 서울 코엑스에서 국제 수면환경산업 박람회가 처음으로 개최돼 2012년 8월 2회까지 개최됐음.
- 특히 숯 침대, 산소발생기, 도자기침대, 황토흙침대 등 한국 고유의 기술력으로 개발한 다양한 제품들이 세계 시장에 선을 보임.
- 박람회 참가 해외업체들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나라는 미국, 그 다음으로 중국, 우크라이나, 러시아, 우즈베키스탄 순이었음.
한국 수면 관련 주요 제품
사진 |
제품명 |
주요 기능 |
가격대(원) |
|
숯침대 |
유해전자파 차단, 열 반응(보온), 탈취기능, 향균기능 |
2,000,000~ 6,000,000 |
|
기능성 뇌파베개 |
인체공학, 골전도 스피커로 숙면 유도 |
70,000~140,000 |
|
산소발생기 |
산소 발생, 숙면 유도 |
90,000~270,000 |
|
거위털 이불 |
향균, 우수한 보온력, 집먼지·진드기 예방 |
150,000~350,000 |
|
한방흙침대 |
실내 습도 조절, 향균·향취, 온열작용, 음이온 발산 숙면 도움 |
1,500,000~ 3,500,000 |
|
쿨매트 |
체열 흡수, 더운 날씨 숙면에 도움 |
50,000~150,000 |
|
아로마 향초 |
장작 타는 소리, 향기로 숙면 유도 |
9,000~59,000 |
자료원: 한국 수면환경산업협회
□ 시사점
○ 선진국의 산업, 수면환경시장
- 전문가들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국가의 1인당 GDP가 3만 달러 이상이 되면 수면시장이 활발하게 발달함. 그만큼 생활수준이 높고 도시생활로 스트레스가 많은 사람들이 수면환경에 관심이 많고 관련 제품에 대한 구매력도 높음.
- 특히 미국과 일본을 비롯한 선진국에서 수면환경산업은 이미 수면전문 클리닉과 다기능 침구류가 중심이 돼 성숙기로 접어들었음.
○ 계속 커져갈 것으로 보이는 중국의 수면환경시장
- 중국의 소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수면환경제품에 대한 관심도도 증가해 수면환경제품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중국 내 수면환경제품들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중국 토종기업의 다양한 숙면보조제품들이 계속해서 출시될 것임.
○ 한국의 가격 대비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중국시장 공략해야
- 중국의 수면시장은 중국 내에서도 ‘금광’에 비유될 만큼 소비시장이 급격히 커지는 시장 전망이 매우 밝은 산업임.
- 한국에서 한 발 앞서 활성화 된 수면시장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중소기업들의 다양한 제품들이 중국의 수면환경시장을 선점해야 함.
○ 한국 제품의 기술력으로 가격경쟁력을 극복해야
- 중국 현지에서의 침구류, 건강용품 박람회에 참가해 한국의 수면환경제품 기술력을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음.
- 중국의 바이어들은 한국의 높은 기술력을 인정하지만 가격적 측면에서 부담을 느끼기 때문에 한국의 기술력과 중국의 생산, 유통능력을 활용해 양국이 윈윈하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임.
자료원: 바이두, 한국 수면학회, 중국 수면연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