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love you more than I can say I'll love you twice as much tomorrow Oh love you more than I can say
Oh oh yeah yeah
I miss you ev'ry single day Why must my life be filled with sorrow Oh love you more than I can say
Don't you know I need you so Tell me please I gotta know Do you mean to make me cry Am I just another guy
Oh oh yeah yeah
I miss you more than I can say Why must my life be filled with sorrow Oh love you more than I can say
Oh don't you know I need you so So tell me please I gotta know Do you mean to make me cry Am I just another guy
Oh oh yeah yeah
I love you more than I can say I'll love you twice as much tomorrow Oh love you more than I can say
I love you more than I can say I love you more than I can say (more than I can say)
I love you twice as much tomorrow (more than I can say) I love you twice as much tomorrow
(More than I can say) I love you more than I can say (More than I can say) I love you more than words can say yeah
내가 말로 표현할 수 있을 만큼 보다 더
나는 말로 표현할 수 있을 만큼 보다 더 그대를 사랑합니다 내일이면 지금보다 두배는 더 사랑할 겁니다 말로 표현할 수 있을 만큼 보다 더 그대를 사랑합니다
나는 매일 매일 그대가 그립습니다 내 인생을 왜 슬픔으로만 가득 채워야 하나요 말로 표현할 수 있을 만큼 보다 더 그대를 사랑합니다
그대는 내가 당신을 그만큼 필요로 한다는 사실을 모르시나요 제발 말해주세요 나는 알야야겠어요 슬픔에 눈물 흘리는 내 모습을 원하지는 않겠죠 나 역시 그대가 알고 있는 여러 남자들 중의 한 녀석인가요
나는 말로 표현할 수 있을 만큼 보다 더 그대를 그리워합니다 내 인생을 왜 슬픔만으로 가득 채워야 하나요 말로 표현할 수 있을 만큼 보다 더 그대를 사랑합니다
그대는 내가 당신을 그만큼 필요로 한다는 사실을 모르시나요 그러니 제발 말해주세요 나는 알야야겠어요 슬픔에 눈물 흘리는 내 모습을 원하지는 않겠죠 나 역시 그대가 알고 있는 여러 남자들 중의 한 녀석인가요
나는 말로 표현할 수 있을 만큼 보다 더 그대를 사랑합니다 내일이면 지금보다 두배는 더 사랑할 겁니다 말로 표현할 수 있을 만큼 보다 더 그대를 사랑합니다
나는 말로 표현할 수 있을 만큼 보다 더 그대를 사랑합니다 나는 말로 표현할 수 있을 만큼 보다 더 그대를 사랑합니다 (말로 표현할 수 있을 만큼 보다 더) 내일이면 지금보다 두배는 더 사랑할 겁니다 (말로 표현할 수 있을 만큼 보다 더) 내일이면 지금보다 두배는 더 사랑할 겁니다 (말로 표현할 수 있을 만큼 보다 더) 나는 말로 표현할 수 있을 만큼 보다 더 그대를 사랑합니다 (말로 표현할 수 있을 만큼 보다 더) 나는 언어가 표현할 수 있을 만큼 보다 더 그대를 사랑합니다
((가사의 해석은 단어의 직역보다는 전체적인 내용과 문맥에 따른 의역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이곡의 오리지널은 미국의 밴드 Crickets의 Sonny Curtis 와 Jerry Allison이 곡을 써 1960년 그들의 2집 앨범에 수록한
작품으로 빌보드에는 오르지 못했고 UK(영국) 싱글차트에서 28위를 기록하는 준히트 정도의 결과를 얻어냈죠
이후 주목할만한 버젼으로는 1961년에Bobby Vee라는 미국 가수가 발표한 커버 버젼이 빌보드 싱글차트에선 61위에 그쳤지만
UK 싱글 차트에는 4위까지 오르는 선전을 펼친 바 있었습니다
1961년을 전후하여 정식 데뷔하기 전의 Beatles가 함부르크와 리버풀등의 라이브 무대에서 이곡을 즐겨 연주한 적이 있었지만
공연목록에만 있을 뿐 아쉽게도 녹음 실황이 남아 있지는 않습니다
역시 우리에게 잘 알려진 버젼은 1980년에 발표된 아일랜드 출신의 싱어 송 라이터 Leo Sayer의 커버 버젼으로
우리나라에서도 큰 사랑을 받았고 미국 빌보드 싱글 차트 2위에 오르는 큰 반응 을 이끌어냈지만
당시 Kenny Rogers의 Lady와 John Lennon의 (Just Like) Starting Over에 막혀 끝내 1위에는 등극하지 못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