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지어천(照之於天)
하늘에 비추어서 사물을 본다는 뜻으로, 하늘(道, 자연)에서 사물을 본다는 말이다.
照 : 비출 조(灬/9)
之 : 갈지(丿/3)
於 : 어조사 어(方/4)
天 : 하늘 천(大/1)
출전 :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
모든 사물에는 저것 아닌 것도 없으며, 이것 아닌 것도 없다.
物无非彼, 物无非是。
저편에서 보면 보이지 않지만, 자기가 보면 안다.
自彼則不見, 自知則知之。
그러므로 '저것은 이것에서 나오고 이것도 또한 저것에서 나온다'는 말이 있으니, 이는 곧 저것과 이것은 잇달아 생긴다는 것이다.
故曰; 彼出於是, 是亦因彼。彼是方生之說也。
그러나 잇달아 생기자 잇달아 죽고, 잇달아 죽자 잇달아 생기며, 옮음이 있으면 옳지 않음이 있고, 옳지 않음이 있자 곧 옮음이 있으며, 옳다면 우기면 옳지 않은 게 되고, 옳지 않다면 우기면 옳은 게 된다.
雖然, 方生方死, 方死方生; 方可方不可, 方不可方可; 因是因非, 因非因是。
그러므로 성인(聖人)은 이런 고리의 안을 떠나 순수한 하늘(道, 자연)의 조명에 비추어 본다. 이것이야 말로 크나 큰 긍정이다.
是以聖人不由, 而照之於天。亦因是也。
이것이 곧 저것이요, 저것이 곧 이것이다. 저것에 또한 하나의 옳고 그름이 있고 이것에도 옳고 그름이 있는 것이다.
是亦彼也, 彼亦是也。
彼亦一是非, 此亦一是非。
과연 저것과 이것은 있는 것일까? 아니면 저것과 이것은 없는 것일까?
果且有彼是乎哉?
果且无彼是乎哉?
저것과 이것의 대립이 그치는 것을 지도리(樞)라 일컫는다. 지도리라야 비로소 수레바퀴가 굴러 무궁한 변화를 제어할 수 있다.
彼是莫得其偶, 謂之道樞。
樞始得其環中, 以應无窮。
옳음도 하나의 무궁한 변화이고, 틀림도 또한 하나의 무궁이기 때문에 본연의 밝음에 비춰 보는 것만 같지 못하다고 하는 것이다.
是亦一无窮, 非亦一无窮也。
故曰莫若以明。
손가락을 가지고 손가락이 손가락 아님을 밝히는 것은, 손가락 아닌 것을 가지고 손가락이 손가락 아님을 밝히는 것만 못하고,
以指喻指之非指, 不若以非指喻指之非指也;
말[馬]을 가지고 말이 말 아님을 밝히는 것은, 말이 아닌 것을 가지고 말이 말 아님을 밝히는 것만 못하다.
以馬喻馬之非馬, 不若以非馬喻馬之非馬也。
천지(天地)도 한 개의 손가락이고, 만물(萬物)도 한 마리의 말이다.
天地, 一指也; 萬物, 一馬也。
(그런데 세속의 사람들은) 나에게 가(可)한 것을 가(可)하다고 하고, 나에게 불가(不可)한 것을 불가(不可)라 고집한다.
可乎可, 不可乎不可。
(莊子/齊物論)
여기서 장자는 '하나도 같은 것이 없는 사물이지만 서로에 대한 존재 가치는 같다'는 만물제동(萬物齊同)의 사상을 피력하고 있다. 즉 모든 사물은 저것과 이것으로 구분되어 서로 대립하고 배척한다.
그러나 유한을 초월한 자연의 이법에 비추어 보면 모두 대립되는 것에 의해 존재하는 상대적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렇게 모든 사물은 단독적, 절대적 존재가 아니라는 점을 깨닫게 된다면 온갖 분쟁과 갈등은 사라진다는 것이다.
⏹ 방생방사 방사방생(方生方死 方死方生)
삶(죽음)이 있기에 죽음(삶)이 있다
유가에서는 시비곡직(是非曲直)을 잘 가려내는 것이 지혜의 표상이다. 맹자에 따르면 시비지심(是非之心), 즉 '옳고 그름을 가려내는 마음'은 사단(四端) 가운데 하나이다. 이는 지혜의 단서가 된다고 했다.
그러나 장자는 이 같은 공맹(孔孟)이 강조하는 절대주의적 철학에 동의하지 않는다. 옳고 그름, 굽고 곧음은 상대적 개념으로 어느 한쪽이 일방적으로 선하거나 악하다고 말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상대주의적 세계관이다.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을 들여다 보자.
삶이 있기에 죽음이 있고, 죽음이 있기에 삶이 있다. 옳음(可)이 있기에 그름(不可)이 있고 그름이 있기에 옳음이 있다. 그러므로 성인은 일방적 방법에 의지하지 않고 (전체를 동시에 볼 수 있는) 하늘의 빛에 비추어보는 것이다(照之於天).
이것은 동시에 저것이고, 저것은 동시에 이것이다. 성인의 저것에는 옳고 그름이 동시에 있고, 이것에도 옳고 그름이 동시에 있다. 저것과 이것이 상대적 대립 관계를 넘어서서 없어지는 경지를 일컬어 도의 지도리(道樞도추)라고 한다.
한마디로 이분법적 사고방식의 결과인 편견을 버리라는 뜻이다. 사물을 한쪽에서만 보는 편견을 버리고 전체적으로 보면, 동일한 사물이 이것도 되면서, 저것도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세의 사상가 니콜라우스 쿠자누스가 말한 양극의 조화가 이루어진, 대립을 초월한 세계에서 사물을 보자는 것이다.
언뜻 보기에 대립하고 모순되는 것 같은 개념들이 결국 독립한 절대 개념이 아니라 빙글빙글 돌며 어울려 서로 의존하는 상관 개념이라는 사실을 깨달을 때, 세상을 보는 눈이 확연히 달라질 수 있다.
삶과 죽음, 옳음과 그름 외에 도덕경에 나오는 선악, 미추, 고저, 장단의 개념들도 같은 맥락이다.
작금의 우리 사회는 이분법적 분열로 신음하고 있다. 남과 북, 서울과 지방, 영남과 호남, 보수와 진보, 부자와 서민, 정규직과 비정규직, 남과 여, 부모세대와 자식세대…
서로 내 편이 아니면 네 편으로 간주하며 극한 대립상을 보이고 있다. 상대의 존재를 인정하고 더불어 살아가려는 관용의 정신을 잃었기 때문이다.
⏹ 여의주와 말똥구슬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이 낭환집서(蜋丸集序)에서 진정지견(眞正之見)을 말하면서 든 얘기다. “말똥구리는 제 말똥구슬을 아껴 용의 여의주를 부러워하지 않고, 용 또한 여의주를 가졌다 하여 말똥구리의 말똥구슬을 비웃지 않는다.”
진정지견(眞正之見), 즉 사물을 제대로 보는 것은 쉽지 않다. 규범적 판단이 너무 앞서거나 택일적 가치판단의 틀에 갇히면, 사실을 있는 그대로 보기 어렵다. 우열의 척도를 접어두면 사물을 좀 더 제대로 볼 수 있을 텐데.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 이런 얘기가 있다. “사람은 습한 데서 자면 허리병으로 반신불수가 되어 죽게 되지만, 미꾸라지도 그런가? 사람은 나무 위에 있으면 벌벌 떨지만, 원숭이도 그런가? 셋 가운데 누가 진정한 처소를 아는 것일까? 사람은 가축을 먹고, 사슴은 풀을 뜯어 먹고, 지네는 뱀을 달게 먹고, 부엉이 까마귀는 쥐를 즐겨 먹는다. 넷 가운데 누가 진정한 맛을 아는 것일까?”
미색(美色)은 어떤가. “원숭이는 원숭이와 짝을 짓고, 고라니는 사슴과 사귀고, 미꾸라지는 물고기와 노닌다. 모장과 여희를 보고 사람들이 아름답다 하지만, 물고기가 보면 물속 깊이 숨고, 새가 보면 하늘 높이 날아오르고, 고라니와 사슴이 보면 결사적으로 달아난다. 넷 가운데 누가 천하의 진정한 아름다움을 아는 것일까?”
저마다 사는 곳이 다르고, 저마다 먹는 것이 다르다. 저마다 개성과 호감이 있다. 하나의 절대적 기준만으로 재단하고 우열을 가릴 수는 없다.
오직 내 입장에서만 바라본다면(自我觀之) 인식의 한계가 분명하다. 인식 주체는 나일 수밖에 없지만, 인식의 지평을 넓히기 위해 다른 존재의 입장을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다.
장자(莊子)는 하늘에 비추어 보라고(照之於天) 했다. 실학자 담헌(湛軒) 홍대용(洪大容)도 의산문답(醫山問答)에서 말했다. “사람의 입장에서 물(物)을 보면 사람이 귀하고 물이 천하며, 물의 입장에서 사람을 보면 물이 귀하고 사람이 천하다. 그러나 하늘로부터 보면 사람과 물 모두 균등한 것이다.”
저마다의 존재와 개성을 인정하는 것은 공존과 평화의 논리다. 서구 근대는 인종과 민족의 우열을 따졌다. 지배와 폭력의 논리다. 식민지 지식인 가운데는 자강(自彊)과 극복을 주장하다가 나중엔 강자에 복속하고 부역자로 전락한 사람이 적지 않았다.
자기 비하와 부정, 오만과 멸시는 한 뿌리에서 나온다. 내 것을 아끼되 자만할 것 없다. 남의 것을 쓸데없이 부러워할 것도, 비웃을 것도 없다. 여의주를 부러워하랴, 말똥구슬을 비웃으랴!
▶️ 照(비출 조)는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연화발(灬=火; 불꽃)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昭(소, 조)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옛날엔 날일(日; 해)部와 불 화(火)部는 글자로 쓸 때 같이 취급하였기 때문에 昭는 ‘햇빛, 불이 밝다’의 뜻으로 썼다. 나중에 불 화(火)部를 더하여 照(조)라고 써 역시 해와 불의 양쪽 뜻을 나타냈다. 또 구별할 때는 昭(소)를 밝다(형용사), 照(조)를 비치다로 쓴다. ❷회의문자로 照자는 ‘비추다’나 ‘밝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照자는 火(불 화)자와 昭(밝을 소)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그러나 照자의 금문을 보면 단순히 횃불을 들고 있는 모습과 召(부를 소)자가 결합되어 있었다. 여기서 召자는 발음역할을 한다. 소전에서는 횃불을 들고 있는 모습이 炅(빛날 경)자로 바뀌게 되었고 해서에서는 昭자와 火자가 결합한 照자가 ‘비추다’를 뜻하게 되었다. 그래서 照(조)는 ①비치다 ②비추다 ③밝다, 환하다 ④견주어 보다 ⑤대조(對照)하다 ⑥알리다 ⑦빛, 햇빛 ⑧영상 ⑨거울 ⑩증서(證書) ⑪증거(證據)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비칠 영(映)이다. 용례로는 단체나 기관 따위에서 어떤 사람의 인적 사항 따위를 관계 기관에 알아보는 것을 조회(照會), 빛으로 밝게 비추는 것 또는 그 빛을 조명(照明), 빛이 비치는 그림자 또는 그림이나 사진 따위에 의한 초상을 조영(照影), 햇빛 따위가 내리쬠 또는 광선 따위를 쬠을 조사(照射), 잘잘못을 보아 살핌을 조찰(照察), 맞은 편에 있는 벽을 조벽(照壁), 틀림이 있는지 없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서로 맞추어 살펴 봄을 조열(照閱), 서로 맞대어 보아 살핌을 끝냄을 조흘(照訖), 대조하여 보아 맞는지 안 맞는지를 검토함을 조교(照校), 전례에 비추어 상고함을 조례(照例), 둘 이상의 사물이나 현상 또는 말과 글의 앞 뒤 따위가 서로 일치하여 잘 어울림을 조응(照應), 대조하여서 봄을 조감(照鑑), 물건을 비추어 보는 거울을 조경(照鏡), 글을 하나하나 맞춰 보면서 베껴 씀을 조등(照謄), 밝게 비치어서 빛남을 조요(照耀), 참고로 맞대 본다는 말을 참조(參照), 둘을 마주 대서 비추어 비교함을 대조(對照), 고요한 마음으로 사물을 관찰하거나 음미함을 관조(觀照), 더듬어 찾으려고 멀리 내비침을 탐조(探照), 자기 스스로를 반성 관찰하는 일을 자조(自照), 실제의 형상을 그대로 찍어냄을 사조(寫照), 저녁 햇빛을 이르는 말을 낙조(落照), 저녁에 지는 햇빛을 만조(晩照), 간과 쓸개를 내놓고 서로에게 내보인다는 뜻으로 서로 마음을 터놓고 친밀히 사귄다는 말을 간담상조(肝膽相照), 자기의 발 밑을 잘 비추어 돌이켜 본다는 뜻으로 가깝고 친할수록 더욱 조심해야 함을 이르는 말을 각하조고(脚下照顧) 등에 쓰인다.
▶️ 之(갈 지/어조사 지)는 ❶상형문자로 㞢(지)는 고자(古字)이다. 대지에서 풀이 자라는 모양으로 전(轉)하여 간다는 뜻이 되었다. 음(音)을 빌어 대명사(代名詞)나 어조사(語助辭)로 차용(借用)한다. ❷상형문자로 之자는 ‘가다’나 ‘~의’, ‘~에’와 같은 뜻으로 쓰이는 글자이다. 之자는 사람의 발을 그린 것이다. 之자의 갑골문을 보면 발을 뜻하는 止(발 지)자가 그려져 있었다. 그리고 발아래에는 획이 하나 그어져 있었는데, 이것은 발이 움직이는 지점을 뜻하는 것이다. 그래서 之자의 본래 의미는 ‘가다’나 ‘도착하다’였다. 다만 지금은 止자나 去(갈 거)자가 ‘가다’라는 뜻으로 쓰이고 之자는 주로 문장을 연결하는 어조사 역할만을 하고 있다. 그래서 之(지)는 ①가다 ②영향을 끼치다 ③쓰다, 사용하다 ④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도달하다 ⑤어조사 ⑥가, 이(是) ⑦~의 ⑧에, ~에 있어서 ⑨와, ~과 ⑩이에, 이곳에⑪을 ⑫그리고 ⑬만일, 만약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이 아이라는 지자(之子), 之자 모양으로 꼬불꼬불한 치받잇 길을 지자로(之字路), 다음이나 버금을 지차(之次), 풍수 지리에서 내룡이 입수하려는 데서 꾸불거리는 현상을 지현(之玄), 딸이 시집가는 일을 지자우귀(之子于歸), 남쪽으로도 가고 북쪽으로도 간다 즉, 어떤 일에 주견이 없이 갈팡질팡 함을 이르는 지남지북(之南之北) 등에 쓰인다.
▶️ 於(어조사 어, 탄식할 오)는 ❶상형문자로 扵(어)의 본자(本字), 于(어)는 간자(簡字)이고, 烏(까마귀 오)의 옛 글자의 약자이다. 까마귀의 모양을 본떠, 음을 빌어 감탄사, 관계, 비교를 나타내는 어조사로 쓰인다. ❷상형문자로 於자는 '~에'나 '~에서'와 같은 어조사로 쓰이는 글자이다. 於자는 方(모 방)자와 仒(구결자 어)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仒자는 한문 문장에 구두점을 찍는 용도로 쓰이는 글자로 아무 의미도 지니지 않았다. 게다가 於자는 方자와는 아무 관계가 없다. 於자의 금문을 보면 烏(까마귀 오)자에 仒자가 결합하여 있었기 때문이다. 於자는 본래 까마귀가 내는 소리에 빗대어 '아아'라는 뜻으로 만들어진 글자였다. 그러나 본래의 의미는 얼마 쓰이지 않은 채 지금은 다양한 '어조사'로만 쓰이고 있다. 烏자는 해서에서부터 方자로 바뀌었다. 그래서 於(어)는 (1)한문 투의 문장에서 장소를 표시하는 말이 얹히어에서의 뜻을 나타내는 말 (2)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어조사(~에, ~에서) ②기대다, 의지하다 ③따르다 ④가다 ⑤있다, 존재하다 그리고 ⓐ탄식하다(오) ⓑ아아(감탄사)(오) ⓒ까마귀(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까마귀 오(烏)이다. 용례로는 이제야 또는 여기에 있어라는 어시호(於是乎), 마음속 또는 주로 ∼에 꼴로 쓰이는 어심(於心), 벌써나 어느새는 어언(於焉), 가운데가 되는 정도라는 어중(於中), 바둑판에서 배꼽점을 중심으로 한 부분을 어복(於腹), 거의 중간쯤 되는 데를 일컫는 말을 어중간(於中間), 부인이 예장할 때 머리에 얹는 다리로 만든 커다란 머리를 일컫는 말을 어유미(於由味), 어 다르고 아 다르다는 뜻으로 같은 내용의 말이라도 말하기에 따라 사뭇 달라짐을 일컫는 말을 어이아이(於異阿異), 이렇게 하거나 저렇게 하거나 어쨌든을 일컫는 말을 어차어피(於此於彼), 어느 사이인지도 모르는 동안에를 일컫는 말을 어사지간(於斯之間), 썩 흡족함을 일컫는 말을 어량족의(於良足矣), 자기 분수에 만족함을 일컫는 말을 어분족의(於分足矣), 온갖 일을 일컫는 말을 어천만사(於千萬事), 그때를 한창으로 함을 이르는 말을 어사위성(於斯爲盛), 그것으로 만족함을 일컫는 말을 어사족의(於斯足矣), 알지 못하는 동안에 어느덧을 일컫는 말을 어언지간(於焉之間), 푸른 색이 쪽에서 나왔으나 쪽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가 스승보다 나은 것을 비유하는 말을 청출어람(靑出於藍), 제나라와 초나라 사이라는 뜻으로 약한 자가 강한 자들 사이에 끼여 괴로움을 받음을 이르는 말을 간어제초(間於齊楚), 가마솥 속에서 논다는 뜻으로 생명이 매우 위험한 상태에 놓여 있음을 이르는 말을 유어부중(游於釜中), 지극히 선한 경지에 이르러 움직이지 않는다는 뜻으로 사람은 최고의 선에 도달하여 그 상태를 유지함을 이상으로 해야 함을 이르는 말을 지어지선(止於至善), 즐거움은 언제나 걱정하는데서 나온다는 말을 낙생어우(樂生於憂), 뭍에서 배를 민다는 뜻으로 고집으로 무리하게 밀고 나가려고 함을 이르는 말을 추주어륙(推舟於陸), 혀가 칼보다 날카롭다는 뜻으로 논봉의 날카로움을 이르는 말을 설망어검(舌芒於劍), 백성은 신의가 있을 때에 안정된다는 뜻으로 백성은 신의에 의해서만 잘 다스려진다는 말을 민보어신(民保於信), 먼저 곽외부터 시작하라는 뜻으로 가까이 있는 사람이나 말한 사람부터 시작하라는 말을 선시어외(先始於隗), 스스로 목매어 도랑에 익사한다는 뜻으로 개죽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경어구독(經於溝瀆) 등에 쓰인다.
▶️ 天(하늘 천)은 ❶회의문자로 사람이 서 있는 모양(大)과 그 위로 끝없이 펼쳐져 있는 하늘(一)의 뜻을 합(合)한 글자로 하늘을 뜻한다. ❷회의문자로 天자는 ‘하늘’이나 ‘하느님’, ‘천자’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天자는 大(큰 대)자와 一(한 일)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그런데 갑골문에 나온 天자를 보면 大자 위로 동그란 모양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사람의 머리 위에 하늘이 있다는 뜻을 표현한 것이다. 고대 중국인들은 하늘은 동그랗고 땅은 네모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天자는 사람의 머리 위에 동그라미를 그려 ‘하늘’을 뜻했었지만 소전에서는 단순히 획을 하나 그은 것으로 바뀌게 되었다. 그래서 天(천)은 (1)하늘 (2)범 인도(印度)에서 모든 신을 통들어 이르는 말. 천지 만물을 주재 하는 사람, 곧 조물주(造物主)나 상제(上帝) 등 (3)인간세계보다 훨씬 나은 과보(果報)를 받는 좋은 곳. 곧 욕계친(欲界責), 색계친(色界天), 무색계천(無色界天) 등 (4)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하늘 ②하느님 ③임금, 제왕(帝王), 천자(天子) ④자연(自然) ⑤천체(天體), 천체(天體)의 운행(運行) ⑥성질(性質), 타고난 천성(天性) ⑦운명(運命) ⑧의지(意志) ⑨아버지, 남편(男便) ⑩형벌(刑罰)의 이름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하늘 건(乾), 하늘 민(旻), 하늘 호(昊), 하늘 궁(穹),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흙 토(土), 땅 지(地), 땅 곤(坤), 흙덩이 양(壤)이다. 용례로는 타고난 수명을 천수(天壽), 하늘과 땅 또는 온 세상이나 대단히 많음을 천지(天地), 타고난 수명 또는 하늘의 명령을 천명(天命), 사람의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를 천연(天然), 하늘을 대신하여 천하를 다스리는 이 곧 황제나 하느님의 아들을 천자(天子), 우주에 존재하는 물체의 총칭을 천체(天體), 부자나 형제 사이의 마땅히 지켜야 할 떳떳한 도리를 천륜(天倫), 타고난 성품을 천성(天性), 하늘 아래의 온 세상을 천하(天下), 천체에서 일어나는 온갖 현상을 천문(天文), 하늘과 땅을 천양(天壤), 선천적으로 타고난 뛰어난 재주를 천재(天才), 하늘에 나타난 조짐을 천기(天氣), 하늘이 정한 운수를 천운(天運), 자연 현상으로 일어나는 재난을 천재(天災), 하늘이 높고 말이 살찐다는 천고마비(天高馬肥), 하늘과 땅 사이와 같이 엄청난 차이를 천양지차(天壤之差), 선녀의 옷에는 바느질한 자리가 없다는 천의무봉(天衣無縫), 세상에 뛰어난 미인이라는 천하일색(天下一色)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