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에서 유럽으로 뻗어가는 화장품 수출 - 지난주 신한 Premier Corporate Day 5일차 실리콘투와 코스메카코리아의 C레벨 간담회 진행 - 양사 모두 부대표가 자리했으며, 기관투자자들의 참석율은 이전 행사와 유사하게 많아 화장품 시장 관심 여전히 높음을 체감 - 특히 실리콘투에 대한 시장 관심이 매우 높았음
▶️ 실리콘투 장기 성장 Point: 유럽으로 매출 다각화 - 국가별 매출 비중은 미국이 2023년 32%에서 2024년 25% 내외로 감소, 유럽은 9%에서 17%까지 증가. 2025년 미국과 유럽향 매출 비중 동일해질 것으로 전망 - 유럽은 미국 대비 선적 후 이동시간이 8배 길게 소요됨에도 유럽향 거래 늘려가는 건 유럽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 수요가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 - 해외 시장 내 신규 유통채널 늘리는 것보다 본인들이 전개하는 유통채널 내 매대 위 어떤 제품&브랜드를 올리느냐가 중요한 시점이라 어필 - 잠재력 높은 제품&브랜드만 있다면 매출을 키우는 것은 시간 문제라 해석. 전년동기대비 60~80%대 매출성장률로 타 소비재 기업 대비 성장성 여전히 우위
▶️ 코스메카코리아 매출 성장 Point: 하반기부터 미국법인 실적 회복 - 한국 생산법인 실적은 상반기에도 (+)성장세 유지할 것으로 기대. 문제는 잉글우드랩 - 2H24 잉글우드랩 한국공장 내 일부 바이어 선적 지연 이슈로 실적 부진. 동시에 미국공장 내 기존 바이어 물량 증가도 저조한 것으로 파악 - 다만 미국공장 주요 고객사가 장기 오더를 끌고 가는 바이어 위주로 변모 중. 하반기 실적 회복 가시성 증가 기대